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rbal material

검색결과 352건 처리시간 0.027초

목이버섯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Auricularia spp.)

  • 박건희;김길자;장갑열;박기문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03-110
    • /
    • 2018
  • 11 종의 목이버섯 자실체로부터 얻은 50% EtOH추출물을 사용하여 지방전구세포인 3T3-L1의 지방세포 분화억제 효과를 확인한 모든 strain에서 억제효과가 존재하였다. 털목이에서는 21001 균주가 가장 우수하였고 흑목이에서는 21002 균주가 억제효과가 우수하였다. 전반적으로 털목이가 흑목이에 비해 지방세포 분화억제 효과가 우수하였다. 또한 Adipocyte RNA 발현량과 protein 발현량 측정 실험에서도 털목이 21001 균주가 지방세포 분화억제 효과에 있어서 가장 우수하였다. 털목이 21001 버섯을 사용하여 동물실험을 진행한 결과 털목이 자실체 분말이나 50% EtOH 추출물을 급여한 실험에서 체중 감소효과가 나타났으며, 특히 EtOH 추출물 0.2%를 급여한 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P<0.05). 동물 희생 후 적출한 간 중량 및 부고환지방량과 혈청 내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 혈당, ALT, AST 등도 털목이버섯 21001 EtOH 추출물 0.1% 이상 급여 시 고지방식이만을 급여한 군에 비해 유의차(*P<0.05 이상) 있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Effect of the Concentration of Cobalt Chloride Solution for the Preparation of Nano-Sized Cobalt Oxide Powder by Spray Pyrolysis Process

  • Yu, Jae Keun;Cha, Kwang Yong;Seo, Dong Jun;Han, Joung Su;Jang, Jae Bum;Lee, Yong Hwa;Kim, Dong Hee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277-284
    • /
    • 2014
  • Using the spray pyrolysis process, nano-sized cobalt oxide powder with average particle size below 50 nm was prepared from cobalt chloride solution. The influences of the raw material solution on the properties of the powder formed examined. When the concentration of Co was low(20 g/L),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powder formed was roughly 20 nm, and the cohesion between these particles was significantly strong. When the concentration of Co increased to 100 g/L, the droplets nearly failed to exist in circular form and reflected a severely divided form. Furthermore, the average size of the particles formed was roughly 40 nm, and the particles reflected a polygonal form. When the solution was increased to nearly saturation level (Co at 200 g/L),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reflected significant unevenness due to severe droplet division while the surface also reflected significant unevenness. Furthermore, the average size of the particles formed increased significantly to 70 nm. The results of XRD analysis showed that the strength of the peaks reflected very little change when the concentration of Co was increased from 20 g/L to 50 g/L. Alternatively, when the concentration was increased to 100 g/L, the strength of the peaks increased compared to when the concentration was 50 g/L. However, when the concentration was increased to 200 g/L, the strength of the peaks failed to reflect significant change compared to when the concentration was 100 g/L. The specific surface area dramatically decreased by 30 % when the concentration of Co was increased from 20 g/L to 50 g/L. Alternatively, when the concentration of Co the solution increased to 100 g/L, the specific surface area decreased by roughly 15 %. Furthermore, when the concentration of Co was increased to nearly saturation level(200 g/L), the specific surface area decreased by roughly 35%.

MIA로 퇴행성관절염을 유도한 랫드에 방사선 형질전환 차조기가 증상 예방 및 완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Radiation Mutant Perilla frutescens var. crispa in Preventing and Alleviating Symptoms in a Monosodium Iodoacetate-Induced Osteoarthritis Rat Model)

  • 심부용;주인환;김성규;지중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830-838
    • /
    • 2020
  • 본 연구는 MIA로 퇴행성관절염을 유도한 랫드에 방사선 형질전환 차조기가 골 대사 및 염증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였다. 방사선 형질전환 차조기를 2주 동안 25, 50, 100 mg/kg/day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하고 랫드의 우측 관절 내 공간에 MIA를 주입하였다. 이후 동일한 용량을 4주 동안 지속 투여하였다. 혈청 바이오마커와 무릎 관절 분석의 형태학 및 조직병리학적 분석에 기초한 치료 효과를 평가하였다. 대조군 랫드와 비교하였을 때 방사선 형질전환 차조기는 혈청 내 염증 및 골 대사 마커(COX-2, LTB4, MMP-3, COMP)의 생성량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이와는 다르게 TIMP-1 및 calcitonin의 생성이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방사선 형질전환 차조기는 무릎 연골과 활막을 효과적으로 보존하였다. 그 결과, 방사선 형질전환 차조기는 퇴행성관절염 증상을 예방하고 완화였다. 따라서, 방사선 형질전환 차조기는 퇴행성관절염 관리를 위한 식·의약품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

타임으로부터의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추출 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of flavonoid compounds from Thyme (Thymus vulgaris Libiatae))

  • 박윤진;이주미;인만진;채희정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3권1호
    • /
    • pp.111-116
    • /
    • 2020
  • 타임, 바질, 로즈마리 등 20종의 허브 식물에 대한 8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탐색 대상 허브 식물 중 타임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6.90±0.02 mg CAE/100 g로 높은 값을 보였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71±0.19 mg NE/100 g으로 가장 높았다. 또한 DPPH radical 소거능은 93.14±0.23%로 매우 높은 수준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타임으로부터 플라보노이드를 추출하기 위하여 용매로서 물, 에탄올, 메탄올, 헥산 중 추출수율이 높은 헥산을 추출용매로 선정하였다.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타임 추출물의 최적화 추출조건으로 추출온도는 35.9 ℃, 농도는 1.63%, 시간은 192분이었다. 예측된 조건으로 제조한 타임 n-헥산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예측 값의 96.3%로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한 추출조건 최적화의 신뢰성이 검증되었다. 이상의 최적화된 추출 조건은 플라보노이드의 생산을 위한 타임의 용매추출 조건으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C12와 BV2 세포에서 동충하초 추출물의 인지능력 개선 효과 (Improving Effect to Connitive Ability of Cordyceps militaris Extract in PC12 and BV2 cells)

  • 최순희;승오탁;이명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468-478
    • /
    • 2019
  • 본 연구는 동충하초 추출물을 PC12 및 BV2 세포에서 인지능력 개선에 대한 효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동충하초 추출물을 증류수로 추출하여 PC12 및 BV2 세포로 MTT 분석을 통해 세포 생존율을 확인하고 L-glutamate로 유도한 PC12 세포를 통해 세포 보호 효능과 아세틸콜린 함량 및 아세틸콜린에스테아제 활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LPS로 유도한 BV2 세포를 통해 nitric oxide (NO) 및 prostaglandin E2 (PGE2) 생성량 등의 항염증 효능을 측정하고 western blot 분석을 통해 $NK-{\kappa}B$, p38, JNK, caspase-3 등의 단백질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동충하초 추출물은 $200{\mu}g/m{\ell}$ 농도를 제외하고 1, 10, $100({\mu}g/m{\ell})$ 농도에서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L-glutamate로 유도한 PC12 세포에서 유의성있게 세포 보호 효능과 아세틸콜린 함량의 증가, 아세틸콜린에스테아제 활성 감소가 나타났다. 또한, 동충하초 추출물은 NO 및 PGE2 생성량과 $NK-{\kappa}B$, p38, JNK, caspase-3 등의 단백질 발현을 억제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동충하초 추출물이 인지능력에 대한 예방 및 개선 효능이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동충하초 추출물은 인지능력 개선을 위한 새로운 천연 소재로 활용될 수 있다.

열수 및 80% 에탄올로 추출한 박하의 생리활성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f the biological activities effect of Mentha arvensis L. extracts from water and 80% ethanol)

  • 최동훈;승오탁;임미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208-216
    • /
    • 2019
  • 본 연구는 박하 추출물을 통해 독성검사 및 항산화, 항염증과 같은 생리활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박하 추출은 열수 및 80% 에탄올로 추출하였으며, RAW 264.7 세포를 통해 MTT를 통해 세포 생존율을 평가하였다. 또한, LPS로 유도한 RAW 264.7 세포를 통해 활성산소(ROS), 산화질소(NO), 류코트리엔 B4($LTB_4$), 항염 또는 염증성 사이토카인($IL-1{\beta}$, IL-6, $TNF-{\alpha}$, IL-10) 등을 ELISA 및 Luminex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박하 추출물은 열수 및 80% 에탄올 추출물에서 세포독성이 없었으며, 80% 에탄올 추출물의 $100{\mu}g/m{\ell}$ 농도에서 활성산소의 생성을 억제하였다. 또한, NO, LTB4, 염증 또는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모든 추출물에서 농도 의존적 효능을 나타냈다. 즉, 박하 추출물은 세포독성 없이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생리학적 효능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와 관련된 증상을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건강식품 및 치료제의 원료로 개발될 수 있다.

항가려움증 활성에 섬애약쑥(Artemisia argyi H.)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omaeyakssuk (Artemisia argyi H.) Extracts on Anti-pruritic Activities)

  • 이해진;임현지;임미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1292-1301
    • /
    • 2021
  • 본 연구는 섬애약쑥(Artemisia argyi H.)의 항가려움증 활성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로써 가려움증 관련인자 등을 측정하였다. 섬애약쑥은 열수로 추출(Artemisia argyi H. distilled water extract 이하, AAD)하여 MTT assay로 세포독성을 측정하였고 항 가려움증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IL-4와 IL-31 관련 전사인자 발현 및 단백질 생성을 측정하였으며, 히스타민의 발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25, 50, 100 ㎍/㎖의 농도에서는 유의한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가려움증 연관 유전인자인 IL4의 경우 25 ㎍/㎖의 농도에서 약 12%, 50 ㎍/㎖의 농도에서 약 26%, 100 ㎍/㎖의 농도에서 약 61%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IL31의 경우 50 ㎍/㎖의 농도에서 약 33%, 100 ㎍/㎖의 농도에서 약 33%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연관된 단백질 측정의 경우 각각 50 ㎍/㎖와 100 ㎍/㎖의 농도에서 IL-4는 약 34% 및 약 69%, IL-31은 약 36% 및 약 37%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 결과는 ADD가 항가려움증을 위한 소재로써 가능성을 보여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Lagerstroemia ovalifolia Exerts Anti-Inflammatory Effects in Mice of LPS-Induced ALI via Downregulating of MAPK and NF-κB Activation

  • Min, Jae-Hong;Kim, Seong-Man;Park, JI-Won;Kwon, Nam Hoon;Goo, Soo Hyeon;Ngatinem, Ngatinem;Ningsih, Sri;Paik, Jin-Hyub;Choi, Sangho;Oh, Sei-Ryang;Han, Sang-Bae;Ahn, Kyung-Seop;Lee, Jae-W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11호
    • /
    • pp.1501-1507
    • /
    • 2021
  • Lagerstroemia ovalifolia Teijsm. & Binn. (LO) (crape myrtle) has reportedly been used as traditional herbal medicine (THM) in Java, Indonesia. Our previous study revealed that the LO leaf extract (LOLE) exerted anti-inflammatory effects o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RAW264.7 macrophages. Based on this finding, the current study aimed to evaluate the protective effects of LOLE in a mouse model of LPS-induced acute lung injury (ALI). The results showed that treatment with LPS enhanced the inflammatory cell influx into the lungs and increased the number of macrophages and the secretion of the inflammatory cytokines in the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 of mice. However, these effects were notably abrogated with LOLE pretreatment. Furthermore, the increase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cyclooxygenase-2 (COX-2) and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MCP-1) expression in the lung tissues of mice with ALI was also reversed by LOLE. In addition, LOLE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LPS-induced activation of the MAPK/NF-κB signaling pathway and led to heme oxygenase-1 (HO-1) induction in the lungs. Additionally, in vitro experiments showed that LOLE enhanced the expression of HO-1 in RAW264.7 macrophages. The aforementioned findings collectively indicate that LOLE exerts an ameliorative effect on inflammatory response in the airway of ALI mice.

방사선 형질전환 차조기와 백출 복합추출물이 퇴행성관절염 관련 매개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adiation Mutant Perilla frutescens var. crispa and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umi Complex Extract on the Mediators Related to Degenerative Arthritis)

  • 심부용;주인환;김성규;지중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368-377
    • /
    • 2021
  • 본 연구는 방사선 형질전환 차조기와 백출복합물(차조기 복합물)이 퇴행성관절염 관련 매개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MIA(monosodium iodoacetate)로 퇴행성관절염을 유도한 랫드로 평가하였다. 차조기 복합추출물을 2주 동안 25, 50, 100 mg/kg/day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하고 랫드의 우측관절 내 공간에 MIA를 주입한 후 동일 용량을 4주 동안 지속 투여하였다. 이후, 혈청 바이오마커와 무릎 관절 분석의 형태학 및 조직병리학적 분석에 기초한 치료 효과를 평가하였다. 대조군 랫드와 비교하였을 때 차조기 복합추출물은 혈청 내 염증 및 골 대사 마커(TNF-α, MMP-3, COX-2, PGE2, COMP, Aggrecan)의 생성량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이와는 반대로 연골 흡수 매개체인 CTX-2 생성을 증가시켰으며, 방사선 형질전환 차조기는 무릎 연골과 활막을 효과적으로 보존하였다. 그 결과, 차조기 복합물은 퇴행성관절염 증상을 개선하였다. 따라서, 차조기 복합물은 퇴행성관절염 관리를 위한 식품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

Ficus vasculosa Wall. ex Miq. Inhibits the LPS-Induced Inflammation in RAW264.7 Macrophages

  • Ji-Won, Park;Jin-Mi, Park;Sangmi, Eum;Jung Hee, Kim;Jae Hoon, Oh;Jinseon, Choi;Tran The, Bach;Nguyen, Van Sinh;Sangho, Choi;Kyung-Seop, Ahn;Jae-Won, Lee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574-583
    • /
    • 2022
  • Ficus vasculosa Wall. ex Miq. (FV) has been used as a herbal medicine in Southeast Asia and its antioxidant activity has been shown in previous studies. However, it has not yet been elucidated whether FV exerts anti-inflammatory effects on activated-macrophages. Thus, we aimed to evaluate the ameliorative property of FV methanol extract (FM) on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inflammatory responses and the underlying molecular mechanisms in RAW264.7 macrophages.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d that FM decreased the produc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NO/PGE2) and the mRNA/protein expression of iNOS and COX-2 in LPS-stimulated RAW264.7 cells. FM also reduced the secretion of interleukin (IL)-1β, IL-6, tumor necrosis factor (TNF)-α and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 (MCP)-1 in LPS-stimulated RAW264.7 cells. Results also demonstrated that FM improved inflammatory response in LPS-stimulated A549 airway epithelial cells by inhibiting the production of cytokines, such as IL-1β, IL-6 and TNF-α. In addition, FM suppressed MAPK activation and NF-κB nuclear translocation induced by LPS. FM also upregulated the mRNA/protein expression levels of heme oxygenase-1 and the nuclear translocation of nuclear factor erythroid 2-related factor 2 in RAW264.7 cells. In an experimental animal model of LPS-induced acute lung injury, the increased levels of molecules in bronchoalveolar lavage (BAL) fluid were suppressed by FM administration. Collectively, it was founded that FM has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n activated-macrophages by suppressing inflammatory molecules and regulating the activation of MAPK/NF-κB signa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