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검색결과 522건 처리시간 0.027초

중등학교 가정과 실험학습 교구.설비기준의 적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riteria Appropriateness of Experimental Materials & Facilities in Home Economics Education of Secondary School)

  • 강혜숙;윤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1-85
    • /
    • 1993
  • Because of the specificity of subjects belong to middle school curriculum of Home Economics Education of function training is very important. but it pointed out that the existing standards are out-dated, and because of it , it incongruent to our realities. Therefore, whenever the curriculum o education and the national textbook are reorgrnized periodically, the reform of standards of educational materials & facilities must be followed by it. But in my opinion, in korean middle school, especially in Home Economics Education, educational facilities are not reformed at a proper time. Therefore to enhance the qualities of experimentation/practic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the first place, the preparation for the given conditions of standards of educational materials & facilities are needed. But the educational facilitie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have many problem not only in the qualitative aspect but also in the quantitative aspect. And in addition to it, lost of educational facilities which cannot match contents of national textbook of Home Economics Education are exist. Therefore this thesis aims at examining comprehensively the problem of experimentation /practice of experimental materials & facilitie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connect with content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holding several problems of experimentation/practic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middle school, grouping ; the principles and ways concerning the innovation experimental materials & facilitie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by which many teachers and students make sure of more efficient teaching/studying, and obtaining basic data which guarantee the ability of innovation concerning problems of the education of experimentation/practic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Method are : 1)grasp our educational realities with my original(question). 2)Integrate/analyse results of 1) 3)check the frequency, percentage with methods of X$^2$-test,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s’. 4)suggest my own alternative proposal.

  • PDF

실천적 문제 중심의 고등학교 가정과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식생활 내용을 중심으로- (A Home Economics Curriculum Development for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Practical Problems Focusing on Food and Nutrition)

  • 유지연;신상옥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3-69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Home Economics curriculum for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practical problems focusing on Food and Nutrition. This study developed practical-problem based approach to curriculum development. This curriculum provided a series of the objectives, contents, learning activities, and assessments. The objectives were divided into process objectives and content objectives. The objectives focused on three systems of action which were technical action, communicative action, and emancipatory action. The contents of this curriculum focused on three practical problems; 1) What should I do regarding my well-being\ulcorner ; 2) What should I do regarding my family’s well-being\ulcorner ; 3) What should I do regarding my society’s well-being\ulcorner The cooperative learning strategies were mainly used in this curriculum. Students were assessed through learning experiences and achievement.

  • PDF

중.고등학교 학생의 가정관리 교육 내용에 대한 학습요구도와 관련변수에 관한 연구 (Educational Needs Related to Home Management Perceviced by Secondary Students)

  • 이연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12
    • /
    • 1994
  • The purpose of the study were to: (1) determine important home management concepts in the secondary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2) identify the educational needs related to home management perceived by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the factors affecting it, (3) use the findings to make recommendations for developing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teaching home economics in the secondary school.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1,029 secondary school students, lived in seoul, local cities, and rural area.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 ay ANOVA with scheffe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ty home management concepts were selected based on the related literatures. Stress man-agement, leisure time activities, resource use, making money for adolescents, work simplication methods were the concepts which showed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al needs perceived by the students. The educational needs were affected by sex, school level, residence area of the respondents, and other factors related to the perception about home economics such as preference, GPA, etc.

  • PDF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교육과정 분석 (Analysis of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of College of Education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 박지순;주수언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05-124
    • /
    • 2023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사범대학의 가정교육과 교육과정과 382개의 교수요목에 포함된 내용을 키워드 네트워크 방식을 통해 특성을 파악하고 세부 분야별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총 11개 대학의 가정교육과 교육과정과 382개의 교수요목을 분석하기 위해 Krword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키워드 출현 빈도를 분석하고, 키워드 간의 연결 정도와 다양한 중심성 척도를 시각화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교수요목을 분석한 결과는 가족, 중등학교, 의복, 식품, 소비자,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를 나타내는 키워드들이 골고루 나타났으며 '방법', '실제', '변화', '원리' 등과 같은 교수법 및 수업 방식에 관한 키워드가 높은 연결 정도와 중심성 지표를 나타냈다. 둘째, 세부 분야별 분석에서 영역별 핵심키워드가 나타났으며, 키워드들의 주제는 학문기반의 핵심키워드를 반영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가정교육과 교육과정에서 미래지향적이고 융합적인 교육내용을 다룰 수 있는 교육과정으로 전환하는 것에 기여하는데 의의가 있다.

2015 개정 중학교 공통 교과와 가정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기능'과 '성취기준'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Function' and 'Achievement Standard'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Common Curriculum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 김은경;이영선;감경원;차지혜;박미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7-3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중학교 공통 교육과정에 제시된 '기능'과 '성취기준'을 가정과 교육과정과 비교 분석하여 차기 가정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5 개정 중학교 가정과 교육과정을 포함한 14개 교과의 '기능'과 '성취기준'을 키워드 네트워크로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중학교 공통 교육과정의 '기능'에서는 '분석, 활용, 표현'이 연결 중심성과 위세 중심성이 모두 높은 핵심적인 기능 키워드로 나타났다. 둘째, 2015 개정 중학교 공통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서는 '이해, 설명, 표현, 분석, 활용'의 기능형 키워드가 높은 빈도로 등장했고, 실천적 문제해결 능력과 연관이 있는 '실천, 문제해결, 탐색, 추론' 등이 출현했다. 위세 중심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감상, 해결, 실현'은 '성취기준'에서 사용된 핵심적인 기능형 키워드로 확인되었다. 셋째, 2015 개정 중학교 가정과 교육과정의 '기능'과 '성취기준'의 연관성을 비교한 결과, 실과(기술·가정)의 기능 키워드 15개 중에서 7개가 가정과 '성취기준'의 기능형 키워드에 사용되지 않아 '기능'과 '성취기준'의 연계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학교 공통 교육과정과 비교하였을 때 '성취기준'에 활용된 기능형 키워드의 다양성도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에 차기 가정과 교육과정에서 '기능'과 '성취기준'의 연계성 강화와 '분석, 표현, 비교, 이해, 해석, 탐구, 감상, 해결' 등의 다양한 기능(형) 키워드 활용을 제안한다.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금융소비자교육 실태 분석 (An Analysis of Financial Consumer Education in the Practical Arts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Textbook)

  • 김은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50권8호
    • /
    • pp.21-40
    • /
    • 2012
  • This study is to respond to the urgent demands of both society and times on public schools in regards to training an educated person who can cope with the financial environment of this diversified modern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will explain the concept of Financial Consumer Education and its trends of several other countries. By focusing on the current state of Korean Financial Consumer Education, it will call attention to the needs of introducing Financial Consumer Education to the school curriculum in order to educate students about finance systematically. To support our viewpoint, this paper analyzed and organized the materials concerning Financial Consumer Education in two curricula (2007 and 2011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in a Practical Arts (Technology Home Economics) textbook of the 2007 revised version.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esired direction and revitalization of Financial Consumer Education by analyzing the existing curricula. Even though the content of finance education begun from one of the subcategories of consumer education called 'Financial Management,'the number of research about financial education through public education has been increased in response to the social and academic consensus. Therefore, we suggest the re-conceptualization of consumer education for financial education is necessary.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that Financial Consumer education in a Practical Arts (Technology Home Economics) should not be regarded as only one of the components of Consumer Education. Instead, by raising it to the status of Financial Customer Education, it is required to teach the learners to improve their personal financial management skill as well as to help them achieve financial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as financial consumer.

Morjorie M. Brown의 가정과 교과과정 모형에 근거한 ‘인간발달과 가족관계’ 영역의 학습지도안 개발 (Lesson Plan Development Based on Marjorie M. Brown’s Home Economics Curriculum Paradiam in Area of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Relationship)

  • 장혜경;유태명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09-131
    • /
    • 1994
  • This study developed and proposed a lesson plan for the area of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relationship”in secondary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current educational practice in secondary home economics curriculum, the employed goal and the nature of home economics are neither stated specifically nor closely interrelated. This problem has led us not being able to achieve pursuing goal of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to employ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In view of this sit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lesson plan reflecting the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to overcome difficulties and inefficiency in the current practice of secondary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lesson plan was based on the Marjorie M. Brown’s philosophy of home economics which can be summerized as follows: 1. The goal of home economics is to help individuals and families to become autonomous in their own family life and to be more capable of interacting with others in behalf of well-being of the family and of social evolution toward a free society. 2. The characteristics of home economics is conceptualized as practical science and personal service profession. 3. the nature of problems which home economics should deal with is perennial and practial. 4. Practial reasoning composed of historical understanding, critical action, and reflective thinking is appropriate for the previously mentioned goal and characteristics of home economics and for dealing with perennial practial problems. The lesson plan was proposed for one of perennial problem, “How should we understand, create, and maintain our family culture\ulcorner”by employing practial reasoning and teaching models such as “role play”and “classroom meeting.”

  • PDF

핀란드 가정과 교육과정의 역량 기반 교육과정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Competence-based Curriculum in Finnish Secondary Home Economics Curriculum)

  • 양지선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9-39
    • /
    • 2019
  • 본 연구는 역량 기반 교육과정으로 개정된 핀란드의 가정과 교육과정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시사점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핀란드의 가정 교과는 7~9학년군에 속해 있으며 학습영역은 '식품 지식 및 기능, 음식 문화', '주거 및 더불어 살기', '가정에서의 소비자 및 재무 기능'으로 통합적 접근방식을 취하고 있었다. 둘째, 핀란드 교육과정에서 가정 교과역량은 따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나 총론에서 횡단적 역량의 목표를 제시하고 7~9학년군별로 강조하고 있어 횡단적 역량과 교과와의 연계성을 강화하고 있었다. 셋째, 핀란드 가정 교과의 내용체계는 학습기능, 학습내용, 횡단적 역량을 상호 연결하는 구성으로 설계되었으며, 수업목표와 교과역량의 역할을 하는 학습의 기능을 연결하여 역량의 성취를 강화하고 있었다. 넷째, 가정 교과의 평가는 지식과 기능을 활용한 실제 수행능력을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교과 지식과 역량의 성취를 평가하는 기준은 수행 중심의 진술형태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는 핀란드의 교육과정의 중요한 특징은 학습자의 지식, 태도, 역량의 성취를 위한 교사 역할을 강조하는 교육제도의 유연성과 개인의 고유성을 장려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교사의 책무성과 학습자의 성취를 높이고자 하였다. 가정과 교육과정에서 역량의 구현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가정 교과에서 지식과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통합적 연결이 필요하며, 교과역량을 구현할 수 있는 교육과정 체계, 배우기 위한 학습으로서의 평가와 학교 및 교사의 교육공동체를 통한 더 깊은 협력이 요구된다.

제 6차 중학교 가정과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도와 학습만족도 및 주관적 학습효과 연구 - ‘인간 발달 및 가족관계’ 영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the satisfaction with learning on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relations area of the 6th revision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 김승현;정옥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47-67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iddle school students’and their parent’s perception of the 6th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their learning satisfaction, and the students’s perceived learning effect, focusing on the areas of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relatio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92 middle school students, their parents and 51 Home Economics teachers in Pohang and Seoul.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test, F test, pearson’s product correlation coefficient, and $\chi$(sup)2 test, Schff post hoc test using the SAS computer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that (1)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perception of the 6th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in general, was very positive. (2)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showed high levels of learning satisfaction with the areas of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relations. (3) Student’s perceived learning effect on the areas of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relations was considerably high.

  • PDF

대안학교 중 특성화 중학교의 가정교과 운영실태 및 인식에 관한 연구 (Recognition and Opera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Specialized Middle Schools among Alternative Schools)

  • 배소영;신혜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37-152
    • /
    • 2008
  • 대안학교 중 정규학교 형태의 특성화 중학교를 대상으로 가정교과의 편성 및 운영 실태를 조사하고, 가정수업에 대한 담당 교사와 학생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6개 특성화 중학교의 교사와 면접을 실시하였고 그 중 3개 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205부의 응답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 중학교의 기술 가정교과 교육은 대부분 국민공통기본교과인 기술 가정 교육과정 형태로 운영되나, 학교의 이념이나 특성에 맞게 상이하게 운영하는 학교도 있었다. 시수는 제7차 교육과정의 편성과 비교해 4개 학교에서 주당 1시간 적게 편성되고 있었다. 또한 각 학교별로 가정교과와 관련된 특성화 교과가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었다. 둘째, 특성화 중학교의 가정교과 운영 실태를 보면, 가정교과는 가정(부)전공 교사가 대부분 운영하고 있었으며, 자체 제작교재를 쓰는 한 학교를 제외하고는 모든 학교가 검정 교과서를 주 교재로 사용하였다. 교수학습 방법 및 교수매체는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고 있었으며, 평가는 대부분의 학교가 지필평가와 수행평가를 고루 반영하고 있었다. 셋째, 가정교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 중 가정교과 교육의 의의는 가정의 행복 추구였으며, 목표는 가정의 행복을 실현, 세상을 보는 안목을 길러주는 것에 있었다. 교과 운영의 어려운 점으로는 열악한 실습실 여건을, 일반학교와의 차이점은 학생과의 의사소통이 활발한 점을 들었다. 넷째, 학생들은 기술 가정교과의 목표를 보통이하로 인식하였고, 가정수업에 대해서도 대부분 부정적이었다. 학생들의 가정수업에 대한 인식은 학교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수업시수가 많고, 특성화 교과가 운영되는 경우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학교만족도가 높고 가정(부)전공 교사에게 배운 학생들이 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이상에서 특성화 중학교의 가정교과 교육은 대부분 제7차 교육과정에 준해 운영되나 시수편성이 일반학교보다 적어 기초적인 교육내용의 이론위주의 가정수업이 될 수 있으므로 시수의 증편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체험을 할 수 있는 특성화 교과 운영은 가정수업에 대한 학생의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교사의 교과전문성에 따라 인식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결과는 교사 역할의 중요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수업 전반에 걸친 담당교사의 지속적인 노력과 특성화 중학교의 가정전공 상근 교사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