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DL-C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검색결과 231건 처리시간 0.032초

말굽버섯 추출물이 Streptozotocin으로 유발된 당뇨 흰쥐의 혈당, 지질대사 및 면역세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mes fomentarius Extract on Blood Glucose, Lipid Profile and Immune Cell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김나영;정호금;박명주;김석지;김석환;최종원;이정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825-832
    • /
    • 2005
  • 말굽버섯(Fomes fomentarius)이 당뇨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할 목적으로 실험동물에 STZ를 투여하여 당뇨를 유발시킨 후 말굽버섯 물추출물과 메탄을 추출물을 2주간 투여하여 혈당,지질함량 및 면역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혈당은 당뇨로 인해 증가하였으나 말굽버섯 추출물 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를 보였다. 혈청과 간의 총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함량은 말굽버섯 추출물 급여로 DM군에 비하여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HDL-콜레스테롤 함량과 GSH-Px의 활성은 말굽버섯 추출물 급여 시 에는 DM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다. 혈청 보체 C3의 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DM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 DM-FM 200군에서 대조군 수준으로 회복이 관찰되었다. B cell과 T cell은 DM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 말굽버섯 추출물 투여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Helper T cell과 suppressor T cell의 분포는 DM군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나, 말굽버섯 추출물 투여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말굽버섯의 물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은 혈당조절 기능, 지질대사 개선 및 면역작용을 활성화시킴으로서 STZ의 투여로 인한 당뇨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제2형 당뇨병 모델 마우스에서 ginsenoside Rg1의 항당뇨 효과 (Antihyperlipidemic Effect of Ginsenoside Rg1 in Type 2 Diabetic Mice)

  • 박재홍;이지연;여지영;남정수;정명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7호
    • /
    • pp.932-938
    • /
    • 2011
  • Ginsenoside Rg1은 인삼에서 분리한 약물학적인 활성을 가지는 물질이다. 본 연구는 Rg1이 제2형 당뇨병 모델 동물에서 혈당과 지질대사에 유익한 효과를 가지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10주령의 db/db 마우스에 Rg1을 10 mg/kg 농도로 15일간 경구투여한 결과 공복혈당이 감소하였고, 포도당 내성이 개선되었다. 특히 혈중 중성지방과 유리지방산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혈중 HDL-콜레스테롤이 증가되었다. 또한 chimeric GAL4-PPAR${\alpha}$ receptor 활성 프로모터를 활성화시켰고 PPAR${\alpha}$ gene인 CPT-1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1)과 ACO (acyl-CoA oxidase)의 발현을 증가시켰는데 이것으로 Rg1의 지질대사 개선이 PPAR${\alpha}$ 활성에 의한 지방산 산화에 의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모든 결과를 종합해 볼 때, Rg1은 제2형 당뇨병과 관련된 고혈당증과 고지혈증에 유용한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로바스타틴 정제의 생물학적 동등성 평가 (Bioequivalence Evaluation of Lovastatin Tablets)

  • 복혜숙;김명민;최경업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07-112
    • /
    • 1998
  • Lovastatin is a lipid lowering agent for the treatment of hypercholesterolemia and belongs to a new class of pharmacologic compounds called the 3-hydroxy-3-methylglutaryl coenzyme A (HMG CoA) reductase inhibitors. By competitively inhibiting HMG CoA reductase, lovastatin disrupts the biosynthesis of cholesterol in hepatic and peripheral cells and increases the synthesis of high-density-lipoprotein HDL) receptors. Following oral administration, the lactone ring of lovastatin is hydrolysed to the active inhibitor of HMG CoA reductase, lovastatin acid. Lovastatin is known to have poor oral absorption and wide individual variation. In this study, bioequivalence test of two lovastatin formulations, the test drug ($Lovaload^{TM}$, Chong Kun Dang Pharmaceutical Co.) and the reference drug ($Mevacor^{TM}$, Chung Wae Pharmaceutical Co.)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guidelines of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A total of 18 healthy male volunteers, $31.90\pm3.60$ years old and $72.17\;7.88$ kg of body weight in average, were evaluated in a randomized crossover manner with a 2-week washout period. Concentrations of lovastatin acid in plasma were measured upto 12 hours following a single oral administration of eight tablets (20 mg of lovastatin per tablet)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UV detection at 238 nm. The area under the concentration-vs-time curve from 0 to 12 hours $(AUC_{0-12h})$ was calculated by the trapezoidal summation method. The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UC_{0-12h),\;C_{max}\;and\;T_{max}$ between the two formulations ($6.72\%,\;1.52\%,\;and\;0.88\$, respectively). The leas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formulations at $\alpha$=0.05 were less than $20\%\;(11.65\%,\;19.73\%,\;and\;14.81\%\;for\;AUC_{0-12h},\;C_{max}\;and\;T_{max}$, respectively). The $90\%$ confidence intervals for these parameters were also within $\pm20\%\;(-1.50{\leq}{\delta}{\leq}15.00$, $-12.50{\leq}{\delta}{\leq}15.50,\;and\;-9.64{\leq}{\delta]{\leq}11.40{\leq}\;for\;\;AUC_{0-12h}$ ,$C_{max}\;and\;T_{max}$,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new generic product $Lovaload^{TM}$ was proven to be bioequivalent with the reference drug.

  • PDF

Associations between dietary patterns and hypertension among Korean adults: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0)

  • Shin, Ji-Ye;Kim, Ji-Myung;Kim, Yuri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7권3호
    • /
    • pp.224-232
    • /
    • 201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etary patterns associated with the risk of hypertensions among Korean adults using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08-2010). This study analyzes data from 11,883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e health and nutrition survey, aging from 20 to 64 years. We performed factor analysis based on the weekly mean intake frequencies of 36 food groups to identify major dietary patterns. We identified three major dietary patterns in both sexes, namely "traditional", "western" and "dairy and carbohydrate" patterns. Participants in the highest quartile of western pattern scores had significantly higher blood pressure, serum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than those in the lowest quartile. Al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 trend (P for trend = 0.0732) toward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the western dietary pattern and hypertension risk was observed after adjustments for age, sex, education, income, body mass index (BMI), smoking, physical activity, and energy intake. The dairy and carbohydrate pattern was inversely related with BMI and blood pressures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serum high-density lipoprotein (HDL)-cholesterol. After adjusting the age, sex, education, income, BMI, smoking, physical activity and energy intake, the dairy and carbohydrate pattern showed inverse associations with hypertension prevalence (OR = 0.64, 95% CI = 0.55-0.75; P for trend < 0.0001). Intakes of fiber, sodium, and antioxidant vitamin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op quartile for the traditional pattern than in the lowest quartile for the traditional pattern (P for trend < 0.0001). Intakes of fiber (P for trend < 0.0001), calcium (P for trend < 0.0001), retinol (P for trend = 0.0164), vitamin $B_1$ (P for trend = 0.001), vitamin $B_2$ (P for trend < 0.0001), niacin (P for trend = 0.0025), and vitamin C (P for trend < 0.0001)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cross quartiles for the dairy and carbohydrate pattern whereas sodium (P for trend < 0.0001) intake was decreased for this pattern. In conclusion, the dairy and carbohydrate pattern may be associated with a reduced risk of hypertension whereas the western pattern may b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hypertension among Korean adults.

비알코올성 지방간과 대사증후군 및 혈청 카로테노이드와의 관련성 (Associations of Non Alcoholic Fatty Liver with the Metabolic Syndrome and Serum Carotenoids)

  • 박선균;이현정;이덕희;이성국;천병렬;김성애;이혜성;손효경;김성희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1권1호
    • /
    • pp.39-44
    • /
    • 2008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s of non alcoholic fatty liver with metabolic syndrome and the serum carotenoids.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 general hospital in South Korea from November, 2004 to August, 2005. The study subjects were 350 sampled persons who were aged from 40 years and older (males : 180, females : 170). They were grouped into the normal, mild and severe groups according to fat accumulation in their livers, as determined by ultrasonography. We analyzed the association between non alcoholic fatty liver and metabolic syndrome b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we analyzed the association between non alcoholic fatty liver and the serum carotenoids by a general linear model(ANCOVA). Results : After adjustment for the effect of potential covariates,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was associated with fat accumulation in the liver (p trend <0.001). If the odds ratio of normal group is 1.00, then that of the mild group is 2.80 (95% C.I=1.17-6.71) and that of the severe group is 7.29 (95% C.I=2.76-19.30). The prevalence of metabolic alterations fitting the criteria of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the class of fat accumulation in the liver, was significantly increased, except for criteria of high blood pressure, a large waist circumference and low HDL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 (p trend <0.001). The level of serum ${\beta}$-carotene was decreased according to the class of fat accumulation in the liver (p trend=0.036), but the levels of serum ${\alpha}$-carotene, lycopene, ${\beta}$-cryptoxanthin and lutein were not decreased. Conclusions : This study shows that non alcoholic fatty liver was associated with metabolic syndrome and with the serum ${\beta}$-carotene level.

연령별 신체활동에 따른 대사성질환과의 관계 (Relationship of Metabolic Diseases with Physical Activity Depending on Age)

  • 임효경;설재웅;박범석;문지영;홍민화;이유리;황민지;이미나;이지영;김인식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44-15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2014년 조사되어진 제 6기 2차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연령별 신체활동에 따른 대사성질환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연령별 신체활동에 따른 대사성질환과의 관련성을 규명하여 예방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제 6기 2차(2014)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자료를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정상군의 382명과 대사질환군의 1,525명을 총 9,701명의 설문 응답자 중 관련 자료가 없는 2,506명을 제외하고 총 7,295명을 분석했다. 본 연구에서 신체활동은 국제신체활동 설문지 (IPAQ)를 기반으로 재분류 되었다. 대사증후군의 정의는 2004년 개정 된 NCEP-ATP III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연령에 따른 대사성질환과 신체활동과의 관계에서 10~29세 정상군과 50~69세의 대사질환군에서 혈색소, 적혈구용적, 크리아티닌의 수치는 고강도 신체활동이 수행되었을 때 증가했고 저강도 신체활동을 수행되었을 때 감소했다. 30~49세의 정상군과 대사질환군에서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수치는 고강도 신체활동이 수행되었을 때 증가했지만, 저강도 신체활동이 수행되었을 때 감소하였다. 따라서 연령과 운동강도가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수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결과는 정상군에서 연령과 운동강도에 따라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수치에 차이는 없었지만 대사질환군에서는 연령에 따라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수치가 감소하였고 운동강도에 따라 증가하였다. 종합하면, 본 연구의 결과는 대사질환군에서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수치는 고강도 신체활동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연령은 부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가 신체활동과 연령에 따라 대사성질환을 더 잘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8주간의 절명상 프로그램이 여성의 스트레스, 우울 및 심혈관 위험인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8-weeks Jeol Meditation Program on Stress, Depression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Women)

  • 정환석;강윤식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8권3호
    • /
    • pp.163-173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절명상 프로그램이 가진 보완대체의학으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8주 간의 절명상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스트레스, 우울 및 심혈관계 위험 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일개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성인여성 60명 중 탈락기준을 통과한 57명을 대상으로 무작위대조군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은 실험 전후에 자기기입식 설문을 통해 스트레스, 우울을 단축형 사회심리적 건강 측정도구(PWI-SF), Beck 우울척도(BDI)로 각각 조사하였고,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혈압, 당화혈색소, 항상성 모델 평가(homeostasis model assessment, HOMA),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을 측정하였다. 실험군에게 스트레칭, 절명상, 정좌명상으로 구성된 절명상 프로그램을 8주간 시행하였으며, 대조군에는 아무런 중재를 하지 않았다. 제외기준을 통과한 57명 중, 실험군 26명, 대조군 27명이 실험을 완주하였고, 실험군은 일주일에 평균 5.16회 절명상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8주간의 실험 후, 실험군은 스트레스(t=5.102, p<0.01), 우울(t=5.259, p<0.01), 체질량지수(t=2.942, p=007)와 허리둘레(t=2.582, p=0.016)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나, 대조군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그 외의 변수에서는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8주 간의 절명상 프로그램 시행 후, 시행 전에 비하여 실험군에서 스트레스, 우울 및 체질량지수, 허리둘레가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변화량의 차이는 대조군과의 비교에서도 유의하였다. 이는 절명상이 심신의학의 한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키베리 추출물이 정상 설치류의 혈중지질과 간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qui Berry Extract on Blood Lipids and Liver Function in Normal Rodents)

  • 황미선;이주희;김인주;김태희;김강민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9호
    • /
    • pp.791-797
    • /
    • 2020
  • 마키베리는 슈퍼푸드 중 하나로 현대인의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본 연구에서는 마키베리 추출물이 성장기 정상 설치류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하여 2주간의 음용 후 혈액 구성 세포, 혈중 지질 등 생체변화를 측정하였다. 또한, 천연식물 소재의 위해성 여부 확인을 위해 혈액에서 확인 가능한 간과 신장 기능에 대한 생체 지표 변화도 측정하였다. 10주령 웅성 SD rat에 마키베리 추출물을 음용시킨 결과 혈중 지질 수준 변화에 있어서는 마키베리 음용군이 대조군에 비해 약 30%의 중성지질 수준 감소와 함께 약 18%의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수준 증가를 보임으로써 혈중지질 수준의 개선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으며 적혈구 수준이 대조군 대비 약 10% 증가하였고 통계적 유의성은 없으나 헤모글로빈 또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적혈구 용적 비율 또한 약 12%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마키베리 음용으로 인해 혈청 단백질이 대조군에 비해 약 30% 증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마키베리 음용 후의 간손상에 대한 생체지표를 확인한 결과 GOT와 GPT 모두 대조군에 비해 약 12%의 감소가 확인되어 간기능 개선 효과에 대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마키베리 음용은 혈액세포의 생성촉진과 함께 혈중지질개선, 간기능 개선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여지며 향후 기능성 식의약품 소재 또는 제품개발을 통한 고부가가치 창출 등 산업적으로의 활용 가치가 매우 높을 것이라 사료된다.

초음파로 측정된 내장지방두께의 복부 비만지표로서의 유용성 (The Usefulness of Visceral Fat Thickness Measured by Ultrasonography as an Abdominal Obesity Index)

  • 김용균;한만석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1권3호
    • /
    • pp.249-258
    • /
    • 2008
  • 목적 : 복부비만 특히 내장지방의 과잉축적은 대사증후군 발생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내장지방의 정확한 평가는 중요하며, 초음파 측정법은 간편하고, 안전하게 내장지방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초음파에 의해 측정된 복부 내장지방두께와 신체계측지표 및 대사증후군 관련인자와의 연관성을 확인하고, 대사증후군 예측을 위한 내장지방두께 기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8년 1월부터 4월까지 대전 D 건강검진센터에 내원한 건강검진자 중 400명(남자 200명, 여자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초음파 검사로 제대 바로 위에서 내장지방 및 피하지방두께를 측정하였고, 신체계 측지표로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허리둘레/키 비를 측정하였으며, 대사증후군 관련인자로 혈압, 고밀도콜레스테롤(HDL-C), 중성지방(TG), 공복혈당(FBS)을 측정하였다. 초음파 측정지표와 신체계측지표 및 대사증후군 관련인자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ROC곡선을 이용하여 대사증후군 예측을 위한 내장지방두께를 산출하였다. 결과 : 내장지방두께는 허리둘레(r=0.683/남, r=0.604/여), 허리둘레/키 비(r=0.633/남, r=0.595/여) 및 체질량지수(r=0.621/남, r=0.534/여)와 남녀 모두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수축기혈압(r=0.229/남, r=0.232/여), 이완기혈압(r=0.285/남, r=0.254/여), 고밀도콜레스테롤(r=-0.254/남, r=-0.326/여), 중성지방(r=0.475/남, r=0.411/여), 공복혈당(r=0.158/남, r=0.234/여)과 남녀 모두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사증후군 예측을 위한 내장지방두께의 cut-off value는 남자 4.58cm (민감도 89.2%, 특이도 71.2%), 여자 3.50cm (민감도 61.2%, 특이도 80.8%)이었으며, 내장지방두께가 남자에서 6cm, 여자에서 5cm 이상부터 대사중후군 위험성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결론 : 초음파로 측정된 내장지방두께는 신체계측지표 및 대사증후군 관련인자와 남녀 모두에서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대사증후군 예측을 위한 내장지방두께 기준은 남자 4.58cm, 여자 3.50cm 이었다. 초음파로 측정된 내장지방두께는 복부비만의 유의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임상에서 복부 비만 지표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측정방법의 표준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건강한 남자 대학생에서 민들레즙 보충이 알코올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 및 숙취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Dandelion Juice Supplementation on Alcohol-Induced Oxidative Stress and Hangover in Healthy Male College Students)

  • 노경희;장지현;김진주;신진혁;김동규;송영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683-69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성인 남자를 대상으로 민들레즙이 알코올 섭취 후 산화적 스트레스 및 숙취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여 알코올 섭취로 인한 간 기능 보호와 숙취해소 효과를 가진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평균 주량이 소주 1병 이상으로 술을 즐겨 마시는 건강한 20대 식품전공 남자 대학생 9명을 선정하여 개인차를 없애기 위해 실험 시작 전 1주일 간 금주를 시켰으며 시험에 앞서 임상대상자들에게 본 연구에 대해 충분히 숙지시킨 후 안정된 분위기에서 시험을 cross over design으로 진행하였다. 대상자들에게 매일 민들레즙 220 mL씩 1주일간 보충시킨 후 각각 20% 에탄올을 함유한 소주 360 mL씩 (에탄올 함량 72 g)을 섭취시켰다. 술은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1시간 내에 다 마시게 하였으며 두 번의 실험 사이에는 2주간의 wash-out period를 가졌다. 민들레즙을 보충한 군에서 알코올 섭취 후 혈중 HDL-C 농도가 유의적으로 (p<0.01) 증가하였으며 LDL-C 농도는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ADH와 ALDH 활성을 향상시켜 에탄올과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다소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항산화능과 지질과산화 정도는 민들레즙 보충에 따른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민들레즙을 보충한 군에서는 알코올 섭취 후 다소 지질과산화가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적혈구의 항산화 효소계 활성은 GSH-red와 catalase 활성이 민들레즙을 보충한 군에서 유의적으로(p<0.05)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알코올 섭취로 인한 임파구의 DNA 손상정도는 민들레즙의 보충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민들레즙을 보충한 군에서 알코올에 의한 임파구DNA 손상을 다소 억제시키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주 동안과 술 마신 다음날에 나타나는 숙취증상에 대한 설문조사에서는 각 문항에서 민들레즙 보충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들로 미루어 볼 때 민들레즙 보충이 알코올 섭취 후 HDL-C 농도를 증가시켰고 ALDH 활성을 향상시켜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감소시키며 GSH-red와 catalase 활성을 증가시켜 체내에서 알코올에 의한 산화과정이나 지질과산화 생성을 다소 억제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민들레에 포함되어 있는 유효 물질이 숙취해소와 간 기능 보호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되며, 따라서 민들레즙이 알코올에 의한 간 기능 보호, 숙취해소 및 항산화 효과를 가진 기능성 물질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