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using Preferences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23초

한인 이주민의 주택 소유구조 및 주거입지 선호 특성 -미국 워싱턴 주 사례를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of Housing ownership Structure and Residential Location Preference of Korean Immigrants: Case Study of Korean Immigrants in Washington State)

  • 박원석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660-675
    • /
    • 2012
  • 본 연구는 미국 내 한인 이주민을 대상으로 이주경험 및 주거실태, 주거입지 선호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이주민의 개별 특성이 주택 소유구조와 주거입지 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워싱턴 주에 거주하는 한인 이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설문결과를 토대로 이항로짓모형을 연구방법으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응답자들의 주택 소유구조를 보면, 응답자들은 연령이 높을수록,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이주기간이 길수록 자가주택에 거주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난다. 둘째로, 응답자들이 선호하는 주거 입지요인으로는 치안, 자연환경, 직장근접, 학군 등 환경/쾌적성, 학군인 것으로 나타난다. 셋째로, 응답자의 개별특성이 주택 소유구조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이항로짓 회귀분석 결과,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자가주택 보유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넷째로, 응답자의 개별특성과 주택 소유구조가 응답자의 입지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항로짓 회귀분석 결과, (1) 주거입지 요인으로 자가주택 소유자가 임대주택 소유자보다 학군을 선호하며, (2) 40대 이상의 연령대가 30대 이하의 연령대보다 안전/쾌적성을 선호하며, (3) 이주기간이 10년 이상인 응답자가 이주기간이 10년 미만인 응답자보다 안전/쾌적성을 선호하며, (4) 워싱턴 주 이외에 지역에 최초로 이주한 응답자가 워싱턴 주에 이주한 응답자보다 안전/쾌적성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 PDF

아파트 단지 내의 주민공동시설 현황과 선호 비교연구 (Community Facilities in Apartment Complexes - Whether Provisions Match Residents' Preferences -)

  • 권현숙;윤희연;함연경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7-28
    • /
    • 2018
  • 서울시에서는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제 2조와 55조에 따라 아파트 단지 개발 시 경로당, 어린이집, 작은 도서관 등의 주민공동시설을 설치해야 한다. 이러한 기준은 해당 조항이 지역 사회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지에 대한 충분히 고려 없이 각 공동 주택의 가구 수에 따라 주민공동시설을 요구해왔다. 본 연구는 현재 주민공동시설의 설치 현황과 주민들의 선호도에 대한 일치 여부를 밝혀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 대상지는 서울에 위치한 아파트 단지 중 층화임의 선정한 10개이며, 각각의 아파트 주민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수행하였다. 주민공동시설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적 계층화 방법(AHP)을 사용하여 분석하고, 설문 조사 결과를 복합 단지의 현재 시설 현황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거주자들의 선호와 조항 사이에 불일치가 나타났다. 주민운동시설, 어린이집 및 작은 도서관이 강하게 선호되었지만, 연구 내 일부 아파트 단지에서는 제공되지 않으나, 경로당과 같은 선호도가 낮은 시설은 모든 단지에 제공되었다. 따라서 아파트 단지의 거주자 선호도를 반영하여 서울 아파트 단지의 주민공동시설 제공에 관한 현행 기준을 변경해야 할 것이다.

대구시 도시형 한옥의 녹지공간 구성 및 이용실태 (A study on the realities of composition and utilization for Green Space of the urban traditional residences nearby downtown of Taegu)

  • 여미나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1995년도 학술발표대회논문집 하
    • /
    • pp.57-62
    • /
    • 1995
  • This is a positive study for researching of the cognition, realities of composition and utilization, and requirements of the future about green spaces of the urban traditional residences nearby downtown of Taegu. This study is constructed to the actual and servey examination, and the subject areas were Sam-Duk-Dong and Su-Sung-Do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dweller more Preferences anti-artificial and hearing than artificial and visually nature elements. 2) The best plant space was 'Madang', and the kind of best plant was ornamental. The main purpose of plants were admiration and to use as food. 3) The dweller's requirements rather hearing than visually elements. and they preference in indirectly method but they had subconslousness about directly plant plan. Also they want to water space.

  • PDF

일본 록본기 힐즈의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조사 연구 (The Survey Study on the User Satisfaction of Roppongi Hills in Japan)

  • 이성령;우재동;강부성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8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42-447
    • /
    • 2008
  • With the advances in the high-tech knowledge and service industries, along with a high-flying economy, the industrial structures of many cities have changed. The subject of the successful cases of dimensional integrated complexes in Roppongi Hills, the actions and preferences of these complexes'users were surveyed and analyzed in this study to determine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success or failure of such development projects. The results of the survey that was conducted in this study regarding the satisfaction of the residents of Roppongi Hills with such complexes will be considered in the formulation of a construction plan and will be used as base data for designing a large-scale dimensional integrated complex in Korea.

  • PDF

사방탁자를 모티브로 한 조명가구 디자인 연구 - 실루엣 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f Lighting Furniture Design with the motif of the Open Etagere - Focusing on Silhouette Effect -)

  • 채정주;김정호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17-225
    • /
    • 2013
  • The furniture of the Joseon era, life sense of human forms a culture has appeared well. Feeling of life refers to the sense of feel natural to the history and traditional culture of the area and their own customs. Further, it is possible to be a sense that reflects the mental contents ego, ethical and religious. Furniture traditional and sophisticated sense like this is to take care of the sophistication that comes out from the inside than the beauty artificial as a function of the sense and user preferences. This is a feeling of unique Korean. Due to changes in the housing, the beauty of these illustrates the altered form mechanically a uniform in modern times. Have that desired to be manufactured furniture by applying the neck Korean furniture of our living environment that will change in Western Europe of today, with the tradition of the modern lifestyle.

  • PDF

노후 공동주택 리모델링의 친환경 실내 마감재료 분석 및 제안 (Analysis and Suggestion of Environment-friendly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for Aged Apartment Remodeling)

  • 김기현;김경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118-126
    • /
    • 2007
  • 최근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 주택성능등급표시제도를 비롯하여 실내공기환경에 대한 기준, 친환경상품인증기준 등 환경관련 제도 및 규정이 마련되면서 공동주택의 신축 및 리모델링 공사에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공동주택 리모델링 공사는 거주자가 사전에 정해진 상태에서 공사를 진행하므로 이들에 대한 의견수렴과 사용되는 소재에 대한 요구분석이 신축에 비해 중요하다는 특성이 있다. 하지만 현재 국내에서 시행 중에 있거나 최근 완료된 리모델링 공사의 시공자는 친환경 소재 적용에 대한 거주자의 적극적인 의견수렴 과정이 미비하였고, 친환경상품인증원의 최우수 등급을 받은 친환경 제품을 거주자의 요구에 의해 적용한다기 보다는 공동주택의 홍보의 일환으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또한 공동주택 리모델링 거주자는 친환경 제품의 인증기준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친환경 제품의 등급을 맹목적으로 신뢰하는 경우가 있었고 적용되는 친환경 소재에 대한 요구가 매우 정성적인 특징이 있다. 따라서 공동주택 리모델링 거주자의 친환경 소재에 대한 요구사항을 조사하고 이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만족도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친환경 소재를 리모델링 공사에 적용하여야 한다.

국내 거주 외국인 무슬림의 한식에 대한 인식과 선호도 연구 - 전북 전주시와 경기 김포시를 중심으로 - (Study on Awareness and Preferences related to Korean Foods among Foreign Muslims Residing in Korea - Focus on Jeonju-si, Jeonbuk, and Gimpo-si, Gyeonggi -)

  • 이창현;김영;황영;이진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75-286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a recipe for muslim-friendly halal Korean foods through investigation of awareness of Korean foods, taste evaluation, and menu preferences. After Korean foods' menu range and standard were set up for th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with three halal food experts were conducted, 35 kinds of halal Korean foods were examined.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 survey on 205 foreign Muslims living in Jeonju-si, Jeonbuk and Gimpo-si, Gyeonggi who ate Korean foods. Foreign Muslims were male workers in their 20's residing in company housing, and their monthly mean income was 1.01~2 million KRW. The majority of subjects responded that meal problems were the most difficult in everyday life. Concerning the taste of Korean foods, the response rate of 'sweet' and 'spicy' was high while 'Korean food is healthy' and 'Korean food ingredients is fresh' were high for awareness of Korean foods. 'Bulgogi' was the most preferred among the selected Korean foods, which was in line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There is a need to provide information on Korean foods that can be made with food ingredients certified as halal and their recipes through various media for foreign Muslims who have limitations on in meals due to religious factors.

미국 LA지역 한인 이주민의 정착경로 및 주거입지 특성 (Characteristics of Immigration Path and Residential Location of Korean Immigrants in Los Angeles)

  • 박원석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7-44
    • /
    • 2015
  • 본 연구는 LA지역 한인 이주민을 대상으로 정착경로 및 주거입지 특성을 살펴보고, 이주민의 주택 소유구조와 주거 입지요인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이주민들의 정착경로를 보면, 초기 정착지는 한인타운이지만 이후 백인 주류층 거주지로 주거지를 이동하는 공간적 동화 유형과, 이주 초기부터 백인 주류층 거주지에 정착하는 유형이 대표적이다. 둘째로, 이주민의 현재 주거입지 결정요인에 대한 이항로짓분석 결과를 보면, 저소득층, 이주당시 연령이 높은 집단, 이주기간이 10년 이하인 집단, 주택을 소유하지 않은 집단에서는 한인타운을 거주지로 선택한 반면, 고자산층, 이주당시 연령이 낮은 집단, 주택을 소유한 집단, 미혼, 고학력자, 이주기간이 10년 이상인 집단에서는 백인주류층을 거주지로 선택한 것으로 확인된다. 셋째로, 이주민의 주택 소유구조 특성을 보면, 이주민들은 이주기간이 10년을 지나고, 소득수준이 6만 달러를 넘게 되면서 백인 주류층 거주지역의 단독주택을 보유하는 경향을 보인다. 넷째로, 주거 입지요인의 중요도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를 보면, 고소득층 및 자가주택 거주자 집단은 경제성, 자연환경, 주택 내부시설의 우수성, 백인 주류층 네트워크와 같은 입지요인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볼 때, 향후 경제적으로 성공한 이주민들과 그렇지 못한 이주민들 간에 주거지 양극화가 더 커질 것으로 보이며, 한인타운의 역할과 입지에도 변화가 예상된다.

  • PDF

아파트 거실과 주방의 조명환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ghting Environment of Living Room and Kitchen in Apartment Houses)

  • 임만택;권창룡;김현태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35-42
    • /
    • 2007
  •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actual conditions of lighting environment and the consciousness and responses of residents with the living room of apartment house, grasping the problems of existing lighting methods, offering the lighting environment design standard in harmony with the various demands of residents, functions of living room space, life in living room and interior decoration and then pursuing the comfortable living environment. As the scope and methods of research for these, existing research methods are examined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preceding researches and the basic outline of this research is constructed. Questionnaire survey is conducted with six apartment complexes including Kumho district, Munhung district, Sangmu district, Unnam district, Ilkok district and Chumdan district,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lighting environment conditions are examined, conception and selection of lighting equipment design image are made, lighting equipment design of living room is suggested and the expected effects of lighting equipment ordering method are arranged as follows. As a result of examining and analyzing the lighting environment of living room in existing apartment houses, it is known that the conditions of existing lighting environment considered uniform lighting plan for functional sides of each room which didn't consider the various living behaviors and preference of residents and while the degree of interior decoration design is actually positive. Accordingly it seems that the lighting equipment ordering which considers the various preferences of residents is applied as the means for comfortable lighting environment, the interior environmental mood will be greatly improved.

고층아파트 지붕형태의 변천과 선호특성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의 고층아파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hanges and Preferences of Roof Styles of High-storied Apartments - Centering of High-storied Apartments in GwangJu -)

  • 오금열;김인호;김윤학;이봉수;조용준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105-115
    • /
    • 2008
  • This study examines and analyzes a variety of apartment roof style for 147 apartment complexes built in the Gwangju metropolitan city in order to determine the style that is most prefer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apartment houses built in the Gwangju metropolitan city are 11 to 15 stories followed by apartments that have less than 5 stories, with fewer apartments that have 16 to 20 stories. According to roof styles, the eyebrow roof A type is the most common, followed by the plane roof A type, the sloped roof B type and the sloped roof C type, while 2/3 of all roof types have either an eyebrow roof A type or a plane roof A type. Using images of these roof types to determine those that are preferred, the decorative roof C type is most preferred, followed by the sloped roof B and C types. According to recognition of adjective pairs, decorative roof C type showed a higher recognition for the categories of unique, decorative, three dimensional and novel, the sloped roof B type showed a higher recognition for the categories of three dimensional, decorative and structured while the sloped roof C type showed a higher recognition in the decorative, novel, varied and three dimensional categories. In the correlations between image preference and recognition scale of roof styles of apartment houses, decorative roof C typ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djective pairs with the calm image, the sloped roof B type with the intimate image, while the sloped roof C type showed a correlation between static and ordered with the easy image. Therefore, for the design of future apartment roofs, decorative roof C type requires more consideration of visual aspects that are related to a sense of unity, while further morphological factors needs to be adopted with sloped roof B and C typ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