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lth Services for the Elderly

검색결과 623건 처리시간 0.032초

노인복지용구의 품목 및 서비스의 만족도와 요구도에 대한 연구:노인장기요양보험 등급 인정자를 중심으로 (Study on Needs and Satisfaction of Service Related to Assistive Device and Assistive Device for Long-Term Care Elderly : Focused on Beneficiary Older Adults People in Long-term Care Insurance)

  • 우지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348-356
    • /
    • 2019
  • 본 연구는 노인 장기요양보험 등급 인정자들의 노인복지용구 품목과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도를 조사함으로써 복지용구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자료수집은 D광역시와 I시에 위치한 재가복지서비스 시설을 이용하는 노인 장기요양보험 등급자 184명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인지지원 등급자를 제외한 대상자들은 복지용구 품목과 서비스에는 보통에서 만족하는 경향을 보였다. 1등급과 2등급 인정자들은 자조관리를 돕는 품목, 3등급에서 5등급 및 인지지원 등급자들은 건강관리 및 안전에 관련된 품목에 대한 요구도를 보였다. 복지용구 서비스에서는 모든 장기요양보험 등급 인정자들이 주기적인 추후관리 서비스, 복지용구 전문가 및 전문 인력 교육훈련 그리고 체계적인 평가를 필요로 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복지용구관련 선행연구와 달리 장기요양보험등급별 복지용구 품목에 대한 요구도를 세부적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추후 본 연구결과가 복지용구 품목 및 서비스와 관련한 제도개선에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해본다.

고령 북한이탈주민 사회보장제도 활용의 제약요인 및 접근성 제고 방향 (Barriers to Social Security Accessibility of Elderly North Korean Refugees)

  • 고혜진;민기채;박정순;한경훈;김예슬
    • 한국사회정책
    • /
    • 제25권1호
    • /
    • pp.161-194
    • /
    • 2018
  • 본 연구는 고령 북한이탈주민의 사회보장제도 이용 경로와 활용을 저해하는 요인을 탐색적으로 고찰하여 접근성 제고 방안을 모색한다. 고령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면담 자료를 활용한 질적 내용분석 결과, 고령 북한이탈주민의 사회보장제도 접근성은 전반적으로 낮다. 구체적으로 이들의 사회보장제도 활용을 저해하는 주된 이유는 제한된 정보창구로 인한 낮은 인지도, 남한 사회 및 주민에 대한 심리적 거리감이다. 비교적 젊은 연령대의 북한이탈주민들은 활발한 경제활동과 적극적인 네트워크 확장 노력, 그리고 이를 통한 남한 사회로의 빠른 편입으로 다양한 출처에서 정보를 얻는 데 반해, 고령의 북한이탈주민들은 협소한 네트워크로 인해 제도에 대한 정보 확보가 어렵고, 남한 사회 규범 습득이 더디다. 나아가서 심리적 거리감은 남한 노인들이 도처에서 여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데 반해, 고령 북한이탈주민들은 북한이탈주민들만을 대상으로 하는 특정 기관의 서비스 선호로 이어져 지리적 접근성을 낮추기도 한다. 고령 북한이탈주민의 소득 수준이 낮아, 충분한 사회보장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경우도 많으며, 제도 운용에서의 공정성에 대한 의심과 결부되어 소득보장에의 의존 심화를 야기하기도 한다. 반면에 고령 북한이탈주민의 제도 접근성이 높은 사회보장제도들은 이들과의 충분한 라포가 형성된 집단에 의해 제공된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문화적 유능감을 갖춘 전문 인력에 의한 고령 북한이탈주민 친화적 제도 운용이 이들의 접근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현행 제도가 충분히 포괄하지 못하는 고령 북한이탈주민의 복합적인 욕구에 충분히 대응하기 위한 다차원적 접근이 필요하며, 제도 운용에서 이들의 입장을 반영하기 위한 기제가 마련되어야 하겠다.

우리나라 노인여성의 골다공증성 척추골절로 인한 경제적 부담 추계 (Estimating the Economic Burden of Osteoporotic Vertebral Fracture among Elderly Korean Women)

  • 강혜영;강대룡;장영화;박성은;최원정;문성환;양규현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1권5호
    • /
    • pp.287-294
    • /
    • 2008
  • Objectives : To estimate the economic burden of osteoporotic vertebral fracture (VF) from a societal perspective. Methods : From 2002 to 2004, we identified all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s records for women ${\geq}50$ years old with a diagnosis of VF. The first 6-months was defined as a "clearance period," such that patients were considered as incident cases if their first claim of fracture was recorded after June 30, 2002. We only included patients with ${\geq}$ one claim of a diagnosis of, or prescription for, osteoporosis over 3 years. For each patient, we cumulated the claims amount for the first visit and for the follow-up treatments for 1 year. The hospital charge data from 4 hospitals were investigated to measure the proportion of the non-covered services. Face-to-fac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6 patients from the 4 study sites to measure the out-of-pocket spending outside of hospitals. Results : During 2.5 years, 131,453 VF patients were identified. The patients had an average of 3.38 visits, 0.40 admissions and 6.36 inpatient days. The per capita cost was 1,909,690 Won: 71.5% for direct medical costs, 20.6% for direct non-medical costs and 7.9% for indirect costs. The per capita cost increased with increasing age: 1,848,078 Won for those aged 50-64, 2,084,846 Won for 65-74, 2,129,530 Won for 75-84and 2,121,492 Won for those above 84. Conclusions : Exploring the economic burden of osteoporotic VF is expected to motivate to adopt effective treatment options for osteoporosis in order to prevent the incidence of fracture and the consequent costs.

뉴로피드백 훈련이 장기요양시설노인의 뇌기능지수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Neurofeedback Training on Brain Function Quotient of Elderly with Long-term Care Insurance Service)

  • 윤미경;현경선;박병운;이광심;정동례;이정은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18권2호
    • /
    • pp.111-119
    • /
    • 2012
  • Purpose: Recently, Neurofeedback training system that based on biofeedback of brain wave was introduce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improvement of brain function by Neurofeedback training on elders(the 2nd or 3rd grade of long-term care insurance services). Methods: A quasi-experimental design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was used. Total 11 elderly were enrolled in this study (experimental group 5, control group 6).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3 times a week for 30 minutes from January to June, 2012 (total 60 times). Chi-square test and Mann-Whitney U-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After the Neurofeedback intervention, attention quotient (AQ), anti-stress quotient (ASQ), emotion quotient (EQ) and brain quotient (BQ)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bett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Neurofeedback training program was effective in reducing fatigue by AQ, increasing the physical and mental stress resistance by ASQ, emotional balance by EQ and improving of total brain function by BQ. Therefore Neurofeedback training be used as an effective training intervention for the health of elderly in geriatric facility.

노인 장기요양보험급여 이용자들의 삶의 질과 신체적 및 정신적 기능과의 관련성 (Quality of Life and Its Association with Physical and Mental Function in the Elderly People Affiliated with Long-term Care Insurance Services)

  • 김형선;박재영;권인선;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3808-3819
    • /
    • 2010
  • 본 연구는 장기요양보험 인정자로 판정받은 노인들의 삶의 질 수준을 알아보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들을 규명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65세 이상 노인 중 2008년 7월부터 실시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의해 장기요양인정자로 판정받은 노인 958명(1등급 305명, 2등급 323명, 3등급 330명)으로 하였으며, 조사는 2009년 3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표준화된 무기명식 면접조사용 설문지를 사용하여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조사대상자의 삶의 질 평균점수는 $55.4{\pm}15.62$점이었으며, 장기요양등급별로는 1등급이 $49.7{\pm}14.17$점, 2등급이 $56.8{\pm}14.62$점, 3등급이 $59.4{\pm}16.36$점으로 등급이 높을수록 삶의 질 점수는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의 장기요양등급별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 한 결과에서는 교육정도, 월수입,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 및 인지기능장애가 1, 2, 3등급에서 공통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45~62%로 비교적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노인 치매예방프로그램에서 유아교육 콘텐츠의 활용가능성 탐구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us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contents in the elderly dementia prevention program)

  • 양수경;박정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495-500
    • /
    • 2020
  • 우리나라 노인들 평균수명이 늘어나면서 고령화로 인한 노인의 건강에 대한 문제가 많이 발생하고, 치매 발병률이 증가되고 있음으로 인해 사회적으로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치매는 발병 후 치료보다는 예방이 중요한 만큼 노인의 치매 예방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양수경, 고보숙, 박정환(2019)의 연구에서 2000년~2018년까지 노인을 대상으로 한 치매예방프로그램의 국내 연구동향에서 분석한 통합프로그램 11편을 기반으로 유아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놀이를 중심으로 한 노인 치매예방프로그램 문헌연구를 살펴보았다. 활동유형별로 음악, 언어, 신체활동이 각각 4개(40.0%)로 나타났고, 게임, 미술, 작업이 각각 3개(30.0%)로 나타났다. 그리고 무용, 문학, 전통놀이, 레크레이션이 2개(20.0%)로 나타났고, 요가와 생활은 각각 1개(10.0%)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 치매예방프로그램에서 유아교육 콘텐츠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노인에게 있어 놀이는 유아 뿐만 아니라 노인들에게 신체 운동능력과 긍정적인 정서, 정서적 특성 등 매우 긍정적인 측면이 나타나고 있다. 노인들을 위한 유아교육 콘텐츠를 활용하여 치매예방프로그램을 개발한다면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과 함께 집단활동의 경험과 정신건강을 유지하면서 여가시간을 긍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고령장애인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Study on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with the Life of Elderly with Disabilities)

  • 서지혜;나운환;정다찬
    • 재활복지
    • /
    • 제21권4호
    • /
    • pp.33-57
    • /
    • 2017
  • 본 연구는 고령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고령장애인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고용노동부와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이 2016년 실시한 장애인고용패널조사(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PSED)로부터 수집된 2차웨이브 1차년도 원자료(raw data) 자료를 이용하여 만50세 이상의 장애인을 대상으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고령장애인을 장애 발생 시기를 기준으로 고령화된 장애인과 노인성장애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삶의 만족도 영향 요인은 고령화된 장애인과 노인성 장애인에게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공통요인으로는 취업인식, 장애인식, 행복정도,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나타났고, 건강상태와 일상생활 수행 정도는 고령화된 장애인에게만 영향을 주었으며 취업여부 변수는 노인성 장애인에게만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고령장애인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삶의 질 향상 서비스 개발에서 취업과 장애에 대한 인식 향상 고려, 고령장애인의 경제적 문제 해결, 고용 문제와 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집단별 접근 등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노인환자의 복약순응도 현황 및 영향인자 분석 (Predictive Factors for Medication Adherence in a Geriatric Assessment Program in Korea)

  • 김민소;최나예;서예원;박진영;이정화;이은숙;김은경;김선욱;김광일;김철호
    • 병원약사회지
    • /
    • 제35권4호
    • /
    • pp.418-429
    • /
    • 2018
  • Background : To improve medication adherence in elderly patients, the role of pharmacists in teambased services has been highlighted in the literature. However, not much is known about the role and the service elements involved in comprehensive geriatric programs in South Korea.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scribe the current status of medication adherence in geriatric patients based on the 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 program and analyze the predictive factors for medication adherence in a tertiary teaching hospital. Methods :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was performed using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247 patients from March 1st, 2015 to August 31st, 2015. Medication adherence and the types of non-adherence were also collected. Predictive factors for adherence were evaluated by including factors related to demographics, medications, illness, and patterns of medical usage. Results : The mean age of the study population was 81.2 years (range 65~98 years) and they were taking 9.7 drugs on an average (SD 5.0 drugs). The overall rate of non-adherence was 34%. About 48% of the patients had any forms of assistance in the medication administration. The most common type of non-adherence was "self-adjustment". The multivariate analyses revealed that age (adjusted odds ratio, 0.87 [95% CI, 0.80-0.96]; p 0.05) and the number of inappropriate medications (adjusted odds ratio, 0.59 [95% CI, 0.40-0.89]; p 0.05) were strong predictors for non-adherence. 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trategic considerations of the predictors of non-adherence should be improved in medication counseling services targeting elderly patients.

소비자의 인터넷 건강정보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Comsumer's Usage of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 박종혁;이진석;장혜정;김윤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1권4호
    • /
    • pp.241-248
    • /
    • 200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a gap between consumer characteristics and utilization of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Methods: A telephone survey of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s was condu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1,000 of the 1,189 responses obtained were included in our analysis. The following variabl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as potential predictors of health information use on the Internet: predisposing factors such as gender, age, and education status; enabling factors such as region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consumer need for health information; and attitude to health.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utilization rate and the potential predictors. Results: Thirty-nine percent of consumers had obtained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over a one-year period. The utilization rates were higher for consumers who were young, educated, worked in the office setting, had higher incomes, wanted health information, and were able to use the Internet. The utilization rate was 5.35 times higher in the younger group (20-30 years) than in the elderly group (95% CI=2.21-12.97); 2.21 times higher for office workers than for manual workers (95% CI=1.16-4.20); 3.61 times higher for college graduates than for middle school graduates and below (95% CI=1.07-11.59); 1.99 times higher for people with monthly household incomes over 3,000,000 won than for those with monthly household incomes below 1,500,000 won (95% CI=1.01-3.92). Conclusions: There needs to be a paradigm shift, with consideration of not only Internet accessibility in the digital age, but also consumer ability and attitudes toward utilization of health information.

장애인의 국민건강보험 건강검진 수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Mass Screening Participation in the Disabled)

  • 박종혁;이진석;이진용;홍지영;김소영;김성옥;조병희;김용익;신영수;김윤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9권6호
    • /
    • pp.511-519
    • /
    • 2006
  • Objectives : As the disabled have higher prevalence rates and earlier onsets of chronic diseases than the non-disabled, their participation in mass screening is important for the early detection and intervention of chronic diseases. Nevertheless, in Korea, the disabled have lower participation rates in mass screening services than the non-disabled.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determinants for the participation 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NHI) mass screening program among the disabled. Methods : In this study, the NHI mass screening data of 423,076 disabled people, which were identified using the National Disability Registry (2003), were analyzed.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participation rates in mass screenings, the following variables were included for the analysis: socioeconomic stati, such as sex, age, category of health insurance program, region and income, disability characteristics, such as disability type, and severity.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articipation rates, disability characteristics variables and demographic variables. Results : The participation rate in mass screening of the disabled was 41.3%, but was lower in females, an age of more than 70 years, self-employed and for those with an average monthly insurance premium over 133,500 Won and in metropolitan legions. The participation rate was 1.31 times lower in females than males (95% CI=1.29-1.33); 3.50 times lower in the elderly (more than 70 years) than the younger (95% CI=3.33-3.67); 1.43 times lower in those who live in metropolitan areas (95% CI=1.40-1.46); 2.59 times lower for those in a health Insurance program for the self-employed than for employees (95% CI=2.56-2.63), 1.19 times lower for the higher income (more than 133,500) than the lower income group (4,400-22,000) for the average monthly insurance premium (95% CI=1.15-1.23): 2.04 times lower for those with brain palsy and stroke disabilities than with auditory impairments (95% CI: 1.97-2.11) and 3.27 times for those with severe compared to mild disabilities (95% CI=3.15-3.40). Conclusions : The disabled with high severity, and locomotive and communication disabilities have lower participation rates in mass screening services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