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 school classroom

검색결과 423건 처리시간 0.024초

u-스쿨 디자인을 위한 학교시설 사용 요구에 관한 연구 - 중.고교 학생 및 교사의 교수-학습공간 사용 요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Needs of Space Use for u-School Design - Through the survey research on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needs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space -)

  • 박정은;박수빈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214-223
    • /
    • 2010
  •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ICT), called ubiquitous computing, changes our environment in many ways. It also acts on educational environment in concert with new pedagogy. Korean Government gives an efforts to set up the u-School as the educational environment supported by ICT. This study aims to find efficient uses of ICT to cope with the changing education environment and emerging needs of users. The survey research follows the pilot study on the model of future school. The students and teachers in six schools located in Busan answered the questionnaire and 752 individuals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method including frequencies, crosstabs, ANOVA, and factor analysi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1) Highly demanded were the u-School facilities to provide pleasant environment as the teachers and students have to spend most of time in classroom, or school premises. In addition, the infrastructures were so desperately required that students are able to control their textbooks and belongings, and efficiently utilize a variety of data. (2) The classroom volume should be planned a bit smaller than the current number of students so that teachers are relieved from the burden of too many student. The needs of students to interact with more students can be bolstered by utilization of ICT. (3) The respondents feel the high needs of computer for student, electronic blackboard, electronic lecture desk, microphone and computer for teacher as the teaching and learning facilities. This showed high needs for teaching and learning facilities enabling the active and individual learning through the use of ICT at education environment. In conclusion, the study proposes the fundamental data to combine u-School elements proper to the current learning and school environment, from the analysis on the use of school facilities, with the subjects, the users of education environment.

학생들의 관계성 파악을 위한 빅-데이터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f Big-data analysis for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 황득영;김진묵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13-119
    • /
    • 2015
  • 최근 학교 사이버 폭력 문제가 심각하게 발생하여 문제의 심각성이 날로 급증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이버 폭력의 심각성이 매우 높아서 사회적으로 큰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언어적인 사이버폭력은 물리적인 폭력보다 영향 범위가 넓고 지속 시간이 길어서 학생들과 같이 미숙한 존재에게는 그 피해정도가 매우 심각하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학생들이 사용하는 언어와 학급에서의 관계성을 분석해서 학급 내의 친구들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이버폭력의 징후를 사전에 파악한다. 그리고 파악된 사이버폭력의 위험성에 대해서 학부모나 학급 교사, 학교 안전지킴이 등에게 미리 알려주어 사이버폭력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학생들이 사이버 학급에서 사용하는 메신저를 설계 및 구현하고자 한다. 구현한 메신저에서 학생들이 사용한 어휘들을 빅-데이터 분석기법 중에 하나인 텍스트 마이닝을 사용해 금지어 사전을 작성하고, 학생별, 학급별 금지어 사용빈도와 친구관계를 분석할 수 있다.

확률화 응답 기법을 활용한 확률적 독립의 이해 (Understanding Probabilistic Independence using Randomized Response Technique)

  • 최경호;김래선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3권1호
    • /
    • pp.101-108
    • /
    • 2001
  • Classroom exercise using the randomized response technique may be used to summarize a high school unit of instruction on probability. In this paper, we show that the derivation of the formula for this technique illustrates basic concepts in probability, such events being mutually disjoint and independent.

  • PDF

한국의 여행지리와 중국의 관광지리 교육과정 비교 (A Comparative Analysis on High School's National Travel Geography Curriculum in Korea and China)

  • 강창숙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67-285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 진로 선택 과목으로 신설된 여행지리와 중국의 관광지리 교육과정의 비교, 분석이다. 여행지리는 지리교과의 핵심개념을 바탕으로 과목의 목표와 내용체계 및 성취기준 등을 교육과정으로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여행이라는 주제와 형식으로 교실 수업에서 지리교과의 유용성, 흥미, 공감능력을 높일 수 있도록 교육과정이 개발되었다. 연구의 주요 내용은 양국의 고등학교 지리교육과정을 토대로 여행지리와 관광지리 과목의 성격, 목표, 내용체계,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 등에서 나타나는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한 비교, 분석이다. 본 연구의 내용은 우리나라 여행지리 교과서의 편찬과 성공적인 교실 수업 실행에 구체적인 시사점이 될 것이다.

  • PDF

멀티미디어 교육자료가 학습효과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농업기초기술" 교과의 에듀넷 멀티미디어 교육자료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nalyzing the Learning Effectiveness of Multi-media -Focusing on Basic Agricultural Technology Course in High School-)

  • 김수욱;유병민;오재연;남민우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7권1호
    • /
    • pp.75-101
    • /
    • 2010
  •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learning effectiveness of multi-media based class by comparing with traditional classroom method. The "Basic Agricultural Technology" course that is one of the required courses of agricultural high school was selected and its contents were digitalized on MS Powerpoint for multi-media based class. The thirty students were sampled for eac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homogeneity and learning achievement of sample groups were tested for experiment. Same teacher took the classes of two groups and delivered same contents of course. Only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as the delivery method, one is traditional classroom teaching method and the other was the multi-media based class. The learning achievements and satisfaction of sample were post-tested in order to analyze the learning effectiveness by comparing two teaching method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in learning achievement after ANCOVA controlled pre-test as covariance(F=5.08, p<.05). It means that the learning achievement of multi-media based class was higher than that of traditional classroom group.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udents’ satisfaction between two groups (t=5.57, p<.001). This study concluded that using multi-media in class could produce more learning achievements and satisfaction of students than traditional classroom method.

고등학교 남학생에서 심폐소생술에 대한 전통적교실학습과 영상자가학습의 교육효과 (Educational Effects of Traditional Classroom Instruction and Video Self-instruction (VSI)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CPR) in Boy's High School Students)

  • 박상섭;백홍석;안주영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6권1호
    • /
    • pp.13-24
    • /
    • 2011
  • 본 연구는 고등학교 남학생에서 심폐소생술에 대한 전통적교실학습과 영상자가학습의 교육효과를 통하여 심폐소생술 교육에 효과적인 교육방법 선택에 도움을 주며, 심폐소생술 교육 프로그램 마련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G도 소재 G고등학교 2학년 남학생 두 반의 학생으로 1개 반은 실험군, 1개 반은 대조군으로 임의 배정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폐소생술 교육 전 후 지식 차이는 대조군(2.38)이 실험군(2.32)에 비해 높게 증가하였지만, 태도 차이는 실험군(2.18)이 대조군(2.06)에 비해 높게 증가하였다. 지식과 태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심폐소생술 교육 전 후 자신감 차이는 실험군(2.40)이 대조군(2.01)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5), 술기수행 정확도 차이도 실험군(2.67)이 대조군(2.54)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 하였다(p<0.05). 본 연구 결과 심폐소생술의 자신감, 술기수행 정확도에서 영상자가학습이 전통적교실학습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영상자가학습 교육 방법을 심폐소생술 교육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

초.중 고등학교 교실의 빛환경 실측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Interior Visual Environment of Classrooms in the Existing School Buildings)

  • 임상훈;천원기;오정무;이남호
    • 태양에너지
    • /
    • 제12권1호
    • /
    • pp.3-14
    • /
    • 1992
  • 종래 북측 복도 남측 교실 학교 건물에서는 교실내에서 칠판에서 뿐만 아니라 남측과 북측 책상 위에서의 조도 불균형 및 현휘 등이 현저하여 이로 인하여 바람직한 교수 학습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초 중 고등학교 교실에 있어서 빛 환경에 대한 제반 문제점을 검토하고, 이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 PDF

수업활동 기반 협력적 인공지능 수학교사 개발에 대한 고찰 (Examining Development of Collabo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Context of Classroom Instruction)

  • 김미령;정경영;노지화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5권4호
    • /
    • pp.509-528
    • /
    • 2019
  • As various changes in education in general and learning environment in particular have promoted different needs and expectations for learning at both personal and social levels, the roles that schools and school teachers typically have with respect to their students are being challenged. Especially with the recent, rapid progress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AI) field, AI could serve beyond the way in which it has been used. Based on a review of some of the related literature and the current development of AI, a view on utilizing AI to be a collaborative, complementary partner with an human mathematics teacher in the classroom in order to support both students and teachers will be discussed.

대입수학능력시험 성적 자료를 이용한 학급 내 동료 효과의 분석 (Effects of Classroom Peers on Test Scores: Evidence from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of year 1995)

  • 강창희;채창균
    • 노동경제논집
    • /
    • 제33권1호
    • /
    • pp.1-30
    • /
    • 2010
  • 본 논문은 같은 학급 내 동료들(classroom peers)의 특성이 개별 학생의 학업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199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한다. 1990년대 중반에는 평준화 제도에 의하여 학교와 학급 간 학생 배정이 외생적이라는 점을 활용한다. 실증 결과에 의하면, 학급 내 동료집단은 개별 학생의 학업 성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하위권 동료의 부정적인 영향이 상위권 동료의 긍정적인 영향을 압도한다. 이러한 동료 효과의 구조는 우리나라에서 평준화 대 비평준화 논쟁에 관하여 중요한 함의를 제공한다.

  • PDF

A Study on Integrating Digital Application into Foreign Language Education

  • An, Jeong-Whan;Lee, Su-Chul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2권1호
    • /
    • pp.54-59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over how the use of digital applications can affect students' attitudes toward positive classroom participation and performance in learning a foreign languag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28 students who took a foreign language class at a high school in central Korea. To find out student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the effect of using a digital application for their foreign language study, online questionnaire and focus-group interview were conducted. Our research findings revealed that these students could engage in active language learning and experience learning improvement while studying a foreign language with digital applications. The improvement was possible by creating more interactive activities and quizzes. In addition, the digital application provided students immediate feedback. It gave students and teachers various motivations beyond the traditional 'chalk and talk' format of text-only-classes. This study provides an overview of the usefulness of digital application. In addition, it provides understanding for students' perceptions and involvement using digital application in a foreign language classro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