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Analyzing the Learning Effectiveness of Multi-media -Focusing on Basic Agricultural Technology Course in High School-

멀티미디어 교육자료가 학습효과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농업기초기술" 교과의 에듀넷 멀티미디어 교육자료를 중심으로 -

  • 김수욱 (건국대학교 사범대학) ;
  • 유병민 (건국대학교 사범대학) ;
  • 오재연 (광주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
  • 남민우 (건국대학교 쿨하우스 교육팀)
  • Received : 2010.02.03
  • Accepted : 2010.03.13
  • Published : 2010.03.30

Abstract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learning effectiveness of multi-media based class by comparing with traditional classroom method. The "Basic Agricultural Technology" course that is one of the required courses of agricultural high school was selected and its contents were digitalized on MS Powerpoint for multi-media based class. The thirty students were sampled for eac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homogeneity and learning achievement of sample groups were tested for experiment. Same teacher took the classes of two groups and delivered same contents of course. Only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as the delivery method, one is traditional classroom teaching method and the other was the multi-media based class. The learning achievements and satisfaction of sample were post-tested in order to analyze the learning effectiveness by comparing two teaching method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in learning achievement after ANCOVA controlled pre-test as covariance(F=5.08, p<.05). It means that the learning achievement of multi-media based class was higher than that of traditional classroom group.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udents’ satisfaction between two groups (t=5.57, p<.001). This study concluded that using multi-media in class could produce more learning achievements and satisfaction of students than traditional classroom method.

Keywords

References

  1. 강대구. (1998). 멀티미디어 매체를 활용한 농업교과의 실습 수업 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농업교육학회지, 32(1), 31-60.
  2. 교육인적자원부. (2004). 농업기초기술. 국정교과서.
  3. 김수욱, 윤세훈, & 남민우. (2006). .농업이해.교과의 효율적 학습을 위한 멀티미디어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8(2), 95-115.
  4. 김수욱, 유병민, 오재연, 남민우, 김대경, & 송훈엽. (2006). 실업계 교육자료 활용실태 조사 및 효과성 분석 연구. 연구보고 CR 2006-31. 한국교육학술정보원.
  5. 김신자, 이인숙, & 양영선. (1999). 교육공학의 이론과 실제. 서울: 문음사.
  6. 김은영. (2005). e-Learining을 위한 컨텐츠 개발 및 ICT 수업의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7. 김정현. (2006). ICT 활용수업에서 수업통제방식과 학습자의 초인지, 컴퓨터 활용능력이 학업성취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8. 박성열, 이종연, 유병민, 서용권, & 이현아. (2005). 친환경농업 교육 웹 사이트 및 컨텐츠 개발과 교육효과성 평가.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7(3), 29-46.
  9. 박성열, 김수욱, 유병민, 남민우, 김학섭, & 이현아. (2006). 친환경농업 애니메이션 e-Learning 컨텐츠 개발과 교육 효과성 검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8(2), 137-152.
  10. 양영선, & 김진숙. (1997).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 연구. 연구보고 RR 97-5. 한국교육학술정보원.
  11. 주영주, & 문자영. (2004). 초등학교 ICT 활용수업에서 수업통제방식과 사전지식, 컴퓨터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성취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과교육학연구, 8(2), 123-146.
  12. 정교철, & 윤정란. (2005). 환경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멀티미디어 학습자료개발. 교과교육연구논집, 창간호, 163-192.
  13. 정인성, & 임정훈. (1999). 웹 기반 가상수업의 학습자 만족도 분석에 관한 연구. 교육방송연구, 5(2), 151-175.
  14. 정지나. (2003).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수준별 수업이 중학생의 과학 학업 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학교 2학년 '광합성과 호흡' 단원을 중심으로-. 이화교육논총, 13, 57-70.
  15. 허지은. (2000).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STS 수업이 실업계 고등학생의 학업 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교육논총, 11, 139-155.
  16. 홍순자, 김종균, 박영철, & 김현섭. (2000). 중학교 생물 분야에 대한 멀티미디어 학습자료의 현장 적용 연구. 과학교육연구, 31(1).
  17. Koch, S., Townsend, C. D., & Dooley, K. E. (2005). A case study comparison between web-based and traditional graduate level academic leadership instruction.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46(4), 72-82. https://doi.org/10.5032/jae.2005.04072
  18. Roberts, T. G., & Dyer, J. E. (2005). The influence of learning styles on students attitudes and achievement when an illustrated web lecture is used in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46(2), 1-10. https://doi.org/10.5032/jae.2005.02001
  19. Stephen M. A., & Stanley R. T. (2003). 멀티미디어와 학습: 설계 및 개발. (김동식, 박인우 공역). 서울: (주) 피어슨 에듀케이션 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