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t inactivation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35초

단체급식에서 시금치의 조리방법에 따른 Carotenoids 및 Cis/Trans β-Carotene 함량의 변화 (Changes in the Contents of Carotenoids and Cis/Trans β-Carotenes of Fresh and Cooked Spinach in Foodservice Operations)

  • 임양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17-12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단체급식에서 많이 이용되는 시금치의 조리방법에 따른 카로티노이드 분리 및 정량을 위해서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시금치의 methanol 추출물로 THF 용매 분획물에 대하여 카로티노이드 및 그 이성체 화합물을 표준품으로 해서 분리된 카로티노이드의 RT와 함량은 lutein(63%), zeaxanthin(2.1%), crytoranthin, 13-cis-$\beta$-carotene(1.8%), a-carotene, trans-$\beta$-carotene(29.6%), 9-cis-$\beta$-carotene(3.1%)의 순으로 분리되었으며, 여기서 분리된 crytoxanthin은 미량 검출되어 본 실험에서는 정량하지 않았다. Lutein은 다른 카로티노이드에 비하여 조리방법 및 가열에 의한 영향을 비교적 덜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zeaxanthin은 조리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trans-cis-$\beta$-carotene의 이 성 체 인 9-cis-$\beta$-carotene과 1,3-cis-$\beta$-carotene은 조리방법과 상관없이 가열 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가열과정이 trans-$\beta$-carotene의 이성화를 형성시키는 것으로 설명된다. Steam 조리 및 냉동 후 microwave조리에서 trans-$\beta$-carotene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시금치의 총 non-provitamin A의 경우, 각 처리구간에 별 차이가 없었으나, 총 provitamin A에서는 원재료와 냉동 후 조리에서 유의적 차이를 볼 수 있었다(p<0.05). 또한 provitamin A로서의 기능이 가장 큰 trans-$\beta$-carotene은 steam으로 가열한 경우 가장 높았으며 또한 카로티노이드의 총 함량도 다른 시료보다 높은 함량을 보여주었다. 그 다음은 냉동 후 microwave로 가열한 시료로 두 시료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steam 가열시료, 냉동 후 가열시료, 원재료를 microwave로 가열한 시료 그리고 원재료 시금치의 순으로 카로티노이드의 총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홍삼과 백삼의 비교 고찰 (The Comparative Understanding between Red Ginseng and White Ginsengs, Processed Ginsengs (Panax ginseng C. A. Meyer))

  • 남기열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9권1호
    • /
    • pp.1-18
    • /
    • 2005
  • 인삼(Panax ginseng C.A. Meyer)은 가공방법fl 따라 크게 백삼과 홍삼으로 분류된다. 가공 공정 면에서 홍삼은 생 인삼(수삼)을 그대로 건조한 백삼과는 다르게 일정한 온도조건 하에서 수증기로 쪄서 건조 한 인삼으로 두 종류의 인삼간에는 열처리 공정에 차이점이 있다. 품질 안정성 면에서 홍삼은 열처리과정에서 효소의 불 활성화와 자체 항산화 물질의 증가로 저장성이 양호하고, 호화전분이 되어 끓일 때 내용성분이 잘 우러나오고 소화 흡수도 양호한 것으로 여겨진다. 성분 면에서 홍삼제조 시 열처리(steaming처리)와 가수분해 반응에 의해 화학성분의 구조적 변환이 일어나 홍삼특유의 암세포증식억제 활성 성분인 $ginsenosides-Rh_2,\;-Rh_4,\;-Rs_3,\;-Rs_4,\;-Rg_5$, 암세포 전이 억제 및 혈관확장 효과 등을 나타내는 $ginsenoside-Rg_3$ 등이 생성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비사포닌계 생리활성물질로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을 가진 polyacetylenic alcobol의 구조적 변환에 의해 panaxytriol 등이 생성되고, 그리고 maillard 반응 생성물로 항산화 활성 성분인 maltol과 당과 아미노산이 결합된 아미노산 유도체인 arginyl-fructsyl-glucose등이 생성된다. 한편 홍삼과 백삼 및 이들 제품의 수출과 관련하여 각 수출 대상국의 진세노사이드 수준의 품질관리기준에 대한 충분한 분석화학적 정보의 확보가 필요하며, 금후 이에 적합한 품질기준의 설정 보완이 필요할 것이다. 특히 홍삼의 경우 찌는 온도와 시간의 장단에 따라, 또는 그 농축액 제조 시 추출 및 농축 조건(온도와 시간)에 따라 인삼의 품질 지표 성분으로 이용되고 있는 ginsenosides를 비롯한 상당한 성분의 변환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품질관리방법의 고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효능 면에서 홍삼과 백삼의 차별성에 대해서는 in vitro 혹은 in vivo 시험에서 노화억제효과와 관련된 항산화 활성을 비롯해서 혈액순환개선 효과, 암 발생 억제력 등의 약리 활성이 홍삼이 백삼보다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아울러 한방의학에서 일반적으로 허를 보 하는 힘은 홍삼이 강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실제 임상실험에 의한 비교 평가는 미흡한 실정이며, 특히 경구투여 후 체내 동태측면에서 그 효과의 차별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금후 홍삼과 백삼의 효과 우열의 측면이 아닌 그 용도와 적응증에 차이가 있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보다 과학적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가능한 동일한 재배조건에서 생산된 원료수삼으로 제조된 홍삼과 백삼의 원 생약과 그 추출 분획물, 또는 성분을 시료로 하여 화학성분 조성을 비교하고 이와 연계한 실험적 효능연구의 확충과 특히 임상적 효능 비교연구를 통해 과연 그 적응증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보다 많은 과학적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rmus thermophilus HJ6 유래 내열성 Trehalose Synthase의 유전자 클로닝 및 발현 (Gene Cloning and Expression of Trehalose Synthase from Thermus thermophilus HJ6)

  • 김현정;김한우;전숭종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82-188
    • /
    • 2008
  • 내열성 Trehalose synthase를 생산하는 초고온성 균주 HJ6은 일본 Arima 온천수에서 분리하였다. 세포의 길이는 $2{\sim}4\;um$, 직경 0.4 um의 간균으로 생육최적 pH와 온도는 각각 6.5와 $80^{\circ}C$이였다. 분리된 균주의 16s rRNA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계통학적으로 분류한 결과, HJ6 균주는 Thermus thermophilus에 속하는 것으로 동정되었다. PCR법을 이용하여 trehalose synthase(TS) 유전자를 클로닝하고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ORF는 2,898개의 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되고 915개의 아미노산을 암호화하였다. 아마노산 서열을 바탕으로 상동성을 분석한 결과, Thermus caldophilus GK24 유래 TS와 99%, Meiothermus ruber 유래 TS와 83%의 identity를 나타내었다. 이 유전자를 온도감수성 프로모터를 포함하는 pJLA503 벡터를 이용하며 대장군에서 발현하고 정제하여 약 110 kDa 단백질을 얻을 수 있었다. 정제된 효소는 트레할로스 전환활성에 대한 최적 pH가 7.5이고, 최적온도는 $80^{\circ}C$이며, 활성의 반감기는 $90^{\circ}C$에서 40분으로 확인되어 높은 내열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효소의 트레할로스 최대 전환율은 기질농도 500mM에서 55.7%를 나타내었고, 기질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더불어 증가하였기 때문에 본 효소의 트레할로스 전환율을 기질농도에 의존적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Increase of L-type Calcium Current by cGMP-dependent Protein Kinase Regulates in Rabbit Ventricular Myocytes

  • Han, Jin;Kim, Na-Ri;Kim, Eui-Yong;Ho, Won-Kyung;Earm, Yung-E;Kim, Han-Kyou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권6호
    • /
    • pp.733-742
    • /
    • 1998
  • Background: We have previously reported that not only cGMP but also 8-Br-cGMP or 8-pCPT-cGMP, specific and potent stimulators of cGMP-dependent protein kinase (cGMP-PK), increased basal L-type calcium current $(I_{Ca})$ in rabbit ventricular myocytes. Our findings in rabbit ventricular myocytes were entirely different from the earlier findings in different species, suggesting that the activation of cGMP-PK is involved in the facilitation of $I_{Ca}}$ by cGMP. However, there is no direct evidence that cGMP-PK can stimulate $I_{Ca}}$ in rabbit ventricular myocytes. In this report, we focused on the direct effect of cGMP-PK on $I_{Ca}}$ in rabbit ventricular myocytes. Methods and Results: We isolated single ventricular myocytes of rabbit hearts by using enzymatic dissociation. Regulation of $I_{Ca}}$ by cGMP-PK was investigated in rabbit ventricular myocytes using whole-cell voltage clamp method. $I_{Ca}}$ was elicited by a depolarizing pulse to +10 mV from a holding potential of -40 mV. Extracellular 8-(4-Chlorophenylthio)-guanosine-3',5'-cyclic monophosphate (8-pCPT-cGMP), potent stimulator of cGMP-dependent protein kinase (cGMP-PK), increased basal $I_{Ca}}$. cGMP-PK also increased basal $I_{Ca}}$. The stimulation of basal $I_{Ca}}$ by cGMP-PK required both 8-Br-cGMP in low concentration and intracellular ATP to be present. The stimulation of basal $I_{Ca}}$ by cGMP-PK was blocked by heat inactivation of the cGMP-PK and by bath application of 8-(4-chlorophenylthio)-guanosine-3',5'-cyclic monophosphate, Rp-isomer (Rp-pCPT-cGMP), a phosphodiesterase-resistant cGMP-PK inhibitor. When $I_{Ca}}$ was increased by internal application of cGMP-PK, IBMX resulted in an additional stimulation of $I_{Ca}}$. In the presence of cGMP-PK, already increased $I_{Ca}}$ was potentiated by bath application of isoprenaline or forskolin or intracellular application of cAMP. Conclusions: We present evidence that cGMP-PK stimulated basal $I_{Ca}}$ by a direct phosphorylation of L-type calcium channel or associated regulatory protein in rabbit ventricular myocytes.

  • PDF

사과 Peroxidase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uji Apple Peroxidase)

  • 지완정;조남숙;김인철;박관화;최언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42-446
    • /
    • 1991
  • Fuji 사과로부터 acetone 처리 및 CM-cellulose column chromatography를 통하여 3개의 peroxidase isozyme(peak I, II, III)을 분리하고 isoelectric focusing에 의하여 pI값이 각각 3.80, 8.82, 8.35임을 확인하였다. Peroxidase isozyme의 최적 pH는 guaiacol과 $H_{2}O_{2}$를 기질로 하였을 때 peak I이 pH5.0, peak II, III은 pH5.5 이었으며 최적온도는 peak I, II, III 모두 $40^{\circ}C$이었다. $70^{\circ}C$에서 각 isozyme의 D값은 660초, 1,320초, 600초로서 peak II isozyme이 가장 열에 안정하였다. 당(0.032 M)의 존재하에서는 sucrose와 lactose는 효소의 열안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fructose와 glucose는 열안정성을 현저하게 감소시켰다. 이는 환원당과 효소단백질의 상호작용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a novel extracellular pullulan 6-glucanohydrolase from Bacillus circulans S-1

  • Lee, Moon-Jo;Park, Cheon;Park, Joon-Ho;Chung, Kang-Hyun;Nam, Kyung-Soo;Park, Jin-Woo;Kim, Cheorl-Ho
    • 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07-316
    • /
    • 2000
  • Bacillus circualans S-1으로부터 새로운 균체외 pullulan 6-glucanohydrolase(EP)를 정제하였다. 정 제된 EP는 SDS하에서 140kDa의 분자량을 나타내었으며, pI는 5.5이었다. SDS-PAGE에 의해 분석된 이 EP는 Schiff staining에 대하여 negative이었으며, 또한 아미노 말단기 순서는 P-L-N-M-S-Q-P이었 다. 정제된 EP는 6$0^{\circ}C$ 부근의 최적온도와 pH 9.0 부근에서 최적 pH를 나타내었으며, pH 4.0에서 pH 11 까지 4$^{\circ}C$에서 24시간동안 반응에서도 안정하였다. 또한 기질로 사용된 Pullulan은 열불안정화로부터 효 소를 보호하였으며, 그 범위는 기질 농도에 의존하였다. 이 EP의 활성은 Mn2+, Ca2+ 이온 에 의하여 활성화되었으며, amylopectin, glycogen, $\alpha$,$\beta$-limited dextrin 및 pullulan의 $\alpha$-1,6-linkage를 가수분해 하였다. 정제된 EP는 pH 9.0 및 5$0^{\circ}C$에서 측정하였을 때 pullulan의 경우는 7.92mg/ml의 Km값을 각각 나타내었다. 또한 정제된 EP는 pullulan을 maltotriose까지 완전히 가수분해하였다. 그리고 Mouse anti-serum과 함께 western blotting 분석결과 정제된 EP는 배양과정중 단일 형태로 생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애기장대 peroxiredoxins (Prxs)과 sulphiredoxin1 (Srx1)의 작용기작 (Working Mechanism of Peroxiredoxins (Prxs) and Sulphiredoxin1 (Srx1) in Arabidopsis thaliana)

  • 김민갑;수디 무하마드;박상렬;황덕주;배신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2호
    • /
    • pp.1777-1783
    • /
    • 2010
  • 식물체는 대사과정의 부산물로서 또는 생물학적으로 피해를 줄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스트레스에 직면했을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를 생산한다. 이러한 oxidative 스트레스로부터 자신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식물세포들은 다양한 종류의 항산화 단백질들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의 작용기작은 여전히 자세히 밝혀지지 않았다. Peroxiredoxins (Prxs)은 식물체에 광범위하게 존재하는 thiol-을 함유한 항산화 단백질로 N-말단에 존재하는 cysteine 잔기를 이용하여 hydrogen peroxide를 환원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peroxiredoxins의 활성부위인 cysteine 잔기는 선택적으로 cysteine sulfinic acid로 산화됨으로써 peroxidase activity의 불활성화를 일으킨다. 이러한 산화과정은 비가역적으로 일어난다. 최근 발견된 진핵생물들에 잘 보존된 sulphiredoxin (Srx1)이라 불리는 단백질은 cysteine-sulphinic acid를 환원시키는 기능을 지닌다. 본 논문에서는 애기장대에 존재하는 Prxs와 Srx의 기능에 대하여 서술할 예정이다.

폐흡충(Paragonimus Tuestermani) 피낭유충에 대한 대식세포의 세포독성에 있어서 항체 및 보체가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ntibodies and complement in macrophage-mediated cytotoxicity on metacercariae of the lung fluke, Paragonimus westeymani)

  • 민득영;안명희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8권2호
    • /
    • pp.91-100
    • /
    • 1990
  • 폐흡충(Paragonimus Tuestermani) 피낭유충을 흰쥐(Wistar) 및 고양이에 감염시키고 감염 힐청이나 분회분리된 IgG또는 보체가 정상 또는 감염 흰쥐 복강 대식세포의 폐흡충 유충 살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부착 실험 (adherence assay) 및 세포독성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폐흡충 감염은 복강 대식세포를 비특이적으로 활성화시퍼 대식세포의 유충에 대한 부착률 및 세포독성을 증가시켰으며, 감염 혈청을 첨가하였을 때 항체-의존 세포매개성 세포독성에 의해 배양 6시간 후에 세포 부착률 및 세포독성이 가장 강하였다. 감염 혈청을 56℃에서 30분간 가열하였을 때 IgG 항체 변성에 의해 세포독성이 저하되었다. IgG 및 보체를 첨가한 경우 세포 부착률은 낮았으나 24시간 후에는 유충이 사멸하였다. 그러나 보체의 단독적인 역할은 이 실험에서 알 수 없었다.

  • PDF

대두 열수 침출액을 이용한 청국장 발효균주 Bacillus pumilus JB-1의 배양 최적화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s of Bacillus pumilus JB-1 for Chungkook-jang Fermentation in Soybean Boiling-Waste Liquor Medium)

  • 권하영;류희영;권정숙;이상한;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04-309
    • /
    • 2007
  • 생 대두는 설사, 체중감소 등의 농도 의존적 독성을 나타내므로, 가열처리 및 발효과정이 필요하며, 이 과정 중에 대두 열수 침출액이 부산물로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대부분이 폐기되고 있는 대두 열수 침출액을 저 이취, 면역증강 활성이 강력한 청국장 발효균주 Bacillus pumilus JB-1의 대량생산을 위한 배지로 사용하고자, 대두 열수 침출액의 성분을 검토하고 이에 따른 최적 배양조건을 검토하였다. 대두 열수 침출액은 88% 수분함량, 9.5%총당, 1.6% 조단백, 0.3% 조지질, 0.1% 조섬유와 2.1%의 회분을 포함하였으며,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s 및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생 대두의 55%, 76%,및 30%수준을 나타내어 영양적으로 매우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검토된 B. pumilus JB-1 균주 최적배양조건은 1/10 희석한 침출액에 pH 무조정, 무가당, $(NH_4)_2SO_4$ 0.1% 첨가한 후, 균주를 0.5% 접종하여 $37^{\circ}C$, 120 rpm 교반조건에서 48시간 배양이었다. 최종적으로 5리터 Jar fermentor를 이용한 대량발효에서 효율적인 청국장 스타터 균주생산 및 대두 열수 침출액의 기능성소재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Leuconostoc mesenteroides에서 分離한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의 特性 (Characteristics of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from Leuconostoc mesenteroides)

  • 변시명;최양도;한문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48-258
    • /
    • 1979
  • 저자들은 Cibacron Blue F3G-A Separose 컬럼 어피니티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GIn-cose-6-phosphate dehydrogenase를 Leuconostoc mesenteroides로부터 순수 분리한 바 있다. 이 효소를 사용하여 효소특성을 조사한 결과 분자량은 Sephadex G-200 컬럼에 의해 112,000이었으며 최적온도는 50$^{\circ}$, 활성화에너 지는 8.36kcal/mole 불활성화에너지는 -58.2kcal/mole로 나타났다. $NADP^+$를 조효소로 사용하였을때 최적 pH7.8에서 K_{G6p}:76.9${\mu}$M, ${\alpha}K_{NADP}:\;7.46{\mu}M,\;{\alpha}KNNADP:\;7.l4{\mu}M$이었으며 같은 조건에서 $NAD^+$를 조효소로 사용하였을때 $K_{G6P}:\;53.65{\mu}M,\;K_{NAD}:\;115.2{\mu}M\;{\alpha}K_{NAD}:\;707.2{\mu}M$이었다. 따라서 $NADP^+$$NAD^+$를 조효소로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alpha}$ 값은 각각 1과 6으로 나타났다. pH변화에 따른 반응속도상수의 변화에 의하면 $NAD^+$를 조효소로 하였을때 최적 pH는 7.8 이었고 pKa가 7.2인 활성기와 ${\mu}Kb$가 9.0∼9.6인 활성기가 효소와 기질의 상호작용에 관여함을 알았다. 이중 pKa 7.2인 활성기를 밝히기 위하여 효소를 광산화와 carboxymethylation을 시킨결과 histidine의 imidazole기임을 알수 있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