1 |
강경희(2015). 현직 교사들이 개발한 STEA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Mathematics) 기반 과학영재 교육프로그램 분석. 교육연구, 64, 75-93.
|
2 |
강정란, 유미현(2016).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유머감각, 셀프리더십 및 대인관계능력 비교 및 관계 분석. 과학영재교육, 8(1), 1-13.
|
3 |
교육부(2015).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별책 9).
|
4 |
교육부(2017). 영재교육진흥법. 교육부 고시 법률 제15231호.
|
5 |
구현정(2017). 국어과 교육 내용으로서 유머 교육을 위한 시론. 한말연구학회지, 46, 5-30.
|
6 |
김송이(2009). 창의성의 구성 요소에 대한 뇌과학적 이해와 교육적 시사점.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7 |
박경빈, 류지영, 방승진, 육근철, 윤여홍, 박인호, 이미순, 이선영, 이재호, 전미란, 전영석, 조석희, 진석언(2014). 한눈에 보는 영재교육. 서울: 학지사.
|
8 |
박병기, 강현숙(2006). 자기보고형 통합 창의성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20(1), 155-177.
|
9 |
박성익, 조석희, 김홍원, 이지현, 윤여홍, 진석언, 한기순(2003). 영재교육학원론. 서울: 교육과학사.
|
10 |
박숙희, 유경훈(2014). 고등학생의 유머감각과 창의적 인성과의 관계. 영재와 영재교육, 13(2), 329-342.
|
11 |
박지영, 이길재, 김성하, 김희백(2005).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 분석 모형의 고안과 국내의 과학영재를 위한 생물프로그램의 실태 분석. 생물교육, 33(1), 122-131.
|
12 |
박진형(2013). 과학영재 학생의 리더십기술과 유머감각 및 유머스타일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13 |
신문승(2010). 초등학생 영재 판별을 위한 창의적 성향 검사 개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14 |
이경학, 박종원(2012). 교사 연수를 통한 과제 수행형 과학적 창의성 평가도구(TATSC) 현장 활용 가능성 탐색. 교사교육연구, 51(1), 1-15.
|
15 |
이병일(2015). 정서지능과 유머가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창의력교육연구, 15(1), 35-47.
|
16 |
이봉우, 손정우(2017).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 성과분석을 통한 과학영재교육 발전방안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5), 775-785.
DOI
|
17 |
이봉우, 손정우, 최원호, 이인호, 전영석, 최정훈(2008). 과학영재교육에서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 초등과학교육, 27(3), 252-260.
|
18 |
이선영(2014). 영재성과 창의성 개념 간의 관계를 통해서 본 영재성과 창의성. 영재와 영재교육, 13(1), 107-127.
|
19 |
이수진(2015). 창의적 산출물 평가에서 평정방법과 척도, 교사-학생 및 교사 배경 변인에 따른 평가 결과의 특성. 경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 |
이신동, 이정규, 박춘성(2009). 최신영재교육학개론(2판). 서울: 학지사.
|
21 |
이은주(2010).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창의성과 유머감각 및 유머스타일 비교.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2 |
이지영, 강훈식(2015). 초등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의 과학상상화 특성 및 과학상상화 그리기에 대한 인식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5), 817-827.
DOI
|
23 |
이지윤, 강훈식(2018). 초등 과학영재학생들이 만든 과학유머의 유형 및 과학 유머 만들기에 대한 인식 분석. 초등과학교육, 37(3), 267-284.
|
24 |
이현주, 채유정(2018). 중등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사고양식 유형에 따른 학습흥미 및 자기조절학습의 차이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1), 57-68.
DOI
|
25 |
임채성(2014). 과학창의성 평가 공식의 개발과 적용. 초등과학교육, 33(2), 242-257.
|
26 |
정현철, 신윤주, 조선희(2013).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교육 현황 분석: 심화반 교육을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23(2), 215-236.
DOI
|
27 |
최원호, 손정우, 이봉우, 이인호, 신영준(2009). 초등과학영재 판별도구의 개발과 이해. 서울: 북스힐.
|
28 |
지성구, 송윤희(2012). 대학수업에서 교수 유머의 분석. 글로벌경영학회지, 9(4), 65-84.
|
29 |
차문희, 오희균(2006). 교사의 유머 감각과 과학 학습 효과의 상관관계 연구. 과학교육연구지, 30(1), 67-83.
|
30 |
최경애, 이성혜, 채유정(2016). 온라인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에서의 학습자의 교수실재감, 수업인식, 학습결과간의 관계.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2(2), 381-408.
|
31 |
최현주, 최연철, 딩슈잉(2016). 창의성과 인성의 통합 관점에 따른 창의.인성 연구의 동향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20(4), 583-603.
|
32 |
한기순(2000). 창의성의 영역 한정성과 영역 보편성에 관한 분석과 탐구. 영재교육연구, 10(2), 47-69.
|
33 |
허영주(2011). 교사유머의 유형화 및 유형별 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교육방법연구, 23(1), 1-29.
DOI
|
34 |
Abraham, R. R., Hande, V., Sharma, M. E. J., Wohlrath, S. K., Keet, C. C. & Ravi, S. (2014). Use of humour in classroom teaching: Students' perspectives. Thrita, 3(2), e10517.
|
35 |
Amabile, T. M. (1982).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A consensual assessment techniqu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3(5), 997-1013.
DOI
|
36 |
Ardalan, K. (2015). Using entertaining metaphors in the introduction of the case method in a case-based course. In Li, M., & Zhao, Y. (eds), Exploring teaching an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pp. 69-96). Berlin: Springer.
|
37 |
Banas, J., Dunbar, N., Rodriguez, D. & Liu, S. J. (2011). A review of humor in educational settings: Four decades of research. Communication Education, 60(1), 115-144.
DOI
|
38 |
Davis, G. A., Rimm, S. B. & Siegle, D. (2011).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6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
39 |
Berge, M. (2017). The role of humor in learning physics: A study of undergraduate student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47(2), 427-450.
DOI
|
40 |
Besemer, S. P. (1998). Creative product analysis matrix: Testing the model structure and a comparison among products-three novel chairs.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2(4), 287-296.
DOI
|
41 |
Martin, R. A. (2007). A comparison of humor styles, coping humor, and mental health between Chinese and Canadian university students. Humor, 20(3), 215-234.
DOI
|
42 |
Gentry, M. & Owen, S. V. (2004). Secondary student perceptions of classroom quality: Instrumentation and differences between advanced/honors and nonhonors classes. Journal of Secondary Gifted Education, 16(1), 20-29.
DOI
|
43 |
Kellerby, D. K. (2011). Effective use of humor in a secondary science classroo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ontana State University.
|
44 |
Lamminpaa, J. & Vesterinen, V. (2018). The use of humour during a collaborative inquir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0(14), 1718-1735.
DOI
|
45 |
Renzulli, J. S. & Hartman, R. K. (1971). Scale for rating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students. Exceptional Children, 38(3), 243-248.
DOI
|
46 |
Roth, W. M., Ritchie, S. M., Hudson, P. & Mergard, V. (2011). A study of laughter in science lesson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8(5), 437-458.
DOI
|
47 |
Wanzer, M. B. (2010). An expla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ructor humor and student learning: Instructional humor processing theory. Communication Education, 59(1), 1-18.
DOI
|
48 |
Ziegler, J. B. (1998). Use of humour in medical teaching. Medical Teacher, 20(4), 341-348.
DO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