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me Economics teachers

검색결과 627건 처리시간 0.022초

남자 가정과교사의 정체성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A Narrative Inquiry of the Identities of Male Home Economics Teachers)

  • 안재현;박미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59-178
    • /
    • 2020
  • 본 연구는 남자 가정과교사의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남자 가정과교사의 정체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경력과 지역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선정한 12명의 남자 가정과교사를 대상으로 2019년 6월 1일부터 2019년 7월 31일까지 심층면담을 하였다. 자료의 전사는 연구자가 직접 녹음된 면담 내용을 들으면서 한글 2010에 전사하였다. 전사 자료는 개방 코딩, 범주화, 범주 확인의 과정을 거쳐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연: 편견의 벽을 깨고'에서는 남자 가정과교사로서 정체성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가정교육과에 입학한 동기, 교육실습, 임용 TO의 벽 등을 통해 남자 가정과교사가 되기까지의 경험을 담았다. 둘째, '직면: 남자 가정과교사로 살아내기'는 남자 가정과교사로서 경험했던 현재의 이야기와 남자 가정과교사에 대한 동료교사, 가족, 친구들의 생각을 담았다. 남자 가정과교사들이 가정과 수업과 평가를 하면서, 그리고 그들의 삶 속에서 느낀 경험이 정체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폈다. 셋째, '기대: 가정과교사로 성장하기'는 남자 가정과교사의 미래에 대한 이야기이다. 남자 가정과교사들은 실천하는 교사를 추구하며, 전문성을 갖춘 교사가 되기를 희망하였다. 남자 가정과교사를 꿈꾸는 후배들에게는 성별을 따지지 말고 실력 있는 가정과교사가 되라고 조언하였다. 이 연구는 연구에 참여한 남자 가정과교사의 수가 많고 지역이 다양하여 그들의 깊이 있는 내러티브를 담지 못했다는 제한점이 있다. 그러나 이 연구는 '가정과교사는 여성'이라는 고정관념을 깨고, 가정과교육의 연구 대상을 남자 가정과교사로 확장하여 가정과교육의 지평을 확대한 것에 의의가 있다.

중학교 가정과 교사의 교과 관련 자기장학에 대한 수행 실태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Performance Conditions of Self Supervision Related to the Home Economics)

  • 남윤진;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61-75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가정과교사의 교과관련 자기장학에 대한 수행 실태를 알아봄으로써 앞으로의 가정과수업 개선 및 전문성 신장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설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설문지는 이메일을 통하여 전국의 가정과교사에게 발송하였고 총 177부가 회수되었다. 회수된 설문지는 SPSS/Win (ver10.1)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 t-test, ANOVA 분석을 시행하였고,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가정과교사는 실제 자기장학에 대한 계획 실행 평가를 모두 보통 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수행하고 있었다. 둘째, 중학교 가정과교사는 문헌(서적) 조사나 인터넷 및 대중매체를 활용하여 수업 자료를 수집하거나 제작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과 교과내용학의 심화에 치중하고 있었다. 셋째, 중학교 가정과교사는 가정교과관련 자기장학을 위하여 대중매체를 가장 많이 활용하였고 다음으로 문헌(서적) 조사, 연구회 및 모임 참여, 각종 연수 참여, 현장 견학의 순으로 하고 있었다. 중학교 가정과교사의 절반 이상은 대학원에 진학하였고, 연구회 및 모임에 가입하였으며, 사교육기관의 강의를 수강한 경험이 있었다. 또한 1년에 $1{\sim}2$회 정도 현장견학을 실시하였고, 대중매체 중에서는 일반 TV프로그램과 교육방송을 많이 활용하였으며, 동료 교사와의 정보 공유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수업 분석 및 평가와 자원인사의 활용은 매우 미비하였다. 비록 가정과교사들이 교과관련 자기장학을 어느 정도 수행하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나 이는 응답자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고 그 영역이 주로 교수-학습 방법이나 교과내용학 영역에 치우쳐 있다. 따라서 자기장학에 대한 동기를 유발하기 위하여 연구회 및 모임이 활성화되고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며, 자기장학의 방법을 구체적으로 소개한 책자 발간이나 지원센터 연구소 등을 통한 행정적 제도적 지원이 모색되어야겠다.

  • PDF

기술.가정(실과) 교사의 교육과정 관점과 교사 효능감에 관한 연구 - 가정 분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urriculum Perspectives of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and the Home Economics Teacher Efficacy)

  • 최유정;채정현;박미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89-106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 교사의 가정과 교육과정 관점은 주로 어떤 유형인지, 가정과 교사로서의 교사 효능감은 어떤 수준인지, 그리고 가정과 교육과정 관점과 가정과 교사로서의 교사 효능감의 관계는 어떠한지에 대해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자료는 전국 중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가정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우편을 통한 설문지로 수집하였으며, 215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WIN(ver 10.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백분율, 1-검증, One-Way ANOVA와 Scheffe' 사후검증, Pearson 적률상관관계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 교사의 세 가지 교육과정 관점에 대한 전체적인 성향을 조사해본 결과, 해석적 관점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해방적 관점, 기술적 관점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 관점의 하위영역별 경향을 알아본 결과 교육목적에 대한 가정(假定)과 지식에 대한 가정(假定)에서는 해방적 관점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에 대한 가정(假定)과 사회에 대한 가정(假定)에서는 해석적 관점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과 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체 교육과정 관점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해석적 관점과 해방적 관점 모두 학교소재지에 따라 특별시 광역시 소재 학교의 교사가 군 읍 면 소재 학교의 교사에 비해 해석적 관점이 강한 경향을 보였다. 또한 연령이 낮을수록, 교직경력이 짧을수록 해방적 관점의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과 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육과정 관점의 하위영역에 대해 살펴본 결과, 교육목적에 대한 관점에서는 연령이 적을수록 해석적 관점과 해방적 관점이 모두 강한 성향을 보였다. 해방적 관점의 경우, 또한 교직경력이 짧을수록 해방적 관점이 강한 경향을 보였다. 지식에 대한 관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연령이 적을수록 해석적 관점과 해방적 관점의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직경력이 짧을수록 지식에 대한 해방적 관점의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에 대한 관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해방적 관점의 경우, 학교소재지에 따라 특별시광역시 소재 학교의 교사집단이 군 읍 면 소재학교의 교사집단에 비해 해방적 관점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과 교사의 전체 효능감은 평균보다 약간 높았다. 하위 영역별 효능감은 학습지원 효능감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학급운영 효능감, 환경지원 효능감, 교수전략 효능감, 요구대처 효능감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체 교사 효능감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가정과 교사의 교육과정 관점 중 해석적 관점이 다른 관점에 비해 교사 효능감과 높은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효능감의 하위영역에서도 해석적 관점의 상관이 가장 높았으며, 요구대처 효능감에서만 기술적 관점의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중.고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의 의생활 수업매체에 대한 의식 조사 (Research o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eachers′Awareness of Instructional Media on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 박일록;이은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75-88
    • /
    • 2001
  • This research aims to obtain basic information on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instructional media on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s. It also strives to get various information needed in order to improve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teaching methods. The targets of this survey were 225 teachers who teach home economics at middle and high schools in Taejeon, Choongchungnamdo and Junrabookdo. I made up questions their awareness about the instructional media on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the educational circumstances of their schools having to do with new media, and their real educational goal. Methods such 3s frequency, percentage, and Chi-square(${\chi}^2$)(statistical significance of differences between variables) were used to research the differences of awareness on using instructional media, according to teachers'various characters, were checked using the SPSS WIN computer progra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ellows; 1. They thought content on the management and the materials of clothing were the ones that need to be developed, compared to other content having to do with the curriculum on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2. The real things tuned out to be the molt useful and effective. So the most frequently used media was the Over Head Projector. Also, the teachers expressed in general that they wished to increase the use of computers in order to teach more efficiently. 3. We knew the teachers had little knowledge on the software developed for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The infrastructures for educating the using of clothing and textiles, using computers and the internet, were very poor in most schools. The new curriculum that has been proposed needs a more enlarged investment in order for it to function properly and effectively.

  • PDF

가정교과 교사의 수행평가에 대한 태도와 실시현황에 대한 연구 (Teacher′s Attitude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in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 유인영;윤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93-106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performance assessment made by high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 their awareness and attitudes toward the assessment correlate with the qualitative output of the executions of it. as well s to determine how their awareness and attitudes toward the assesment correlate with the qualitative output of the executions of their performance assessments. The research has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 1. The attitudinal score shows above average of 58.7/90. By the sub-factors. awareness of the characteristics of performance assessment is 20.6/30 : the favorable attitudinal score is at 20.0/30. the behavioral attention at 9.5/15. and the effects of performance assessment on the teachers and the classes at 8.6/15. 2. In a single semester. the highest frequency of executing performance assessment is between 1 to 2 times (58.7%). and practical skill test is proven to be the most frequently used category at 79.9%. 3.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verall attitude on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e quality of actual performance assessment executed is high. indicating superior quality of performance assessment. which is directly proportionate to the enhanced attitude of teachers on performance assessment.

  • PDF

중등학교 남녀학생의 공수를 위한 생활관 실습 교육의 고찰 (Exploratory Study of Resident Practice for Male & Female Students in the Secondary School)

  • 황재숙;김운주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9-33
    • /
    • 1995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isting program of resident practice structured for female students in order to propose its restructuring for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secondary school. A sample of 30 teachers charged a program of resident practice and 55 home economics teachers completed self report measures of resident practice program.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0 teachers to do in-depth research.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nsistent with some previous research, there were some problems on facilities and program contents of resident practice. However, there were almost consistent with the required contents of program for male and female studen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only for the program contents such as table settings, wearing a traditional clothing and arranging flowers. A qualitative research showed that resident practice was equally important for the well-being of male and female students and preparing the 21st century. Respondents proposed that the program contents should be focused on traditional propriety and etiquette for daily life. More especially, the data illustrated how importance of the resident practice program should be a mechanism to be a human-centered education. The problems of resident practice for male and female students also was considered. Qualitative answers were suggested for the question : How the hall. Implications for resident practitioners, home economics educators, educational policy maker,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PDF

유아 교사의 음악교수 효능감, 음악교육에 대한 태도, 음악교수의 실제에 관한 연구 (Relationships among the Attitude toward Music Education, Music Teaching Practice, and Music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박진성;문혁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9호
    • /
    • pp.9-19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attitudes toward music education, music teaching practice, and music teaching efficacy. A total of 255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percentil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music teaching efficacy, attitudes toward music education and music teaching practice were influenced mainly by the teacher's own educational level. They also show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music teaching efficacy, attitudes toward music education, and music teaching practice were correlated with one another. In conclusion, the early child teachers' sense of music teaching efficacy turned out to be a very important factor in early childhood teachers' music education.

블렌디드 모형에 기초한 보육실습 운영에 관한 사례연구 (Case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Student Teachers' Practicums Based on a Blended Model)

  • 신혜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129-143
    • /
    • 2010
  •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student teachers' practicum, this study analysed the current situation of student teachers' field practice in child care centers. The study also assessed the practicum implementation case of H Cyber University. First, this research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practicum implementation in universities. Second, a variety of strategies based on a blended model, on/off-line lectures,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university-daycare centers collaboration, e-mentoring, and student teachers' portfolios that reduce the problems of student teachers' training, were explored. Finally, the practicum implementation case that adopted these factors was assessed. The results from this case study implied that student teachers' practicums based on a blended model can be an alternative method for problem-solving in existing student teachers' training in universities.

유치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요구: 유치원 예비교사, 초임교사, 경력교사를 중심으로 (Kindergarten Teacher Difficulties and Needed Support Requests: Centering on Kindergarten's Student Teachers, Beginning Teachers and Experienced Teachers)

  • 황은희;이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1-41
    • /
    • 2010
  • This study analyzes the difficulties that student teachers, beginning teachers and experienced teachers face in the field of kindergarten, and urgent support requests. The total of participants was 372 of this number, 122 were student teachers, 118 were beginning teachers and 132 were experienced teachers. The results showed the difference in difficulties and the needed support requests among student teachers, beginning teachers and experienced teachers. Student teachers had the difficulty of time management, but beginning teachers and experienced teachers had trouble due to the nonexistence of assistant teachers. Student teachers required teaching strategies for starting relationships with children within responsibility. Beginning teachers and experienced teachers regarded the plan, practice, and evaluation of a program as the most needed support request. Collectively, the results revealed that expansion of the practice period is necessary for student teachers so that they can gain experience with children, parents, and the children's education institution with various opportunities as a learning course.

가정과 교육실습 프로그램 운영 개선에 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Enhancing Implementation of Home Economics Student Teaching Program)

  • 유태명;안영희;이송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9-76
    • /
    • 1998
  • This study employs a case study method to examine the current implementation of student teaching program in a particular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 and its affiliated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home economics student teaching program by promoting collaboration of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 and host schools. Following five research problems are addressed : (1)Examining the problems of student teaching from the literature review ; (2)Identifying the problems of student teaching recognized by home economics student teachers ; (3)Identifying the problems of student teaching and plans for improvements suggested in the seminar held for home economics teacher ; (4)Analyzing and comparing the differences of opinion between home economics student teaching program ; and (5)Suggesting alternative implementation plans for improving student teaching program by promoting collaboration of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 and host schoo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