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zardous Substances

검색결과 525건 처리시간 0.029초

충청지역 집단급식소의 노로바이러스 실태조사와 환경요인의 영향 (Investigation of Norovirus Occurrence and Influence of Environmental Factors in Food Service Institutions of ChungCheong Area)

  • 정우영;엄준호;김병조;윤민호;주인선;김창수;김미라;변정아;박유경;손상혁;이은미;정래석;나미애;육동연;강지연;허옥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53-161
    • /
    • 2010
  • 충청지역권내 지하수를 사용하는 집단급식소의 식품용수 82시료의 norovirus 검출빈도를 조사한 결과 7시료에서 검출 되었으며, 이는 8.5%에 해당 하였다. Norovirus가 검출된 집단 급식소에 대해서는 식중독 발생이 우려됨에 따라 소독, 관정개발, 오염원제거 및 상수도 보급 등의 위생환경 개선과 유지관리가 필요하다. Norovirus의 검출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암모니아성질소, 총고형분, 과망간산칼륨 소비량으로 나타났다. Norovirus 양성 검출군과 음성 검출군의 수질특성을 비교한 결과 수소이온농도는 큰 차이가 없었고, 탁도, 암모니아성질소, 일반세균수, 총고형분 항목에 있어서 norovirus 양성 검출군 평균값이 음성 검출군 평균값 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Norovirus 검출과 관련성이 높은 환경인자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집단 급식소 식중독예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유통 다소비 농산물의 잔류농약 모니터링 및 노출평가 (Monitoring and Exposure Assessment of Pesticide Residues in Domestic Agricultural Products)

  • 강남숙;김성철;강윤정;김도형;장진욱;원세라;현재희;김동언;정일용;이규식;신영민;정동윤;김상엽;박주영;권기성;지영애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2-40
    • /
    • 2015
  • 본 연구는 유통 농산물의 잔류 실태를 조사하여 잔류농약에 대한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전국 9개 지역에서 수거된 농산물 15개 품목 232건을 식품공전 다종농약다성분 분석법으로 분석하였으며, GC/MSMS로 분석 가능한 농약 196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53건의 시료에서 64종의 농약이 검출되었고 이 중 chlorpyrifos와 procymidone이 가장 빈번히 검출되었다. 검출된 64종 중 깻잎에서 검출된 chlorpyrifos와 복숭아에서 검출된 picoxystrobin은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하였으며, 나머지는 각각의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하지 않았다.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chlorpyrifos와 picoxystrobin을 포함한 검출 농약에 대해 위해평가를 수행한 결과, 1일 섭취허용량(acceptable daily intake, ADI) 대비 1일 추정섭취량(estimated daily intake, EDI)이 0.001~0.902%로 조사되어 매우 낮은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 결과 유통 농산물에서 잔류농약은 안전하게 관리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고, 향후 식품안전 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을 생각된다.

서울·경인지역 유통판매중인 과자류의 위생지표 세균 및 식중독균 오염도 조사 (Monitoring of Microorganism Contamination in Children-Preferred Confectioneries in Korea)

  • 구은주;정소영;박지은;권유진;서동혁;정유영;조경철;이요아;민희은;김유진;김현정;김슬기;최선옥;임철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22-32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 기호식품 중 하나인 과자류(과자, 캔디류, 츄잉껌, 빙과류)에 대하여 1,005건(과자 250건, 캔디류 255건, 츄잉껌 250 건, 빙과류 250건)에 대해 위생 지표 미생물인 일반세균 수, 대장균군/대장균과 더불어 식중독 원인균인 바실러스 세레우스,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및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미생물 검사를 실시하였다. 과자류에 대한 일반세균 수의 경우 전체 시료의 26.8%에서 검출되었고, 검출된 세균 수는 1.7 log CFU/g을 나타내었다. 유형별로 살펴보았을 때에는 과자 250건 중 45.2%의 시료에서 검출되었으며, 빙과류 28.8%, 캔디류 20.0% 및 츄잉껌 13.2% 순으로 검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른 위생지표 세균인 대장균군/대장균의 경우는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식중독균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캔디류를 제외한 나머지 유형에서 바실러스 세레우스만 검출이 되었고, 평균 검출량은 1.4~1.6 log CFU/g로 현행 식품공전상의 미생물규격인 3 log CFU/g 이하 수준으로 모두 적합한 제품이었다. 이는 식품공전 상에서 정하고 있는 미생물 규격에 비해서는 낮은 수치로 식품의 제조 유통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이지만, 식중독 민감도가 높은 어린이들에게 안전한 식품을 제공하기 위해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미생물 기준규격을 고려해야 한다.

PSL, TL 및 ESR 분석에 의한 건조과일류 및 버섯류에 대한 검지 특성 연구 (Studies on the Applications of PSL, TL and ESR Methods for the Detection of Dried Fruits and Mushrooms)

  • 김규헌;손진혁;강윤정;박혜영;황초롱;김재이;이강봉;조태용;엄미옥;박순희;성락선;장영미;이재황;박용춘;이화정;이상재;한상배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7-14
    • /
    • 2013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pplicability of the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PSL), thermoluminescence (TL) and electron spin resonance (ESR) methods for various foods. The analysed samples consist of 11 items including dried fruits (6 items) and mushrooms (5 items). To compare between non-irradiated and irradiated food, all samples were irradiated with $^{60}Co$ gamma-ray source. In PSL study, the photon counts of all the unirradiated sample were identified negative (lower than 700). The photon counts irradiated (1, 5, 10 kGy) dried date-palm, dried jujube and mushrooms (Auricularia auricula, Phellinus linteus and Sarcodon aspratus) showed positive (higher than 5,000) and the results for the other samples were negative or intermediate (>700 and >5,000). In TL analysis most of items can be applicable to detect irradiated foods because of showing TL ratio above 0.1. The glow curves by TL method were estimated in the range of $150{\sim}250^{\circ}C$ in irradiated samples. In ESR measurements, the intensity of ESR signal (single-line) increased as the dose of irradiation increased. In particular, the specific ESR signals of irradiation-induced radical were detected in dried papaya, dried date-palm, dried banana, dried pineapple and S. aspratus. According to the results, PSL, TL and ESR methods were successfully applied to detect the irradiated foods. It is concluded that PSL, TL and ESR methods are suitable for detection of irradiated samples and a combined method is recommendable for enhancing the reliability of detection results.

염산비퀴딜 캡슐 및 알리벤돌 정의 용출시험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the Dissolution Test for Viquidil Hydrochloride Capsules and Alibendol Tablets)

  • 황정분;구은주;고서연;조경철;문현주;조수열;강찬순;손여원;김영옥;손경희;조대현
    • 약학회지
    • /
    • 제54권5호
    • /
    • pp.348-353
    • /
    • 2010
  • The dissolution test method and an analytical procedure by HPLC were developed and validated for viquidil hydrochloride capsules and alibendol tablets. These drugs were not yet characterized by the dissolution specifications in Korean Pharmaceutical Codex. So, with each reference and test drugs, we did the preliminary and standard experiments based on the Korean Pharmacopeia Guideline of dissolution testing for solid oral dosage forms. The dissolution test for viquidil hydrochloride capsules was carried out under sink conditions as follows: dissolution medium water, paddle rotation speed 50 rpm and vessel volume 900 ml. More than 90% of its label amount was released within 30 min in this method. Also the dissolution test for alibendol tablets was carried out under sink conditions as follows: dissolution medium water, paddle rotation speed 100 rpm and vessel volume 900 ml. More than 90% of its label amount was released within 45 min in this method. The dissolution samples were analyzed with a precise and accurate HPLC method. The developed dissolution test showed specificity, linearity, precision and accuracy within the acceptable range. The dissolution testing method described above was adequate for the purpose and may be proposed as a pharmacopeial standard to assess the performance of viquidil hydrochloride capsules and alibendol tablets.

유통 축·수산물 중 잔류벤질페니실린의 검출 및 모니터링 (Detection and Monitoring of Benzylpenicillin Residues in Livestock and Marine Products)

  • 이효정;강영원;이수민;안경아;이륜경;서상철;이주희;임무혁;이정림;홍충만;장문익;조윤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88-294
    • /
    • 2014
  • 국내 유통 중인 돼지고기, 소고기, 닭고기, 넙치 232건의 시료에 대해 벤질페니실린의 잔류량을 조사하기 위해 현행 식품공전상 축 수산물 중 벤질페니실린 분석법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고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벤질페니실린에 대한 분석법은 CODEX에서 요구하는 기준에 적합한 정밀성과 정확성을 보였다. 벤질페니실린의 잔류량 모니터링 결과 축산물 193건 중 11건, 수산물 39건 중 2건 총 13건이 검출되었다. 검출된 수준은 축 수산물 12건에서 0.001-0.004 mg/kg으로 잔류허용기준 이하로 검출되었으나, 축산물 중 국내산 돼지고기 1건에서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0.134 mg/kg 수준으로 검출되어 해당 유관기관에 부적합 통보 및 사후관리를 요청하였다. 따라서 벤질페니실린 등 항생제는 다른 동물용 의약품에 비해 사용빈도가 많은 만큼 지속적으로 잔류모니터링과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유해물질(有害物質) 제한지침(制限指針)(Restriction of Hazardous Substances Directive, RoHS)의 현황(現況) (Brief study on Restriction of Hazardous Substances Directive (RoHS))

  • ;이진영;김준수;손정수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7권6호
    • /
    • pp.3-9
    • /
    • 2008
  • 유해물질 제한지침(Restriction of Hazardous Substances Directive, RoHS)로 알려진 특정 유해물질 사용에 관한 규제는 2003년 2월 유럽 연합에서 시행되었다. RoHS는 2006년 7월 1일부터 효력을 발휘하며 이를 위해서는 유럽연합 소속국가에서 법령을 제정하여야 한다. 이 지침은 다양한 전기전자기기의 제조에 있어서 6가지 유해물질의 사용을 제한한다. 이것은 대량 발생하고 있는 유해한 전자기기 폐기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의된 법안의 일부이며, 전자제품 재활용에 관한 폐전자기기처리지침(Waste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directive, WEEE)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일부 생활화학용품에 함유된 성분 및 유해물질 조사 - 세정제와 소독제를 중심으로 - (An Investigation of Ingredients and Hazardous Substances in Some Consumer Products - Focusing on Cleaners and Disinfectants -)

  • 허다안;허은혜;박지영;문경환;이기영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314-326
    • /
    • 2015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ingredients used in ten consumer product categories and determine hazardous substances among these ingredients. Methods: A total of 542 commercial products in ten consumer product categories were selected. The consumer products were sticker removers, washing machine cleaners, multi-purpose cleaners, mold removers, glass cleaners, chlorinated sanitizers, air conditioner cleaners, disposal cleaners, drain cleaners and disinfectant sprays. The company list was complied from governmental records and a market survey. The respective companies were contacted for a list of ingredients found in the 542 products. Results: The corresponding companies listed 163 ingredients. According to European Union (EU) Directive 67/548/EEC, 38 of the 163 ingredients were classified as dangerous substances. Among these substances, 28 ingredients were hazardous to the skin, 15 were hazardous to the eye, and nine were hazardous if inhaled. Three ingredients were classified as CMR (carcinogenic, mutagenic or toxic for reproduction) substances: liquefied petroleum gases (LPG) with carcinogenicity and mutagenicity, and VM&P naphtha and ligroine with carcinogenicity. Conclusion: Various chemicals, including hazardous substances, were used in consumer products. Risk assessment of consumer products is required in order to protect the population from health risks.

The effect of ventilation on reducing the concentration of hazardous substances in the indoor air of a Korean living environment

  • Kim, Hyunjoo;Kim, Jin Seog;Lee, Jongman;Kim, Dalho
    • 분석과학
    • /
    • 제33권1호
    • /
    • pp.49-57
    • /
    • 2020
  • Controlling the quality of indoor air is important in order to maintain a healthy lif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azardous substance concentration of indoor air and circulation based on different ventilation methods in the apartment, which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housing types in Korea. As target substances, we considered the hazardous substances which are generated during the cooking process and radon gas which is originated from building materials. We measured the concentrations of carbon dioxide and fine particles in relation to type of food and ventilation methods in order to determine the change in the concentration levels of hazardous substances which are generated during the cooking process. On the other hand, we measured the concentration of radon gas before and after letting fresh air into a room through windows in order to determine the change in the concentration level of radon gas which is originated from building materials. The results show that turning on the ventilation fan plays a major role in reducing the concentration levels of hazardous substances in the kitchen, and that it is more effective to turn on the ventilation fan during cooking than after cooking to prevent the diffusion of hazardous materials produced by cooking through the indoor air. Also, the results indicate that letting fresh air into a room through windows more than one time a day is necessary to reduce the concentration level of radon gas in the room to safe concentration range.

FT-NIR을 이용한 농약제품분석 (Analysis of Crop Protection Products using FT-NIR)

  • 최달순;권오경;권혜영;홍수명;경석헌;최주현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84-90
    • /
    • 2006
  • 농업분야에서 FT-NIR은 또 다른 분석기기를 통하여 정량하고자 하는 대상을 분석하여 작성한 data set을 이용하는 계량분석학적 정량분석기술을 통하여 시료 전처리 없이 농산물의 품질관리에 사용하였다. 농약제품은 고분자 부자재와 다양한 제형의 기기분석적 문제점들 때문에 FT-NIR을 이용하는 기기분석적 검토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FT-NIR의 spectrum calculator 모듈로부터 계량분석화학적 기술을 이용하여 농약제품분석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