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t water oxidation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43초

단삼, 도인, 당귀미 및 솔잎의 열수추출물이 지방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ot Water Extracts of Salvia miltiorrhiza Bge., Prunus persica Stokes, Angelica gigas Nakai and Pinus strobus on Lipid Oxidation)

  • 김수민;조영석;김은주;배만종;한준표;이신호;성삼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99-405
    • /
    • 199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erb extracts on lipid oxidation and free radical reaction in iron sources reacted with active oxygen species. The catalytic effects of active oxygen on lipid oxidation in oil emulsion tended to show more active in the order of OH, H2O2 and KO2. Herb extracts tended to show a little catalytic effect and active oxygen scavenging ability of herb extracts didn't show. But herb extracts played role as a strong chelating agents to bind iron if Fe2+ ion exist in oil emulsion. The contents of Fe2+ ion and total iron in Salvia miltiorrhiza Bge. and Angelica gigas Nakai were higher than those of Prunus persica Stockes and pinus strobus. The content of asocrbic acid in Pinus strobus showed the highest (26.97ppm) among several herb extracts. Electron donating abilities of Pinus strobus and Salvia miltiorrhiza Bge. were 79.54% and 77.11%, respectively, which were higher contents than those of Prunus persical Stokes and Angelica gigas Nakai. The SOD-like activity of Prunus persca Stokes showed 0.16 optical density (O.D), which means the most strong antioxidant activity among other herb extracts. The nitrite scavening effects tended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pH. Pinus strobus and Angelica gigas Nakai showed 99.8% and 98.6% nitrite scavening effects at pH 1.2. And the effects were decreased as pH was increased. Especially, they didn't show the nitrite scavenging effect in pH 6.0. In conculsin, the Prinus strobus extract among herb extracts were the most effective antioxidant by evaluating several functional tests.

  • PDF

식물체 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s)

  • 김수민;조영석;성삼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626-632
    • /
    • 2001
  • 식물체(팽이버섯, 마늘, 녹차, allspice, 하수오, 오미자, 행인, 솔잎)가 free radical 반응 및 지방산화 억제에 미치는 영향과 nitrosamine 생성의 직접적인 영향인자인 아질산염에 대한 천연물의 분해효과를 검토한 결과 각 추출물의 pH는 열수추출물보다 ethanol추출물이 높은 pH를 나타내었으며, 그중에서 오미자 열수추출물이 3.0으로 가장 낮았다. 지방산화의 촉진인자인 $Fe^{2+}$ 이온과 활성산소 중 지방산화를 일으키는데 주요한 역할을 하는 hydroxyl radical에 대한 각 추출물들의 영향은 추출물 모두 $Fe^{2+}$ 이온 binding 능력은 탁월하였으며, deoxyribose상에서 OH 포집능 측정에서도 팽이버섯, 솔잎ethanol추출물이 다른 추출물에 비하여 낮은 TBARS값을 나타내었다. Iron의 함량은 열수추출물에서는 2.0 mg/100 g 미만이었으나, 오미자 추출물의 total iron 함량이 6.8 mg/100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용매별 iron함량 측정에서는 ethanol 추출물의 iron함량이 전반적으로 열수추출물보다 낮은 iron함량을 나타내었다. Ascorbic acid 함량은 녹차추출물이 열수 및 ethanol 추출에서 각각 14.3 mg/100 g, 16.7 mg/100 g을 나타내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전자공여능은 팽이버섯, 마늘 추출물을 제외하고 50% 이상의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으며, 열수추출보다는 ethanol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이 우수하였다. SOD 유사활성은 전반적으로 8%이상의 활성능을 보였으나, 솔잎 ethanol추출물은 활성능이 미미하였으며. 녹차 열수와 ethanol추출물이 각각 85.3%, 63.5%로 가장 높은 활성능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열수추출물이 전반적으로 ethanol추출물에 비하여 높은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녹차추출물의 열수와 ethanol 추출물은 아질산염 소거능이 매우 우수하였다.

  • PDF

개스 Inflow와 Upflow를 갖는 Debris/water/concrete상호작용 해석용 Debris Bed 모델 및 중대사고 조건에 그 적용해석 (A Debris Bed Model with Gab Inflow and Gas Upflow for Debris/Water/Concrete Interaction and Its Application under Severe Accident Condition in LWR.)

  • Jong In Lee;Jin Soo Kim;Byung Hun Lee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7권1호
    • /
    • pp.8-15
    • /
    • 1985
  • Debris bed내·외로부터 깨스유량을 갖는 debris/water 열적상호작용 해석모델이 중대사고 분석을 위해 제시되었다. 제시된 모델은 증기 소비, debris bed에서 수소 생성, 유입깨스 및 화학반응열에 대한 인자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금속-물반응 및 debris/concrete 작용으로 인한 깨스 생성을 평가하기 위해 MARCH code에 도입시켰다. 그 결과 수소원은 격납용기 과도압력에 큰 영향을 미치나 debris bed로 대류깨스 냉각과 콘크리트로 전도 열손실은 debris bed 냉각성에 조그마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debris 인자의 재가열과 재용융은 콘크리트와 상호작용에 의해 상당히 지연될 수 있다.

  • PDF

우국생 탁주 주박의 항혈전 및 항산화 활성 (Evaluation of in-vitro Anti-thrombosis and Anti-oxidation Activity of Lees of Takju (Wookukseng))

  • 김미선;이예슬;김종식;신우창;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25-432
    • /
    • 2015
  • 각각의 나라는 민족의 공감성과 문화성이 깃든 고유의 술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고유의 전통주 막걸리(탁주)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박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향장소재 개발을 목표로, 상업적 시설에서 대량생산된 우국생 주박의 ethanol 및 열수 추출물로부터 n-hexane, ethylacetate, butanol을 이용한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과 물 잔류물을 조제한 후, 이들의 혈액응고 저해활성,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 및 인간 적혈구 용혈활성 및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우국생 주박의 수분함량은 80.3%, pH 3.94, brix 13.0 및 알코올 함량은 약 1.8%이었으며, ethanol 추출의 경우 추출효율은 6.62%로 열수 추출의 2.1%보다 3.15배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총폴리페놀 및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결과 주박 ethanol 추출물의 ethylacetate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폴리페놀 함량은 매우 높게 나타났다(128 mg/g). 혈액응고 저해활성을 평가한 결과, ethanol 추출물의 ethylacetate 분획물에서는 5 mg/ml 농도에서 TT, PT, aPTT 모두 15배 이상의 연장된 응고시간을 나타내어 매우 강력한 thrombin, prothrombin 및 coagulation factor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혈소판 응집저해능 평가에서는 ethanol 추출물의 butanol 분획 및 물 잔류물에서 항혈전제로 사용되고 있는 aspirin 보다 우수한 응집저해능을 확인하였다. 상기 10종 시료들은 0.5 mg/ml 농도까지 적혈구 용혈활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양호한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는 사료 및 비료로 활용되고 있는 우국생 주박의 활성분획물을 이용하는 경우 고부가가치 항혈전제 개발이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Phenolic Compounds from the Leaves of Stewartia pseudocamellia Maxim. and their Whitening Activities

  • Roh, Hyun Jung;Noh, Hye-Ji;Na, Chun Su;Kim, Chung Sub;Kim, Ki Hyun;Hong, Cheol Yi;Lee, Kang Ro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3권3호
    • /
    • pp.283-289
    • /
    • 2015
  • The half-dried leaves of Stewartia. pseudocamellia were extracted with hot water (SPE) and partitioned with n-hexane (SPEH), dichloromethane (SPED), and ethyl acetate (SPEE) successively. SPE and SPEE showed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s against melanogenesis and tyrosinase activities. By bioassay-guided isolation, ten phenolic compounds were isolated by column chromatography from SPEE. The whitening effect of the isolated compounds from SPEE were tested for the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melanogenesis using B16 melanoma cells, in vitro inhibition of tyrosinase, and L-3,4-dihydorxy-indole-2-carboxylic acid (L-DOPA) auto-oxidation assay. A cytotoxic activity assay was done to examine the cellular toxicity in Raw 264.7 macrophage cells. Of the compounds isolated, gallic acid and quercetin revealed significant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melanogenesis compared to arbutin. In particular, quercetin exhibited similar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tyrosinase and L-DOPA oxidation without cytotoxicit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SPE could be used as a potential source of natural skin-whitening material in cosmetics as well as in food products.

장수버섯 자실체로부터 분리한 항보체 활성 단백다당체의 화학적 분석 (Chemical Analysis of Acidic Proteo-heteroglycans with Anti-complementary Activity from the Hot-Water Extract of Fomitella fraxinea)

  • 윤상홍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4호통권87호
    • /
    • pp.502-510
    • /
    • 1998
  • 장수버섯 자실체로부터 분리된 강력한 항보체 활성 다당체인 FF-AP1을 정제하고 이것의 화학적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본 실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ConA-Sepharose 4B affinity chromatography에 의해 FF-AP1은 $FF-AP1{\alpha}$$FF-AP1{\beta}$로 더 분리되었으며 이 중 항보체 활성의 주 유효 다당체인 $FF-AP1{\beta}$$10\;{\mu}g/ml$ 농도에서도 약 70%의 항보체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FF-AP1{\beta}$는 약 9.6%의 단백질을 함유한 산성다당체이며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다른 아미노산들에 비해 높았다. 이것의 분자량은 gel filtration법에 의해 15,000인 것으로 추정되었고 적외선 분광 분석에서 $890cm^{-1}$ 부근의 소peak를 탐지함으로써 ${\beta}$ glucosidic 결합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Gas chromatography에 의한 구성당 조성 분석 결과, 주 구성당이 glucose, mannose, 및 galactose인 galacto-manno-glucan이었고, 소량의 rhamnose, xylose, fucose와 uronic acid도 탐지되었다.

  • PDF

유지 기질에 대한 와송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 of Wa-song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Extracts on Edible Oil and Fat)

  • 이수정;차지영;신정혜;정미자;성낙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8호
    • /
    • pp.1106-1114
    • /
    • 2008
  • 건조방법(천일, 열풍 및 동결건조)을 달리한 와송의 물과 95% 에탄올추출물이 지질과산화 억제에 미치는 영향과 대두유와 돈지에 첨가되었을 때 자동산화와 가열산화 조건에서 항산화능을 평가하였다. Linoleic acid 기질에서 지질과산화 억제능은 모든 시료에서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상승하였으며, 물추출물보다 에탄올추출물에서 더 효과적이었다. 건조방법에 따라서는 열풍건조>동결건조>천일건조 순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FeCl_2$$CuSO_4$ 첨가시 열풍건조 시료의 에탄올추출물에서 지질과산화 억제능이 가장 높았다. 열풍건조 와송의 에탄올추출물을 대두유 및 돈지에 0.1, 0.5 및 1.0 g/100 g으로 첨가하여 $60^{\circ}C$(28일)와 $180^{\circ}C$(48시간)에서 저장하였다. $60^{\circ}C$에서 저장할 경우 산가는 저장기간 동안 대두유가 대조구보다 낮았으며, 돈지의 경우 저장초기에는 높았으나, 저장 28일 후에는 대조구 및 BHT 첨가구보다 낮은 값이었다. 아니시딘가 및 과산화물가도 대조구 및 BHT 첨가구보다는 낮은 값을 보였다. $180^{\circ}C$에서 가열 저장한 경우에도 이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TBA가는 $60^{\circ}C$저장시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대두유에서 상승되었으나, 시료량이 많을수록 증가폭은 적었다. $180^{\circ}C$에 저장한 경우에는 36시간 후에 돈지에서 시료량이 많을수록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따라서 열풍건조 와송의 에탄올추출물은 지질을 함유한 식품에 항산화제로 적용될 경우 저장기간 및 가열시간에 따른 유지의 산화억제에 유효할 것으로 기대된다.

열화학적 방법에 의한 전극용 나노 Cu/Al2O3 복합분말 합성 (Synthesis of Cu/Al2O3 Nanostructured Composite Powders for Electrode Application by Thermochemical Process)

  • 이동원;배정현;김병기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337-343
    • /
    • 2003
  • Nanostructured Cu-$Al_2O_3$ composite powders were synthesized by thermochemical process. The synthesis procedures are 1) preparation of precursor powder by spray drying of solution made from water-soluble copper and aluminum nitrates, 2) air heat treatments to evaporate volatile components in the precursor powder and synthesis of nano-structured CuO + $Al_2O_3$, and 3) CuO reduction by hydrogen into pure Cu. The suggested procedures stimulated the formation of the gamma-$Al_2O_3$, and different alumina formation behaviors appeared with various heat treating temperatures. The mean particle size of the final Cu/$Al_2O_3$ composite powders produced was 20 nm, and the electrical conductivity and hardness in the hot-extruded bulk were competitive with Cu/$Al_2O_3$ composite by the conventional internal oxidation process.

가시오갈피 추출물의 항산화효과 (Antioxidant Effects of the Extracts of Acanthopanax senticosus)

  • 김려화;한상섭;최용순
    • 생약학회지
    • /
    • 제33권4호통권131호
    • /
    • pp.359-363
    • /
    • 2002
  • Antioxidant properties of the extracts of Acanthopanax senticosus were investigated. The dried roots, stems or leaves were extracted with hot water or ethanol each. The ethanol extracts exhibited higher potency than aqueous extracts in scavenging free radicals and in inhibiting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the aqueous extracts of stems showed higher anti-oxidant effects than the root extracts. Copper-mediated LDL oxidation was also protected by the ethanol exlracts: antioxidant effects of the extracts tested were stronger than ascorbic acid, but not butylated hydroxytoluene. The activity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was effectively suppressed by the aqueous extracts of the stems. However, in vivo antioxidant properties of the ethanol extracts of the stems did not seem to be significant, judged from the lipid peroxide values of serum and liver in normal mice. Thus, the ethanol extracts of the stems were shown to be more potent for protecting biological systems against various oxidant stresses in vitro, but not in vivo.

모자반추출물의 기능성 화장품소재 특성 (Functional Cosmetic Effect of Sargassum Extracts)

  • 심하은;노대영;김동욱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2권2호
    • /
    • pp.142-146
    • /
    • 2024
  • 전세계적으로 천연화장품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기존 화학합성 기능성화장품소재를 대체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천연물에서 기능성화장품소재를 발굴하고자 하였다. 모자반은 우리나라의 해안 전지역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갈조류의 일종으로서 식용으로도 이용되는 만큼 안전성이 확보되어있는 해조류이다. 본 연구에서는 큰잎 모자반(Sargassum coreanum). 짝잎 모자반(Sargassum hemiphyllum), 쌍발이 모자반(Sargassum patens)의 3가지 종류의 모자반으로부터 열수를 이용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였으며, 항산화효과, 미백효과, 주름개선효과, 자외선흡수효과 및 항염증효과를 측정하여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모자반추출물은 세포독성시험결과 안전성이 매우 우수하였고,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이용한 항산화능 측정결과 우수한 항산화능을 보여주었으며 tyrosinase inhibition을 이용한 미백효과시험에서는 큰잎 모자반(Sargassum coreanum)의 미백효과가 상당히 우수하였다. 그러나 주름개선효과, 자외선흡수효과와 항염증효과는 비교적 낮았다. 결론적으로 큰잎 모자반(Sargassum coreanum)은 세포독성이 적었고, 항산화효과와 미백효과가 우수하여 미백 기능성화장품소재로서 응용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