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검색결과 513건 처리시간 0.023초

대안교육의 국내외 사례를 통한 발전방안 연구: 가정교과 교육의 관점에서 (A Study on Alternative Education Improvement Plan based on Domestic and Overseas Cases: In the Perspective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 한승영;김지수;나영주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7권2호
    • /
    • pp.271-280
    • /
    • 2019
  • This study collects and analyzes data on educational philosophy and method for domestic and overseas alternative schools. This information is then applied to educational purpose and curriculum for a home economics curriculum that develops unique characteristics for Korean alternative education.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content and educational elements from two renowned alternative schools: Waldorf School in Germany and Summer Hill in the United Kingdom.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reate new word instead of using the term 'alternative education'. Second, among characteristics of Korean home economics curriculum, 'practical problem-solving ability', 'independent living ability', and 'relation forming ability' should be utilized to create a school with an independent curriculum and to establish a unique brand value. Third, time investment on instructor education should be made to cultivate competent and charming instructors as the center of a school. Lastly, school education should manage student's life at school and after graduation. The school and instructor should provide alternative education while thinking they are responsible for 50 years of a student's future life. This study helps show that alternative education is not perceived as a superficial and generalized education and that Korean alternative education can find similar characteristic to those of overseas cases.

초.중.고등학교 식생활 교육과정의 체계정립 및 필요성 조사연구 (A Study on the Systematization and Needs in the Clothing Education Curriculum from Elementary School to High School)

  • 이은희;전경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3-60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ze the objectives and contents related to clothing education curriculum, and to research the needs for clothing education curriculum required y the Home Economics teachers working from elementary school to high school. These needs have been shown in the research by questionaires, which were distributed to the teachers in the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School in Teajon and Ch‘ungch’ ongnam-do. The main results of obtained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he objectives of clothing education curriculum which are different from each school and each grade have not completely been systematizied they must be carefully reexamined and reorganizied in a coherent system. Second in the findings on the teacher's needs of clothing education curriculum the Home Economics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have basic knowledges and skills on clothing education. The teachers in middle schools have the knowledge of the selection care repair of cloths and also acquire skills for clothing education and consumption are some what difficult for elementary students to understand and the contents have been overlapped with those of middle schools curriculum they are not organized in a coherent system of clothing education curriculum higher than over and to systematize clothing education in a coherent and a unified way we must continue to study them and the needs for clothing education.

  • PDF

2015 개정 기술·가정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역량 함양을 위한 의생활 수업 개발 -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일체화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Clothing Life Education to Cultivate Subject Competencies based on 2015 Revised Technology & Home Economics Curriculum : Focusing on Integration of the Curriculum-Class-Evaluation)

  • 김서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5-128
    • /
    • 2018
  • 본 연구는 교과역량 함양을 위한 가정과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역량기반 가정과 수업의 현장 적용 방안을 탐색하고, 수업 사례를 개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역량 함양을 위해서는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일체화를 통해 학생을 교육과정, 수업, 평가의 중심에 두어 삶의 주체로 성장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교과역량 함양을 위해 교육과정-수업-평가 일체화를 중심으로 의생활 수업 사례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실제 가정과 수업에서 교과역량의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평가-수업의 일체화를 활성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 Critical Review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Research Based on a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 Yoo, Taemyung;Lee, Soo Hee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15권1호
    • /
    • pp.23-37
    • /
    • 2014
  • This study critically appraised the accumulated articles based on the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on Korea's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55 articles published from 1993 to 2011 were identified and placed into three categories: Critical science paradigm, practical problem-focused curriculum, and systems of action. The common result across categories was that some authors did not fully understand the concepts of practice, a practical problem-focused curriculum, the practical reasoning process, and the systems of action. A positive outcome of including a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in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will be seen when systems supporting this perspective, such as those providing more specific information on a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and the relevant textbook accreditation standards, are available. We present a proposal based on considerations of a national curriculum, teacher education, relevant philosophical perspectives, and classroom practice.

제 7차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가정과학’과목 선택 결정 요인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on High School Students’ Choice of ’ The Science of Home-Economics’ Course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 최정화;장윤옥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57-170
    • /
    • 2000
  •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on High School Students’Choice of ’The Science of Home-Economics’Course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kind of factors make high school students decide to select ‘The Science of Home Economics’as one of the course among various in-depth elective courses in high school curriculum. an empirical survey was conducted by administering a structured survey questionnaire to 463 male and female students who attend in a college-bound high school in Taegu.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hoice group of ‘The Science of Home Economics’and non-choice group of ‘The Science of Home Economics’in learning motivation to 5 units of ‘The Science of Home Economics’student’s perception of the traditional role and progressive rol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mpression of Home Economics teachers, mother’s academic career, academic achievement in general and mother’s request for selection of ‘The Science of Home Economics’as an elective course. 2) Significant variables which influenced students’selection of ‘The Science of Home Economics’relatively were, in descending order, student’s perception of the progressive rol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mpression of Home Economics teachers. coeducational schooling.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to the ‘food’unit. student’s attitude for sex-role, academic achievement in general and mother’s request for selection of ‘The Science of Home Economics’as an elective course.

  • PDF

한국과 일본의 중등 가정 교육과정에 명시된 녹색생활교육 (Content Analyses of Green life-Education in Korean and Japanese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Curricula)

  • 장상옥;이연숙;박미정;조재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09-130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일본의 중등 가정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 교수 학습방법, 평가/내용취급에 명시된 녹색생활 교육내용의 관점을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한국의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기술 가정, 고등학교 기술 가정, 가정과학과 일본의 2008 고시 중학교 기술 가정, 2009 고시 고등학교 가정기초 가정총합, 생활디자인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한국과 일본의 가정 교육과정 분석결과, 양국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 '교수 학습 밥법, 평가/내용취급' 요소에 모두 녹색 생활 교육의 다양한 측면이 포함되어 있었다. 양국 모두 교육과정의 '내용' 요소에 녹색생활 교육 측면이 가장 많이 구체적으로 반영된 반면 '성격'과 '목표' 요소에는 반영 정도도 낮고 추상적이고 포괄적인 방법으로 반영되어 있다. 양국 교육과정 전반에 나타난 가정교과에서의 녹색생활 교육은 이론적 측면보다는 가정생활 전반에 걸쳐 실천적이고 체험적 측면을 강조하고 있었다. 녹색생활 교육 요소가 적고 편중된 내용영역은 차기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개발할 때 관련 내용의 보완이 요구되며, 핵심 내용요소는 사실적 지식 제시를 넘어서 환경과의 관련성에서 구성해야 할 것이다.

  • PDF

2009 개정 현행 가정과 교육과정을 위한 세 행동체계 중심의 내용체계 개발 (Development of Content Structure Focusing on Three Systems of Action for the 2009 Revised Current Home Economics Curriculum)

  • 주수언;유태명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9
    • /
    • 2016
  • 본 연구는 2009 개정 현행 가정과 교육과정에서 실행할 수 있는 세 행동체계 중심의 교육과정 안을 개발하여 새로운 관점에서 큰 어려움 없이 개별 가정과 교사가 활용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다. 세 행동체계에 대한 본질적 이해는 2009 개정 현행 교육과정에서는 물론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실행에도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명의 개발진, 3명의 검토진, 15명의 전문가 협의진을 구성하고 3차안에 걸쳐 세 행동체계 중심 교육내용 체계를 개발하였다. 1차안은 의, 식, 주, 가족 아동, 소비 가정경역과 세 행동체계를, 2차안은 2009 개정 현행 가정과 교육과정의 중단원 수준에서 세 행동체계를, 최종안은 2009 개정 현행 가정과 교육과정의 소단원 수준에서 세 행동체계를 접목하여 내용체계를 개발하였다. 이 교육과정의 실행을 위한 지원체계를 모색하여 제시하였다.

진로교육 집중학년·학기제에서 진로개발역량 강화를 위한 교과통합 진로교육 방안 연구 - 2015 개정 기술·가정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ubjects-integrated Career Education to Improv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in a Career Education Intensive Semester & Grade System: Focusing on 2015 Revised Technology & Home Economics Curriculum)

  • 김서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5-84
    • /
    • 2017
  • 본 연구는 진로교육 집중학년 학기제에서 진로개발역량 강화를 위한 가정교과통합 진로교육을 활성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진로교육 집중학년 학기제에서 교과통합 진로교육의 동향, 고등학교 가정과 성취기준과 진로개발역량과의 관계 분석 및 가정교과통합 진로교육 방안을 탐색하고, 수업 사례를 개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교육 집중학년 학기제에서 교과통합 진로교육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운영에 미흡한 점이 많다. 이에 2015 개정교육과정의 적용과 진로교육 집중학년 학기제의 확산을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교과통합 진로교육을 위한 체계적인 준비가 요구된다. 둘째, 가정교과 3개 영역의 모든 성취기준은 진로개발역량과 관련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가정교과는 학교 진로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고, 미래 인재로서 갖추어야 할 진로개발역량을 길러주는 핵심적인 교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진로개발역량 강화를 위해 교육과정-교수 학습-평가의 연계를 중심으로 가정교과통합 진로수업 사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개발된 수업 사례를 현장에 적용하지 못해 그 효과를 확인하지 못한 것이다. 하지만 본 연구는 가정교과와 진로교육의 통합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진로교육 집중학년 학기제에서 가정교과의 진로교육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중학교 가정교과와 타 교과 교과서의 '식생활 단원' 중복 내용 분석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가정, 과학, 도덕, 체육, 보건교과서를 중심으로 - (The analysis of duplicated contents of 'Food and Nutrition unit' of Home Economics and other subject textbooks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 양수정;채정현;유난숙;박미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1-50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가정교과서 '식생활 단원'을 중심으로 타 교과의 교과서와 중복되는 내용을 분석하는 데 있다. 가정교과서의 '식생활 단원'과 타 교과의 교과서 중복 내용 분석을 위하여 과학교과서 I II III, 도덕교과서 I II, 체육교과서, 보건교과서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정교과의 '식생활 단원'과 중복 내용이 많은 교과는 과학과 보건, 그 다음 체육, 도덕 교과 순이었다. 가정교과는 '청소년의 식생활 문제'와 '균형 잡힌 식생활', '녹색 식생활', '한국형 식생활'에 초점이 맞춰져 청소년들이 당면한 식생활 문제에 대한 이론적 기초와 함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까지 제시되어 있다. 과학교과서는 '영양소의 역할', '소화 흡수' 등에 관한 과학적 이론과 원리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체육과 보건교과는 '건강'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도덕교과는 식생활 교육과 관련된 부분에서 '한국인의 정체성'과 '환경'을 중요시 하고 있었다. 가정교과는 식생활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청소년기의 특성에 맞추어 다루고 있었지만, 타 교과에서는 특정 영역의 내용만 제시하거나 예시적 성격으로 다루고 있었다. 이에 중학교에서의 식생활 교육은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는 가정교과를 중심으로 각 교과와의 중복 내용을 고려하고, 개별적 특성을 반영하여 실시한다면 효과적인 교육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교육과정 시기에 따른 중학교 가정교과서 가정관리분야 단원의 변천과정 분석 (I) (Analysis of Changes in Home Management Part in Home Economics Textbooks for Middle School)

  • 이연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73-91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nges in home management part in the home economics textbooks for middle school from the 1st to the 7th curriculum period. The part of home management in the all of home economics textbooks published in every curriculum period was analyzed using several external criteria of textbook.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part of home management was divided into even specific areas including 'definition and process of home management'. 'time management'. 'household labor/work management'. 'family financial management'.'purchasing'. and 'consumer protection'. 2. The part of home management has been included in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since the 1st curriculum period. The proportion of this part in the whole textbook varied with range from 5.1% to 31.8%. 3. The areas emphasized in the beginning of curriculum period were 'family financial management'and 'household labor/work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family resource and environment management'were the areas emphasized in the later curriculum period. 4. The titles of the middle and small unit have begun to use recent words and have represented the including contents since the 4th curriculum period. 5. The numbers of illustrations. tables. pictures. and activities have increased since the 6th curriculum period. 6. Other unrelated areas such as computer and career preparation were included in the home management part in the 1st. 2nd. and 5th curriculum perio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