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ir dermal papilla cell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32초

6종의 미세조류 추출물의 탈모예방 및 두피 개선 효과 비교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s of Six Species of Microalgae Extracts on Hair Loss Prevention and Scalp Improvement)

  • 정민화;이수선;김현아;황혜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45-350
    • /
    • 2018
  • 이번 연구에서 우리는 6종의 미세조류 ; Phaeodacylum tricrnutum (PT), Chaetoceros gracilis (CG), Nanochloris oculata (NO), Pavlova lutheri (PL), Chlorella ellipsoidae (CE), and Scendedemus obliquus (SO)를 이용하여 탈모 예방 및 두피 개선효과를 살펴보았다. DPPH 라디칼 소거능 실험에서는 SO, CG, ST9 순으로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OH 소거능 실험 결과, CG (6.6~42.1%), ST9 (26.0~44.0%), SO (7.8~44.3%)으로 유의적인 효과를 보였다. 그외에도 세포증식실험에서는, SO가 인간표피세포주인 HaCaT 세포 증식을 촉진시켰으며, CG와 SO가 모유두세포주인 HFDPC 세포 증식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5-alpha reductase 저해능 실험결과, PT, CG, SO가 유의적으로 효소활성을 저해하였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 사용한 6종의 미세조류들 중, 항산화활성, 세포증식 효과, 5-alpha reductase 저해능을 보인 몇가지 조류들이 탈모예방 및 두피개선을 위한 제품개발에 좋은 원료가 될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한다.

Cornu cervi pantotrichum Pharmacopuncture Solution Facilitate Hair Growth in C57BL/6 Mice

  • Lee, Seon-Yong;Lee, Dong-Jin;Kwon, Kang;Lee, Chang-Hyun;Shin, Hyun Jong;Kim, Jai Eun;Ha, Ki-Tae;Jeong, Han-Sol;Seo, Hyung-Sik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2-128
    • /
    • 2016
  • Objectives: Cornu cervi pantotrichum (CCP) has been widely used in Korean and China, as an anti-fatigue, anti-aging, and tonic agent to enhance the functions of the reproductive and the immune systems. Because CCP has various growth factors that play important roles in the development of hair follicles, we examined whether CCP pharmacopuncture solution (CCPPS) was capable of promoting hair growth in an animal model. Methods: One day after hair depilation, CCPPS were topically applied to the dorsal skin of C57BL/6 mice once a day for 15 days. Hair growth activity was evaluated by using macro- and microscopic observations. Dorsal skin tissues were stained with hematoxylin and eosin. Expressions of bromodeoxyuridine (BrdU),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PCNA), and fibroblast growth factor (FGF)-7 were examined by using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A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alysis was also conducted to measure the messenger RNA (mRNA) expression of FGF-7. Results: CCPPS induced more active hair growth than normal saline. Histologic analysis showed enlargement of the dermal papilla, elongation of the hair shaft, and expansion of hair thickness in CCPPS treated mice, indicating that CCPPS effectively induced the development of anagen. CCPPS treatment markedly increased the expressions of BrdU and PCNA in the hair follicles of C57BL/6 mice. In addition, CCPPS up regulated the expression of FGF-7,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hair follicles. Conclusion: These results reveal that CCPPS facilitates hair re-growth by proliferation of hair follicular cells and up-regulation of FGF-7 and suggest that CCPPS can potentially be applied as an alternativ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alopecia.

모낭기관배양과 임상에서 제주푸른콩발효추출물의 육모 효능에 미치는 영향 (Fermented Jeju Soybean Extract Promotes Hair Growth in Human Hair Follicle Organ Culture and Clinical Trial)

  • 이용희;신승현;김세현;정규상;홍민정;박혁곤;김승훈;김은주;강영규;박병철;박원석;김수나;김형준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55-263
    • /
    • 2021
  • 콩 추출물은 노화, 암, 비만 및 심혈관 질환과 같은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콩 추출물은 in vitro, in vivo 및 임상 연구에서 모발 성장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에는 발효추출물이 일반추출물에 비해 다양하고 높은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발효된 콩 추출물의 모발 성장을 유도하는 근본적인 매커니즘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미녹시딜과 유사한 기본 매커니즘에 초점을 두고 제주푸른콩발효(FJS)추출물이 모발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우리는 in vitro, ex vivo와 임상 연구를 수행하였다. 우리의 연구결과, FJS 추출물은 모낭모유두세포증식, VEGF 수준 및 포타슘 채널 활성을 향상시킴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효과는 FJS 추출물 이 함유된 토닉을 사용하였을 때, 24주 후 모발 밀도 개선을 확인한 임상결과에서도 종합적으로 입증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FJS 추출물이 모낭의 미녹시딜과 유사한 매커니즘을 통해 모발 성장을 촉진하고 탈모를 억제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C57BL/6N 생쥐에서 골쇄보(骨碎補) 추출물을 이용한 발모(發毛)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ies on the Hair Growth Activity of Drynariae Rhizoma Extracts in C57BL/6N Mice)

  • 정석영;정일국;김대근;조한영;정한솔;이창현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453-461
    • /
    • 2007
  • Drynariae Rhizoma has been used for promotes mending of the sinews and bone, tonifies the kidney for such symptoms as weak low back and knees, and stimulates the growth of hair as a tinctute for alopecia in oriental medicine. This experiment examined the effect of an acetone extracts of Drynariae Rhizomas(GSB-1), its EtoAc fraction(GB-2) and n-buOH fraction(GSB-3), on hair growth activity of the C57BL/6L mice after topical application to skin. First, We examined on hair growth activity of extracts of Drynariae Rhizomas compare to control and 1 % minoxidil groups. Second, We investigated on the number of hair follicle and mast cells after topical application of extracts of the Drynariae Rhizomas to skin for 16 day. Third, We investigated immunoreactive density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VEGF), protein kinase C-${\alpha}$(PKC-${\alpha}$) and stem(mast) cell factor(SCF) in skin of C57BL/6N mice by immunohistochemical method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Hair growth effect of acetone extracts of Drynariae Rhizomas, its EtoAc fraction and n-BuOH fraction was observed in 98 %, 96 % and 60 % in hair removed skin area in 16 day respectively, Immunoreactive density of VEGF in skin of GSB-1 group was weakly stained compare to control group in 10 day, But GSB-2 and GSB-3 groups were mildy stained in bulge and root sheath of skin. Immunolocalization of SCF antigens was observed weakly stained density in epidermis, bulge, stem cells and dermal papilla of control gruop. but in experimental group, immunoreactivity of SCF antigens was observed mildly stained density in bulge, epidermis and root sheath of GSB-1 gruop, heavily stained density in epidermis, bulge and root sheath of GSB-2 and GSB-3 groups to the hair removal skin of C57BL/6N mice on day 10. These experiment suggest that acetone extracts of Drynariae Rhizomas and its EtoAc fraction may be used for topical treatment of alopecia areata.

케라틴 펩타이드에 의한 모발 및 두피 특성 변화 연구 (Study on Changes of Hair and Scalp Characteristics by Keratin Peptides)

  • 남개원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53-361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Fervidobacterium islandicum AW-1를 이용하여 케라틴 펩타이드를 생산하고, 두피 및 모발에 관련된 인자를 확인하여, 화장품 원료로서 케라틴 펩타이드의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모유두 세포주에 케라틴 펩타이드를 농도에 따라 세포 독성 및 증식을 살펴본 결과, 세포 독성은 나타나지 않았고, 세포증식에도 효과가 없었다. 케라틴 펩타이드를 함유한 헤어 샴푸, 헤어 에센스를 제조하여 인체 첩포 시험을 거쳐 무자극을 확인하였다. 30 명의 건강한 성인 피험자를 대상으로 4 주 동안 샴푸 및 에센스를 2 그룹으로 나누어 사용한 결과, 육안평가에서 윤기, 탈모, 두피 트러블, 푸석거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긍정적 결과를 나타내었다. 두피 수분량은 샴푸와 에센스 사용 전 대비 2, 4 주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두피에 대한 경피수분손실양은 에센스를 사용한 그룹에서 사용 전 대비 4주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두피 피지량 역시, 에센스를 사용한 그룹에서 사용 전 대비 4 주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정상 모발, 손상 모발을 이용한 헤어 샴푸와 에센스의 사용 전후의 빗질에 의한 마찰력을 측정한 결과, 사용 전 대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정상 모발의 경우, 사용 전보다 빗질의 마찰력이 증가하였고, 손상 모발의 경우 사용 전보다 빗질의 마찰력이 감소하였다. 이를 통해 케라틴 펩타이드는 모발 및 두피 관련한 제품에 사용할 수 있는 원료로 확인하였다.

오리나무 가지 유래 Oregonin의 인체 모유두 세포 Apoptosis 조절 효능 (Modulative Effect of Human Hair Dermal Papilla Cell Apoptosis by Oregonin from the Braches of Alnus japonica)

  • 이경화;박광현;최선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22-329
    • /
    • 2018
  •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그동안 의약외품으로 분류되었던 '탈모 증상 완화' 관련 제품이 기능성 화장품의 범주에 포함됨에 따라서 관련 산업계에 큰 관심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의약품들의 한계점인 부작용의 위험률이 적으면서 탈모를 과학적으로 조절시켜줄 수 있는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할 수 있는 천연물 유래 신소재를 발굴하고자, 오리나무 가지로부터 분리한 oregonin은 강력한 활성산소종 소거능을 가지며 탈모와 연관성이 높은 모유두 세포의 사멸을 명확하게 조절함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oregonin을 포함한 오리나무 추출물은 두피에서 발생한 활성산소를 강력하게 제거하는 효능을 기반으로 하여,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모유두세포의 사멸 억제 및 조절을 통하여 탈모방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천연 탈모 방지 및 양모 신소재로서의 개발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當歸補血湯加味方이 모발탈락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anGuiBoHyulTangGami-Bang on the Alopecia and Hair Growth Stimulation)

  • 김필수;김희택;노석선;황충연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8-60
    • /
    • 2004
  • We made an experiment if the extracts of DanGuiBoHyulTangGami-Bang(DBTG) and 15 kinds of the medical herbs used the materials of DBTG were effective on the hair formation palpation and the falling out of hair, and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1. The extracts of Paeonia lactiflora, Cuscuta chinensis and Angelica tenuissima of DBTG consisted of the 15 kinds of the medical herbs kept the activity of 5${\alpha}$-reductase type Ⅱ from being active 75.3$\%$, 63.8$\%$. 75.5$\%$. 2. The hair growth index, 1.6(control group 0.8) of the extracts of DBTG bas a little effect on the hair growth palpation and that of Rubus coreanus 1.8(control group 0.4) was the most effective one of the medical herbs, and Paeonia lactiflora 2.3(control group 1.7) and Vitex rotundifolia 2.3(control group 1.5) showed the effect on hair formation palpation. 3. The hair growth period couldn't be extended by DBTG in this experimental stage. 4. The 15 kinds of constitution medicines of DBTG didn't have effects in dermal papilla cells DNA increase, IGF- I, KGF, HGF the revelation of a gene heredity, the protein synthesis of the hair follicle tissues. 5. All of the 15 kinds of constitution medicines of DBTG didn't have the antibacterial activity in Paper disc rule. 6. The results from the test of a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15 kinds of constitution medicines of DBTG showed that the extracts of Paeoria lactiflora, Scutellaria baicalensis, Rubus coreanus have the superior antioxidant activity in the concentration of 0.01$\%$ and 0.001$\%$ 7. In the formation controlled experiment, Vitex rotundifolia (70.6$\%$), Scutellaria baicalensis (47.1$\%$, Saposhnikovia (44.8$\%$) of the 15 kinds of constitution medicines of DBTG in the 50㎍/㎖ concentration controled NO forming and Vitex rotundifolia (12.7$\%$) controled NO forming in the 5㎍/㎖ concentration in order. 8. MTT(lC/50) of the extracts of Rehmannia glutinosa, Paeonia lactiflora, Scutellaria baicalensis, Lycium chinense, Rubus coreanus of the 15 kinds of constitution medicines of DBIG was more than 500㎍/㎖ and had the least cell virulence.

  • PDF

Therapeutic Potentiality of Celtis choseniana Nakai on Androgenic Alopecia through Repression of Androgen Action and Modulation of Wnt/β-catenin Signaling

  • Hui-Ju Lee;Geum-Lan Hong;Kyung-Hyun Kim;Yae-Ji Kim;Tae-Won Kim;Ju-Young Jung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9권1호
    • /
    • pp.31-37
    • /
    • 2023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icacy of Celtis choseniana Nakai (C. choseniana) as complementary herbal medicine to ameliorate androgenic alopecia (AGA). The effects of C. choseniana on AGA were evaluated using testosterone propionate-induced AGA mouse model and dihydrotestosterone-treated human hair follicle dermal papilla cells. In vivo, C. choseniana treatment deactivated androgen signaling by reducing the concentration of serum dihydrotestosterone level and expressions of 5α-reductase 2 and androgen receptor. Next, C. choseniana treatment increased the hair regrowth rate. Histological studies demonstrated that C. choseniana induced the anagen phase in testosterone propionate-induced AGA mouse model. Cellular proliferation was promoted by C. choseniana treatment via increasing the expression of proliferation factors, such as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and cyclin D1. Furthermore, C. choseniana treatment increased the expression of proteins related to the Wnt/β-catenin signaling pathway. In addition, dickkopf-1, a Wnt inhibitor, was downregulated with C. choseniana treatment. Likewise, C. choseniana treatment promoted cellular proliferation in vitro. This study demonstrated the inhibitory effect of C. choseniana on androgen-induced AGA. Moreover, C. choseniana induced activation of Wnt/β-catenin signaling, resulting in prolonged anagen and cellular proliferation. Therefore, we suggest that C. choseniana can be used as a therapeutic agent to alleviate AGA.

발모효과를 가지는 한방복합처방단 (Medicinal Herbal Complex Extract with Potential for Hair Growth-Promoting Activity)

  • 이준영;임경란;정택규;이명희;윤경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77-287
    • /
    • 2012
  • 탈모방지 및 발모효과를 가지는 소재를 개발하기 위해 한의학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23가지 한방소재를 선정하여 한방복합처방단을 개발하였다. 한방복합처방단을 구성하는 한방소재들은 예로부터 전통적으로 발모 및 탈모방지, 흰머리방지, 염증 치료 및 혈액순환개선 효과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는 당귀, 보골지, 측백엽, 한련초, 구기자, 복분자, 상백피, 숙지황, 여정실, 적하수오, 흑지마, 고삼, 백지, 익모초, 단삼, 도인, 몰약, 감국, 유향, 인삼, 천궁, 합환피, 현호색 등이다. 또한, 한방복합처방단의 발모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in vitro와 in vivo 평가모델을 이용하여 모발성장 및 촉진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In vitro 상에서는 모유두세포, 각질형성세포 및 섬유아세포의 증식을 확인하였다. 또한, 흰머리방지 효과와 관련하여 멜라노마 세포에서의 멜라닌 합성능력을 확인하였다. 한방복합처방단의 in vitro 상에서의 육모효과는 C57BL/6 마우스를 이용한 in vivo 상에서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한방복합처방단은 $50{\mu}g/mL$의 농도에서 모유두 세포의 증식을 175 %까지, 섬유아세포인 NIH3T3 세포의 증식은 120 %까지 증가시켰으며, $20{\mu}g/mL$의 농도에서 각질형성세포인 HaCaT 세포의 증식을 133 %까지 증가시켰다. 멜라닌 합성의 경우, $50{\mu}g/mL$의 농도에서 154 %까지 증가시켰다. 또한, C57BL/6 마우스를 이용한 육모효과에 있어서는 한방복합 처방단 처리 4주 후 98 % 이상의 육모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한방복합처방단은 모발의 성장 촉진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처방으로 사료된다.

저분자 당단백을 함유하는 다마스크 장미추출물의 항노화 효과 (Anti-aging Effects of Rosa damascena Extract Containing Low Molecular Glycoprotein)

  • 한정희;송지훈;김영은;이유희;이정민;이지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49-5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다마스크 장미 내 고분자 당단백을 bioconversion 기술을 이용하여 저분자화한 다마스크 장미추출물(Rosa damascena extract containing low molecular glycoprotein, RELG)의 항노화 효능을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이용한 RELG의 항산화능 평가($IC_{50}$)는 $22.6{\mu}g/mL$으로 양성대조군인 ascorbic acid $21.1{\mu}g/mL$와 비교하여 비슷한 수준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고 피부세포실험에서는 $15{\mu}g/mL$에서 자외선과 $H_2O_2$에 의한 활성산소 생성을 28% 억제하였다. 또한 같은 농도에서 자외선에 의한 콜라겐 분해효소(MMP-1)의 생성을 48% 억제하고 $10{\mu}g/mL$에서 대조군 대비 보습인자인 aquaporin 3 (AQP3)의 발현을 44%, 중성지질 생합성을 10% 촉진하여 항주름 효능과 더불어 보습효능까지 나타냈다. 추가적으로 두피 모유두세포에서는 스트레스로 인한 세포사멸을 $15{\mu}g/mL$에서 10% 억제하고 활성산소의 생성을 90% 감소시켰다. 본 연구 결과, RELG는 효과적인 항노화 화장품 소재임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