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with the Life of Elderly with Disabilities

고령장애인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서지혜 (대구대학교 일반대학원) ;
  • 나운환 (대구대학교 직업재활학과) ;
  • 정다찬 (대구대학교 일반대학원)
  • Received : 2017.07.31
  • Accepted : 2017.12.14
  • Published : 2017.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ctors that can affect the satisfaction with life of elderly with disabilities so as to provide measur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heir lives. To that end, elderly with disabilities and 50 years or older were extracted from the raw data (2nd Wave, 1st Survey) of 2016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or PSED),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th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And they were classified into those aging with disabilities (onset of a disability before 50 years) and those having disabilities with aging (onset of a disability after 50 yea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with life were different in the two groups. Although awareness about employment, awareness about disability, levels of happiness, subjective socioeconomic standing, and financial problems were the common factors, health conditions and ability to function in daily life affected more those aging with disability, and employment status was more relevant to those having disability with aging.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oints out the need to take into account awareness about employment and disability when developing services for elderly with disabilities, to solve their financial problems, and to provide a collective approach to employment and health issue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lives.

본 연구는 고령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고령장애인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고용노동부와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이 2016년 실시한 장애인고용패널조사(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PSED)로부터 수집된 2차웨이브 1차년도 원자료(raw data) 자료를 이용하여 만50세 이상의 장애인을 대상으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고령장애인을 장애 발생 시기를 기준으로 고령화된 장애인과 노인성장애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삶의 만족도 영향 요인은 고령화된 장애인과 노인성 장애인에게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공통요인으로는 취업인식, 장애인식, 행복정도,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나타났고, 건강상태와 일상생활 수행 정도는 고령화된 장애인에게만 영향을 주었으며 취업여부 변수는 노인성 장애인에게만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고령장애인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삶의 질 향상 서비스 개발에서 취업과 장애에 대한 인식 향상 고려, 고령장애인의 경제적 문제 해결, 고용 문제와 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집단별 접근 등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Daegu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