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lth-Promoting Behaviors

검색결과 374건 처리시간 0.027초

대학생의 자기생활관리와 자기효능감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융복합적 연구 (The Convergence Study of Self-Management and Self-efficacy on Health Promotion Activities of University Student)

  • 이숙련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호
    • /
    • pp.311-320
    • /
    • 2016
  •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대학생의 자기생활관리, 자기효능감 및 건강증진행위의 실태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상간관계를 확인하여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방법은 K 대학교 대학생 225명을 대상으로 2014년 8월 22일부터 8월 26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구도구로 정호순[24]의 자기생활관리와 자기효능감, 최정미[29]의 건강증진행위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위는 학과, 거주 형태, 주어진 시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건강증진행위는 자기생활관리의 하위변수인 건강관리, 생활습관관리, 학업관리 및 대인관계관리에서 중간정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 자기효능감도 중간정도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자기생활관리가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으로 설명력은 64.0%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생의 건강증진 행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자기생활관리와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며, 건강증진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건강증진프로그램이 재가뇌졸중환자의 기능상태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on Functional Status of the In-house Stroke Patients)

  • 박혜경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13-225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evaluate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to increase the functional status of the in-house stroke patients. The subjects for the experiment are 38 in-house stroke patients in a health center and welfare centers suffering from hemiplegia.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s of 19 stroke patients and the control group consists of another 19 stroke patients. The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8 weeks. The subjects were given health education at the first week. At the second and the fifth week they were given counselling on health by home visit. At the third, the fourth, the sixth and the seventh week they were interviewed by phone about health, and at the last week they shared their experiences through group meet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degree of ADL in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group. 2.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degree of Range of Motion in shoulder abduction, elbow flexion, hip flexion and ankle dorsiflexion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group. 3.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degree of muscle strength in elbow flexion, knee extension, and ankle dorsiflexion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group. 4. Systolic pressure, diastolic pressure in the experimental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at the control group. 5. HWR in the experimental group didn't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at the control group. 6. The degree of depress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at the control group. 7. The degree of social adapta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at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above show that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this study was effective in promoting the performance of lifestyle for health improvement of the in-house stroke patient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program can be used as an efficient nursing intervention for the in-house stroke patients who need continuous health-improving behaviors.

  • PDF

고등학교 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 경험: 근거이론 적용 (The Experience of Health-Promotion Behavior in Adolescents: A Grounded Theory Approach)

  • 강나경;이혜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321-331
    • /
    • 2021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건강증진행위 실천 경험을 이해하고 그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자신의 경험을 충분히 표현할 수 있는 고등학생 12명을 편의표집 하였다.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한 질적 연구이며, 참여자 진술로부터 312개의 의미 있는 문장을 도출하여 22개의 주제로 구분하여 13개로 범주화하였다. 연구결과, 중심현상은 '건강증진이 배제된 라이프스타일'이었으며, 이를 조율해 나가는 중재조건은 '부모님의 생활습관 지도', '건강행위를 함께 할 수 있는 친구', '운동시설 접근의 제약'이었으며 이를 대처하도록 고안된 작용/상호작용전략은 '건강증진 실천과 유지를 위한 의지 다지기', '멋진 몸매를 가진 친구를 모방하기', '부모님의 건강행동 배우기'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 과정에 대한 본질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이를 통해 고등학생의 건강증진행위 실천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지역사회 거주 1인가구 노인의 신체활동 관련요인: 2019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 이용 (Factors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y in Older Adults Living Alone: Using Data from the 2019 Community Health Survey)

  • 이은숙;김혜영;고은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42-253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y in older adults living alone. Methods: This is cross-sectional, correlational study used secondary data from the 2019 Community Health Survey. The participants were 19,134 older adults aged 65 years or older and living alon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𝜒2 test, and linear regression with the SPSS/WIN 27.0 program. Results: The participants' average amount of physical activity was 1,359.32 MET-min/week; 50.7% were inactive, 38.6% were minimally active, and 10.7% were health-promoting active. Demographic factors that predicted physical activity were gender, age, education level and monthly income, whereas health behavior factors included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high risk drinking (R2=.055, p<.001). Psychological factors were sleeping time, stress, depression and fear of falling, and social factors included social contact with neighbors or friends, and participation in social or leisure activites(R2=.070, p<.001). Conclusion: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in older adults living alon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behaviors, psychological factors, and social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evelopment of specific and integrated nursing interventions to increase physical activity in older adults.

일부 중학교 학생의 건강증진행위 실천에 관한 연구 (Study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Practice in Some Middle School Students)

  • 류정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583-588
    • /
    • 2011
  • 본 연구는 2010년 11월 충북지역 일부 중학생을 대상으로 흡연, 스트레스, 구강건강 및 분야별 건강증진행위 실천정도를 파악하고자 이루어졌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중학생의 33.8%가 흡연 경험이 있었으며, 처음 흡연시기와(24.1%) 습관적 흡연 시기가(10.4%)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에 가장 많아 흡연연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2. 스트레스에 따른 중학생의 건강생활실천 수행정도를 비교한 결과, 스트레스가 낮은 그룹이 구강건강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건강생활실천 수행정도가 높았으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구강건강상태도 스트레스가 낮은 그룹이 우식치아수도 적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구강환경관리능력(PHP)은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으나 스트레스가 높은 그룹이 구강환경관리가 잘 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 부모의 양육방식이 자율적일수록 스트레스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p<.05), 스트레스가 낮은 그룹이 학교생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p<.05). 4. 중학생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표준화 계수 ${\beta}$의 견지에서 정신 건강이 가장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융복합시대 광주광역시 일부 환경미화원의 구강보건행태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Oral Health Behavior of Sanitation Workers in Gwangju Convergence era)

  • 최문실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15-25
    • /
    • 2018
  • 연구는 환경미화원의 구강건강행태를 파악하여 산업구강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방향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광주광역시 일부 지역 환경미화원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 79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스케일링 경험 80%에 비해 구강보건교육 경험은 약 25%로 나타났다. 구강위생관리는 학력, 고용형태, 근무년수와 관계가 있었다. 치주상태는 고졸이상에서 '시린이'와 '잇몸부음' 증상이 높게 나타났고, 소득과 학력이 높을수록 치주상태가 '보통'이거나 '나쁨'으로 인식하였다. 따라서 다양한 노동자 중 환경미화원을 대상으로 분석한 것에 대하여 의의가 있으며, 환경미화원의 환경을 잘 고려하여 구강보건교육의 기회를 넓히고 적극적이고 융복합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산업구강건강증진을 위한 다양한 노력과 대책이 필요하다.

노인의 다중적 건강 변화궤적 유형화 및 관련요인 탐색 (Multidimensional Health Trajectories and Their Correlates Among Older Adults)

  • 배다영;박은빈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1-48
    • /
    • 2021
  • 본 연구는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의 1-6차 연도 자료를 분석하여 노년기의 우울, 만성질환, 인지기능의 다중적 측면에서의 건강 변화 유형을 파악하고 이와 관련이 있는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1차 연도 조사 시점에서 65세 이상이고 결측률이 없는 총 2,059명이다. 잠재성장모형을 통해 세 가지 건강 측면이 시간에 따라 어떠한 변화궤적을 보이는지 살펴보았으며, 성장혼합모형을 활용해 세 건강 요인에서 서로 다른 변화 궤적을 보이는 집단들을 유형화하였다. 또한 일원분산분석 및 Scheffé 사후검증, 교차분석을 통해 건강 변화유형 집단에 따라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동, 삶의 만족도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성장모형 분석 결과 우울과 만성질환의 수는 연령에 따라 점차 증가하고 인지기능은 점차 감소했다. 둘째, 성장혼합모형을 분석한 결과 노인의 건강 변화는 일반적 노화, 질환 증가, 만성적 문제의 세 집단으로 유형화되었다. 셋째,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동, 삶의 만족도는 세 집단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만성적 문제 집단의 경우 교육 및 소득수준이 낮고, 전반적으로 낮은 삶의 만족도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노년기 건강증진 교육 프로그램에 있어 노인들이 경험하는 건강의 다중적 측면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함을 보여주며, 노년기 건강증진 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제언을 제공한다. 또한 전생애적 건강관리를 위한 건강정보문해력 증진에 있어서 가정과 교과과정이 갖는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모유수유 강화교육 프로그램이 산모의 모유수유 실천에 미치는 영향 (Efects of Breastfeeding Education Program on the Promotion of Mother's Feeding Compliance)

  • 이은숙;서영숙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68-87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reast-feeding education program on the promotion of mothers's feeding compliance during the 4 months after childbir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osttest design was used. Eighty-nine pregnant women at their 32 more weeks of gestation receiving antenatal care at the Chonnam University Hospital Obstetrics Clinic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Control group was ninety-nine pregnant women over 32wks of gestation receiving antenatal care at the Kwangju Christianity Hospital Obstetric Clinic during the same period. Breast-feeding education program was introduc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rom antepartal visit to 4 months after childbirth. Data were collected primarily via telephone interview on the 7th day, the end of 1 month and the 4 months after childbirth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1) the frequency of breast-feeding continuation promoting behaviors was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2) The rates of mothers' compliance during the 4 months after childbirth in the experimental group demonstr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 much higher rate of mothers' compliance than control group. Conclusively, the breast-feeding education program increase the rate of mothers' compliance and duration of breast-feeding.

  • PDF

중학생 집단따돌림 피해자의 학교적응 관련 보호요인 (Protective Factors Associated with School Adjustment of Victims in School Bullying)

  • 김동희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633-643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rotective factors associated with school adjustment of victims in school bullying.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14 victims among 825 middle school students. The measurements were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on resilience, and the Childrearing Behavior Questionnaire, measurements of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attitude of teachers toward bullying. Descriptive,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Results: A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school adjustment of victims and resilience (r=.355, p<.01), warmth-acceptance parenting behavior (r=.482, p<.01), rejection-restriction parenting behavior (r=-.213, p<.01), and teacher's attitude toward bullying (r=.381, p<.01).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significant association of school adjustment with resilience (${\beta}$=0.247, p<.05), warmth-acceptance parenting behavior (${\beta}$=0.302, p<.001), and teacher's attitude toward bullying (${\beta}$=0.285, p<.01). Conclusion: Comprehensive interventions designed to enhance the resilience of students, improve warmth-acceptance parenting behaviors and teacher's attitude toward bullying may be helpful in promoting school adjustment of victims.

만성 요통을 가진 여성 노인의 자기 효능감과 건강행위간의 관계에 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Efficacy and Health Behavior in eldery women with chronic low back pain)

  • 박점미;신나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43-5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요통을 가진 여성 노인의 자기 효능감과 건강행위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2012년 1월부터 10월까지 G도에 있는 종합병원 정형외과 및 신경외과 병동에 요추 및 천추의 척추질환을 진단받고 6개월 이상 요통을 경험하고 요통치료를 받기 위해 입원한 65세 이상의 여성 노인 환자 130명을 대상으로 자기 효능감과 건강행위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기효능감과 건강 행위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만성 요통을 가진 여성 노인 대상자의 자기 효능감 및 건강행위는 서로 관련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r=.80, p<.001).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만성요통을 가진 여성 노인의 건강행위 증진을 위해 자기효능감을 강화시키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만성 요통을 가진 여성 노인의 간호시 자기 효능감을 증진시키고, 건강 행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융복합적 전략이 고려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