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lthy living practice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3초

현대인의 식습관 문제점 인지와 발생 질병극복을 위한 대안 제시: 5대 블루존 중 미국 로마린다 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oblems of Eating Habits of Mordern People and Suggesting Alternatives to Overcome Diseases: A Review of the Five Blue Zones, Based on the Roma Linda Region in the USA)

  • 신경옥;제해종
    •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53-62
    • /
    • 2018
  • 목적: 본 연구는 현대인의 식습관 문제점 인지와 발생 질병극복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로마린다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질병 발병률 감소가 식습관이 미치는 영향 대한 선행연구를 조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방법: 본 연구의 기간은 2016년 5월 1일부터 2018년 2월 28일까지 이루어졌다. 문헌 검색은 database로서 Pubmed와 국내 각각의 학회 사이트를 활용하였다. 잘못된 식습관의 인지를 바탕으로 식습관에 따른 질병의 종류를 분류하여 서술하였다. 본 논문은 분석된 데이터를 통해 객관적으로 해석하고 결론을 유추하였다. 총 100여 편 이상을 선정하여 그 중 60여 편의 논문과 데이터베이스를 가지고 총설을 작성하였다. 결과: 로마린다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균형진 영양섭취, 충분한 운동, 적절한 수분 섭취, 햇빛 쬐기, 절제(알코올 등 절제), 신선한 공기, 적절한 휴식, 그리고 신뢰 등을 기초로 한 영양교육을 철저히 실천하고 있다. 로마린다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대부분은 생활습관 중 특별히 균형 잡힌 영양섭취에 해당하는 식습관은 채소, 과일, 견과류를 충분히 섭취하는 채식위주의 식사를 포함한다. 로마린다에 거주하는 사란들은 다른 곳에 거주하는 사람들에 비해 관상동맥 심장병과 암 발병률이 낮은데, 그것의 직접적인 이유로는 건강한 채식위주의 식습관과 금연, 금주 등을 강조하는 절제생활 및 운동에 대한 인지를 통해 활동량의 증가 등을 꼽는다. 건강한 삶의 여러 요인 중 이 논문이 살펴본 중요한 부분은 식습관인데, 이는 올바른 식습관이 건강한 삶과 직결돼 있고, 좋지 못한 식습관이 많은 질병의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많은 선행연구들이 대부분의 만성퇴행성질환은 나쁜 식습관과 스트레스에서 기인함을 이미 밝혀냈다. 결론: 지역공동체의 식습관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그들의 생활습관이 건강한 삶에 관심을 가진 현대인에게 주는 메시지가 있기 때문이다. 영양교육을 통해 건강하게 사는 사람들의 생활습관, 특별히 로마린다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식습관을 살펴보는 것은 건강한 삶을 추구하고자 하는 현대인들에게 중요한 배움의 기회가 될 것이다. 또한 현대인이 자신의 식습관을 올바르게 인식하여 식행동의 변화를 유도한다면, 질병에 대한 발병률을 감소시키고,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서울시 일부 지역 주부의 나트륨 섭취 감소를 위한 사회인지이론 기반의 영양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및 평가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Based on Social Cognitive Theory for Low Sodium Consumption among Housewives Living in Certain Regions of Seoul)

  • 백재연;이해연;황지윤;김기랑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0호
    • /
    • pp.1243-125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서울 일부 지역 주부 140명을 대상으로 사회 인지론을 적용하여 개발된 나트륨 섭취 감소를 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나트륨 섭취 관련 지식 및 인식, 환경 인식, 식행동을 조사하여 교육 전후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나트륨 섭취 관련 지식 및 인식 항목에서는 하루 필요 소금 섭취량에 대해 인지하는 비율이 교육 후 77.8%로 교육 전보다 54.6%가 증가하였다. 교육 후 싱거운 쪽의 음식의 간을 선호하는 것으로 인식 변화한 대상자는 25.6%였다. 대부분 대상자들은 식생활에서 저염 섭취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고, 싱겁게 조리된 음식을 제공할 시 선택하겠다고 응답한 대상자의 비율이 높아 저염 섭취를 위한 환경적 요인이 향상된다면 저염섭취에 대한 자아효능감에 해당하는 개인적 수준의 영역이 높아질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나트륨 섭취 관련 환경 항목에서는 대상자의 약 2/3가 교육 전 저염식을 먹을 수 있는 곳을 찾아본 경험이 없다고 응답하였으나, 교육 후 찾아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변화된 대상자는 23.6%로 증가하였다. 교육 후 서울 시내에서 저염 음식점의 필요성을 느낀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70.0% 이상이었으나, 저염식을 섭취 시 주변에서 먹을 수 있는 곳을 찾는 것은 대체로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93.5%). 나트륨 섭취 관련 식행동 항목에서 교육 전후로 효과가 있었던 항목은 식품의 영양표시를 확인하고 나트륨이 적은 식품을 선택, 저염 제품 등 나트륨이 적은 식품을 구매, 조리 시 소금의 사용량을 줄이고 마늘, 생강, 고춧가루 등 천연재료를 사용, 패스트푸드(햄버거, 피자 등) 및 가공식품의 섭취 감소 항목으로 직접적인 저염 실천 행동에서의 개선 효과가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환경 요인과 관련된 식행동인 짜지 않게 조리 요청 여부와 저염 제품 및 건강음식점 소개 여부 항목에서는 행동 변화율이 낮았다. 향후 본 연구에서 수행된 저염 섭취를 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보완하기 위하여 저염 섭취를 위한 물리적 환경 개선과 병행하여 환경 인식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고 대상자가 지속해서 저염 섭취를 위한 행동 변화들이 유지될 수 있는 영양교육 내용이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일 지역 성인의 고혈압 유병률 및 관리 실태 (A Study on the Prevalence Rate of Hypertension and the Actual Conditions of Control)

  • 김현옥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54-172
    • /
    • 1999
  • In order to analyse the prevalence rate of hypertension and the actual conditions of control, we selected five districts out of eleven eups and myuns in Chinan Country. We administered structured questionaries to 309 adults above the age of 40, computerized the data using SPSS - PC+. More than 40.1% of adults over 40 in Chinan County have health disorders ranging from high blood pressure to hypertension including alert high blood pressure at 36.2%, relatively high.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differences in the rate of hypertension were influenced by age, occupation and places of residence. Over 71 who are engaged in agriculture, who don't have jobs, who reside in Sungsu, Jungchun, Chinan-eup all have higher hypertension rates than other groups. Accordingly, the control of hypertension should be focused on these people. As a result of the control of blood pressure, the survey showed 93.0% of the subjects were checked mainly at hospitals clinics, health centers subhealth centers and community health posts more than once a year, relatively high level of blood pressure management.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their blood pressure measurements at ordinary times and the level of blood pressure at the time of research was quite considerable. Only 47.3% of the subjects diagnosed with high blood pressure and 70.3% of the subjects with normal blood pressure recognized their blood pressure accurately 52.7% of the subjects diagnosed with high blood pressure showed errors in understanding their blood pressure at normal times. Because these errors can cause problems in the control of blood pressure, proper management should be executed through a systematic examination. As a result of the high blood pressure control condition, the average period of hypertension was 74.5( ${\pm}92.8$) months, 92.3% of the subjects were diagnosed with high blood pressure at hospitals clinics, health centers subhealth centers community health posts, but only 29.5% were examined after a general check up on high blood pressure was completed. 70.5% were diagnosed with high blood pressure only after measuring their blood pressure. 14.1% of the subjects were hospitalized because of falls influenced by high blood pressure. 33.3% attended hospitals and health centers regularily for medical treatment and this shows how low the rate of the control of blood pressure. Most people did not undergo medical treatment, because they had no painful symptoms (46.7%), they didn't need to take the medicine(28.9%), or they forget to take the medicine(20.0%). These problems in the control of hypertension were discovered in the process of diagnosing high blood pressure at health medical institutions. Many people did not recognize the need for consistent control of blood pressure. That is, although the diagnosis for high blood pressures performed at hospitals clinics, health centers subhealth centers and community health posts, was 92.3%, more than 70.5% of the subjects were not examined completely with regard to blood pressure. Accordingly, heath medical institutions must diagnose high blood pressure not only by only measuring blood pressure but also by using systematic process of examination. As for the people diagnosed with high blood pressure, one should perform consistent medical approaches and help them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continuous control of blood pressure through subject-oriented education. Problems the subjects experienced were the following numbness in the limbs easily paralyzed stitches in their shoulders which felt painful, stiff necks, occiputs felt heavy, headaches when they got up in the morning, felt dizzy when standing and moving their heads and poor eyesight. The rate of knowledge related to high blood pressure was 78.7 points, comparatively low. Whether they had normal blood pressure or hypertension made no difference. These results are not desirable. Adult-oriented education forgot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high blood pressure should be implemented. Hypertensive-oriented education should be especially reinforced. Because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knowledge according to age, academic career, occupation or place of residence, education related to hypertension should be intensified and focused on those over the age of 71 those who did not attend school, those who do not have jobs and are engaged in agriculture and residents living in Bugui, Jungchun regions. The degree of healthy life practice in hypertensives is poor, particularly weight control, as opposed to people who have normal blood pressure. It makes no difference in smoking, the amount of daily smoking, drinking, the control of salt because each result means that they are not practicing healthy life or modifying their life-style. The development and programs to improve a healthy life should be executed.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ehold income and dietary intakes of 1-10 year old urban Malaysian

  • Shariff, Zalilah Mohd;Lin, Khor Geok;Sariman, Sarina;Lee, Huang Soo;Siew, Chin Yit;Yusof, Barakatun Nisak Mohd;Mun, Chan Yoke;Mohamad, Maznorila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9권3호
    • /
    • pp.278-287
    • /
    • 2015
  • BACKGROUND/OBJECTIVES: Diet plays an important role in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However, dietary intakes of children living in either rural or urban areas can be influenced by household income. This cross-sectional study examined energy, nutrient and food group intakes of 749 urban children (1-10 years old) by household income status. SUBJECTS/METHODS: Children's dietary intakes were obtained using food recall and record for two days. Diet adequacy was assessed based on recommended intakes of energy and nutrients and food group servings. RESULTS: For toddlers, all nutrients except dietary fiber (5.5 g) exceeded recommended intakes. Among older children (preschoolers and school children), calcium (548 mg, 435 mg) and dietary fiber (7.4 g, 9.4 g) did not meet recommendations while percentage of energy from total fat and saturated fats exceeded 30% and 10%, respectively. The mean sodium intakes of preschoolers (1,684 mg) and school children (2,000 mg) were relatively high. Toddlers in all income groups had similar energy and nutrient intakes and percentages meeting the recommended intakes. However, low income older children had lowest intakes of energy (P < 0.05) and most nutrients (P < 0.05) and highest proportions that did not meet recommended energy and nutrient intakes. For all food groups, except milk and dairy products, all age groups had mean intakes below the recommended servings. Compared to middle and high income groups, low income preschoolers had the lowest mean intake of fruits (0.07 serving), meat/poultry (0.78 serving) and milk/dairy products (1.14 serving) while low income toddlers and school children had the least mean intake of fruits (0.09 serving) and milk/dairy products (0.54 serving), respectively. CONCLUSION: Low socioeconomic status, as indicated by low household income, could limit access to adequate diets, particularly for older children. Parents and caregivers may need dietary guidance to ensure adequate quantity and quality of home food supply and foster healthy eating habits in children.

중년기 기혼남녀의 가족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자원이 결혼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amily stress and social support resources on marital satisfaction among middle-aged married men and women)

  • 박주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9권4호
    • /
    • pp.71-94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measures for social work practice to enhance the happiness of middle-aged married men and women by identifying the effects of family stress and social support resources (formal and informal support resources) on marital satisfaction among mid-life married couples. Subjects were selected through purposive sampling among married men and women aged between 40 and 59 and living in Seoul City and Gyeonggi province. The study results are follows. First, the average score of family stress was 3.06 points (SD=.56), slightly higher than the median value of 3 points. Of all subscales of family stress, the subjects experienced the most stress from family relationships, followed by financial problems, health and loss of families, and work-family compatibility. In regard to social support resources, the mean value of all social support resources categories was greater than the median. Among the subscales, informal support (family support and support from other people) was found to be higher than formal support. The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was higher than the median, and the score was 3.21 points (SD=.78). Second, in order to explore differences in marital satisfaction according to family stress and social support, differences in marital satisfaction were analyzed by grouping subjects who scored high, middle, and low levels of marital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marital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that experienced less family stress (F=6.25, p<.01). With respect to social support, marital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that received high social support (F=29.68, p<.001). Thir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marital satisfaction in middle-aged married men and women, subjective economic status, family relationship stress, economic stress, and family support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higher the subjective economic status and the lower the family relationship stress and economic stress levels, the higher the marital satisfaction among middle-aged married men and women. In addition, the greater the family support, the higher the marital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underscore the need to improve family relationships in middle-aged married couples and to distribute family life education programs that can strengthen family support resources. For example, family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s are currently performed, including "Family School for Middle-Aged Baby Boomers" and others as part of the Healthy Family Support Work regarding the promotion of marital satisfaction of middle-aged couples. In addition, continuing effort is warranted to include content on strengthening family support resources, maximizing the effectiveness of programs, and promoting service accessibility.

성인의 치매 지식, 치매 두려움 및 치매 예방행위 의도가 치매 예방교육 요구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Adult Dementia Knowledge, Fear of Dementia, and Intention of Dementia Prevention Behavior on the Demand for Dementia Prevention Education)

  • 신은희;이혜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67-75
    • /
    • 2023
  • 본 연구는 성인의 치매 지식, 치매 두려움 및 치매 예방행위 의도가 치매 예방교육 요구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충남, 충북에 거주하고 있는 19~64세 성인으로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할 것을 동의한 2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수집된 연구 자료는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다중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성인의 치매 지식과(p=.055) 치매 두려움은(p=.302) 치매예방교육 요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치매 예방행위 의도가(β=.329, p<.001) 치매 예방교육요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치매의 이해와 치매관리사업, 치매조기검진과 치매예방 건강수칙, 치매예방을 위한 만성질환 관리, 치매예방을 위한 운동, 치매예방을 위한 건강한 식생활, 치매예방을 위한 인지증진프로그램 등 국가의 치매 예방 홍보 및 국가 차원의 대응 노력과 더불어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치매예방 프로그램에 적극 참여하여 올바른 치매 예방행동을 실천하고 예방할 수 있는 기회를 충분히 제공해야 한다고 사료된다.

노인의 지역사회 거주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부산광역시 노인을 중심으로 (Significant Factors Related to the Intention of the Elderly to Live in a Community: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 이기영;박미진;유영미
    • 한국노년학
    • /
    • 제27권2호
    • /
    • pp.445-458
    • /
    • 2007
  • 본 연구는 재가노인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지역사회가 중심이 된 다양한 자원에 접근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노인의 지역사회 거주의사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5년 부산광역시의 사회복지 욕구 조사> 데이터를 이차자료로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이 포함된 1,673가구이고, 이 가구의 노인이 해당 설문에 직접 응답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은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이를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80%가 지역사회에 거주하고자 하였고, 자녀가 없는 경우(55.2%)는 배우자가 없는 경우(76.4%)보다 지역사회거주의사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사회 거주의사에 건강할 때에는 자가유무, 자녀유무, 배우자유무, 지역사회자원지각정도, 만성질환수가 적은 경우가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고, 병약할 때에는 교육정도, 기초생활수급유무, 직업유무, 일상생활수행정도, 만성질환수, 자녀유무, 배우자유무가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병약할 때에는 자가유무, 국민기초생활수급유무와 같은 사회경제적 변수가 가족변수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사회 거주의사를 가진 노인들의 재가복지서비스이용의사욕구는 낮은 편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통한 정책적 제언과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건강증진과 관련된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Association of Health-related Behaviors with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 노원환;김석범;강복수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3권2호
    • /
    • pp.157-174
    • /
    • 1998
  • 인구사회학적 변수가 건강생활양식 실천도와 건강증진관련 행위의 실천율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3년 6월 1일부터 2개월간 경주시에 거주하는 주민 1,903명을 대상으로 사전에 훈련된 조사원이 가구방문을 통하여 면접조사표에 의거 직접 면접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내용은 인구학적 및 사회경제적 특성, 상병 및 의료이용양상, 그리고 건강증진과 관련된 행위(남자 24개, 여자 26개 항목)이었다. 조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별로 건강생활양식 실천도가 높은 경우한 남자의 고연령군, 유배우 기혼자와 사별한 자, 종교거 없는 사람, 아파트 및 연립주택 거주자, 남자의 저소득층과 여자의 고소득층, 공무원 및 사립학교 교직원 의료보험 가입자, 고학력자, 전문관리직 종사자, 만성질환 이환자 및 처체증자 등이었다. 건강증진 관련행위의 실천율에 있어 남자는 흡연, 음주, 청량음료음용, 육류섭취, 식염섭취 및 건강 진단율이 여자에 비해서 높았으며 여자는 과일 채소섭취율, 양치질수행률 및 우유음용률이 남자보다 높았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실천율이 높아지는 건강증진 관련행태로는 과일 채소섭취, 규칙적 식사, 아침식사, 식염섭취, 의사방문, 혈압측정 및 단골의사 보유였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실천율이 낮아지는 것으로는 안전벨트착용, 양치질수행, 커피음용, 차음용, 청량음료음용, 우유음용 및 간염예방 접종이었다. 월평균 가구소득이 증가할수록 실천율이 높아지는 건강관련 행태로는 규칙적인 운동, 안전벨트 착용, 양치질수행, 커피음용, 차음용, 우유음용, 과일 채소섭취, 육류섭취, 건강진단, 간염예방접종 및 자궁암 검진이었으며, 반대로 소득이 낮을수록 실천율이 높은 것으로는 흡연을, 규칙적인 식사, 아침식사 및 유방암자가검진이었다. 생산직 및 농 어 축산업에 종사하는 사람은 다른 작업군에 비해 흡연율, 음주율, 의사방문율 및 단골의사 보유율이 높았고 안전벨트착용률, 양치질수행률 및 간염예방접종률은 낮았다. 판매 서비스직종의 경우는 커피음용률, 육류섭취율, 식염섭취율, 자궁암 검진율이 다른 직업군에 비해 높았던 반면, 충분한 수면을, 규칙적인 식사율, 아침식사율, 혈압측정률, 건강진단율은 낮았다. 사무직 및 전문 관리직이 다른 직업군에 비해 규칙적인 운동, 맨손체조, 안전벨트착용, 양치질수행, 차음용, 청량음료음용, 우유음용, 혈압측정, 건강진단, 간염예방접종 실천율은 높았으며, 식염섭취율과 자궁암 검진율은 낮았다.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규칙적인 운동, 맨손체조, 안전벨트착용, 양치질수행, 커피음용, 차음용, 우유음용, 육류섭취, 간염예방접종 및 보조제 복용행위의 실천율이 높았으며, 음주율, 아침식사율 및 식염섭취율은 낮았다. 초졸 이하 군에서는 흡연율, 규칙적인 식사율, 의사방문율, 혈압측정률 및 단골 의사보유율이 높았다. 만성질환에 이환된 사람은 흡연, 음주, 규칙적인 운동, 맨손체조, 규칙적인 식사, 아침식사, 육류 섭취, 식염섭취, 의사방문, 혈압측정, 건강진단, 단골의사보유, 보조제 복용 등의 실천율이 높았으며, 만성질환에 이환되지 않은 사람은 안전벨트착용, 양치질수행, 충분한 수면, 커피음용, 차음용, 청량음료음용, 우유음용, 과일 채소섭취율, 간염예방접종, 자궁암 검진, 유방암 자가검진 등의 실천율이 높았다. 정상체중군에서는 흡연, 음주, 안전벨트착용 등의 실천율이 높았고, 과체중군에서는 규칙적인 운동, 맨손체조, 육류섭취, 식염섭취, 혈압측정, 건강진단, 단골의사보유율이 높았으며, 저체중군에서는 양치질수행, 우유음용, 보조제 복용률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건강생활양식 실천도와 건강증진 관련행위의 실천양상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주민의 참여를 촉진시키고 건강관련행위의 실천을 권장하는 전략으로는 주민의 사회경제적인 특성을 고려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전개되어야 한다.

  • PDF

여대생의 체질량지수, 다이어트 인식과 다이어트 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MI, Diet Perception and Dietary Behavior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 이진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463-472
    • /
    • 2020
  • 본 연구는 여대생의 체질량지수와 다이어트 인식 및 다이어트 행동에 관해 알아보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일 지역 여자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165명으로 자료수집은 2018년 10월 29일부터 11월 9일까지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 검정, 일원분산분석, 교차분석을 하였다. 전체 다이어트 인식은 3.44점이었고 요인별로는 '실행'이 4.00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정보 및 교육'이 3.58점, '필요성'은 3.32점, '자가인식'은 2.84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다이어트 횟수는 '3회 미만'이 65명(43.0%)으로 가장 많았으며 방법은 '음식조절'이 65명(43.0%), '운동'이 62명(41.1%) 순이었다. 일주일간 운동시간은 3시간 미만이 99명(65.6%)으로 가장 많았고 '전혀 하지 않는다'가 32명(21.2%)으로 그 다음 순이었다. 다이어트로 인한 피해경험은 22명(14.6%)이 있다고 응답했고, 종류로는 위장병, 생리불순, 탈모 등이었다. BMI에 따른 다이어트 인식 전체 점수는 저체중군이 정상체중 및 과체중군보다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p<.001). 하부 요인별로 보면 다이어트 '실행'은 저체중군이 정상체중 및 과체중군보다 점수가 낮게 나타났고(p<.05), 다이어트 '정보 및 교육'은 과체중군의 점수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정상체중군, 저체중군 순이었다(p<.001). 다이어트 '필요성'과 '자가인식'은 저체중군이 정상체중 및 과체중군보다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p<.001). 다이어트 인식에 따른 다이어트 행동은 다이어트 횟수와 방법에서 차이가 있었다(p<.001).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여대생의 올바른 다이어트 인식 형성과 건강한 생활유지를 위한 관심과 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가정교과를 적용한 결혼이주여성 대상 가정생활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s Family Life Education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Applying Home Economics)

  • 김지욱;전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1-73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가정생활의 향상 및 실천 능력의 증진을 위하여 가정생활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가정생활문화교육 프로그램 내용은 가정교과서의 가정생활문화 단원을 바탕으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 내용의 타당성은 2명의 전문가에게 검증받았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시 J구에 거주하는 14명의 결혼이주여성이며, 프로그램은 서울 J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2014. 9.16-10.7일까지 총 3일에 걸쳐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의 평가는 객관적 평가와 주관적 평가(반구조화된 면접 및 설문조사)를 통해 실시하였으며, 객관적 평가 문항은 선행연구 및 가정교과서를 바탕으로 연구자가 구성하였고, 그 내용은 전문가 2인으로부터 검증받았다. 이 연구의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가정교과서 '가족이 여는 행복한 가정생활문화 단원'을 중심으로 총 8회기로 구성된 가정생활문화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가정생활문화교육 프로그램은 우리나라 전통문화의 이해 및 자신들 모국의 가족문화의 이해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였고, 나아가 가족생활문화의 다양성을 존중하는 태도를 기르고자 하였다. 셋째, 프로그램 효과성 결과를 살펴보면, 사전-사후 검사를 통한 객관적 평가에서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주관적 평가 결과, 모든 참여자가 프로그램 목표달성, 프로그램 내용과 활동의 적절성, 운영만족도에서 4.0점 이상의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반구조화된 면접을 통한 주관적 평가의 결과, 결혼이주여성들은 가정생활문화와 관련 심화된 내용을 지속적으로 배우고 싶다는 의지에서 가정생활문화교육에 대한 높은 욕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가정교과를 활용한 가정생활문화교육 프로그램이 결혼이주여성의 건강한 가정생활문화 구현에 주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