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id Size

검색결과 716건 처리시간 0.041초

소나무 공간분포와 지형인자간의 상관성 분석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distribution of Pinus densiflora and topographical factors)

  • 김태민;이우균;정성은;곽한빈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6권3호
    • /
    • pp.359-37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소나무의 공간분포를 추정하고, 소나무 공간분포와 출현패턴을 효과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최적의 격자크기를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최적 격자크기에서 지형인자에 따른 소나무의 출현빈도를 분석하고, 지형인자가 소나무 분포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함으로써 소나무 공간분포를 지형학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1m 격자크기의 DEM은 방위를 동, 서, 남, 북으로 세밀하게 구분하고 소나무도 모든 방위에 분포한 한 반면, 격자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주능선에 의해 방위를 동, 서, 남 또는 동, 남과 같이 단순화시켜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소나무 또한 특정 방위에 주로 분포하는 특징을 보였다. 소나무 출현빈도 분석결과 격자크기가 100m일 때 소나무 공간분포 특징을 설명할 수 있었으며, 방위, 경사, TWI가 소나무 공간분포에 미치는 영향력 비교를 통해서는 방위의 영향력이 경사의 영향력보다 크고 경사와 TWI 사이의 영향력 차이는 크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 PDF

경수로용 핵연료집합체 지지격자의 좌굴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uckling Characteristics of Spacer Grids in Pressurized Water Reactor Fuel Assembly)

  • 전상윤;이영신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통권70호
    • /
    • pp.405-41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경수로용 핵연료집합체의 전체지지격자(Full Size Grid)와 부분지지격자(Small Size Grid)에 대한 정적 좌굴강도 실험과 전체 지지격자와 부분지지격자를 구성하는 지지격자판(Grid Strap)에 대한 정적 좌굴해석을 수행하여 지지격자의 좌굴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전체지지격자와 부분지지격자에 대한 좌굴하중값의 예측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좌굴강도 실험은 웨스팅하우스형 연료의 $17{\times}17$셀을 갖는 전체지지격자와 $1{\times}1,\;1{\times}2,\;1{\times}3,\;1{\times}4,\;1{\times}5,\;1{\times}17\;,2{\times}1,\;2{\times}2,\;2{\times}3,\;2{\times}9,\;2{\times}17,\;3{\times}17$ 등의 셀을 갖는 부분지지격자에 대하여 수행하였으며,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지지격자의 좌굴강도와 지지격자의 행(rows)과 열(columns) 사이의 관계식을 제시하였다. 좌굴강도 해석은 범용 유한요소해석코드인 ANSYS를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해석결과를 이용하여 지지격자의 좌굴특성을 분석하고 실험결과와 비교평가 하였다.

A Study on the Effective Downscaling Methodology for Design of a Micro Smart Grid Simulator

  • Ko, Yun-Seok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3권4호
    • /
    • pp.1425-1437
    • /
    • 2018
  • In this paper, a methodology was proposed to reduce the electrical level and spatial size of the smart grid with distributed generations (DGs) to a scale in which the electrical phenomena and control strategies for disturbances on the smart grid could be safely and freely experimented and observed. Based on the design methodology, a micro smart grid simulator with a substation transformer capacity of 190VA, voltage level of 19V, maximum breaking current of 20A and size of $2{\times}2m^2$ was designed by reducing the substation transformer capacity of 45MVA, voltage level of 23kV and area of $2{\times}2km^2$ of the smart grid to over one thousandth, and also reducing the maximum breaking current of 12kA of the smart grid to 1/600. It was verified that the proposed design methodology and designed micro smart grid simulator were very effective by identifying how all of the fault currents are limited to within the maximum breaking current of 20A, and by confirming that the maximum error between the fault currents obtained from the fault analysis method and the simulation method is within 1.8% through the EMTP-RV simulation results to the micro smart grid simulator model.

제조공법에 따른 디스플레이 소자용 silver-grid 투명전극층의 특성 비교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f silver-grid transparent conductive electrodes for display devices according to fabrication method)

  • 최병수;최석환;류정호;조현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75-79
    • /
    • 2017
  • 고밀도 플라즈마 식각 및 lift-off 두 가지 공정으로 honeycomb 형상의 Ag-grid 투명전극층을 제작하였고 제조 공법에 따른 광학적 및 전기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플라즈마 식각 조건 선정을 위하여 Ag 박막의 $10CF_4/5Ar$ 유도결합 플라즈마 식각특성을 조사하였다. 비교적 낮은 ICP source power 또는 rf chuck power 영역에서는 power 증가에 따라 Ag 식각속도가 증가하였고, 높은 power 조건에서는 $Ar^+$ 이온 에너지 감소 또는 $Ar^+$ 이온에 의한 F radical 제거로 인해 식각속도가 감소하였다. $10CF_4/5Ar$ 플라즈마 식각 공정에 의해 제작된 Ag-grid 전극층은 lift-off 공정으로 제작된 전극층에 비해 grid 패턴 형상의 왜곡이나 단절이 없는 더 우수한 grid 패턴 전사 효율과 가시광선 영역에서 더 높은 83.3 %(pixel 크기 $30{\mu}m$/선폭 $5{\mu}m$)와 71 %(pixel 크기 $26{\mu}m$/선폭 $8{\mu}m$)의 광투과율을 각각 나타내었다. 반면에 lift-off 공정으로 제작된 Ag-grid 전극층은 플라즈마 식각 공정 시편보다 더 우수한 $2.163{\Omega}/{\square}$(pixel 크기 $26{\mu}m$/선폭 $8{\mu}m$)과 $4.932{\Omega}/{\square}$(pixel 크기 $30{\mu}m$/선폭 $5{\mu}m$)의 면저항 특성을 나타내었다.

선박 거주구역 화재시뮬레이션을 위한 격자크기와 생성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rid Size and Generation Method for Fire Simulations for Ship Accommodation Areas)

  • 김별;황광일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791-800
    • /
    • 2017
  • 선박 거주구역에 화재발생 시 화재시뮬레이션 도구를 이용하여 화재확산형상을 실시간으로 예측하고 상황에 따른 적절한 대응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면 화재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오늘날 화재시뮬레이션은 해석대상공간의 크기와 그리드 개수에 따라 해석을 하는데 있어, 매우 장시간을 필요로 하는 현실적 한계가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화재시뮬레이션 시간단축을 목적으로 선박 거주구역 화재시뮬레이션에 적용할 수 있는 격자크기와 생성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선박 거주구역에 적용되는 격자크기는 0.25[m] 이내의 값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single mesh 격자생성방법으로 수행했을 경우와 비교하여, multi mesh 격자생성방법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을 때 가시거리 값은 4.3 %, 온도 값은 8.3 % 이내에서 유사하고 해석시간은 약 80 % 감소하였기 때문에, multi mesh 방법으로 격자를 생성하는 것이 해석시간을 단축하는데 있어 매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원형 Cylinder 주위의 Vortex Shedding에 관한 수치 해석 연구 (A Numerical Study of laminar vortex-shedding past a circular cylinder)

  • 김태균;허남건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00년도 춘계 학술대회논문집
    • /
    • pp.33-38
    • /
    • 2000
  • A Numerical study of laminar vortex-shedding past a circular cylinder has been performed widely by many researchers. Many factors, such as numerical technique and domain size, number and shape of grid, affected predicting vortex shedding and Strouhal number.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 of convection scheme, time discretization methods and grid dependence were investigated. The present paper presents the finite volume solution of unsteady flow past circular cylinder at Re=200, 400. The Strouhal number was predicted using UDS, CDS, Hybrid, Power-law, LUDS, QUICK scheme for convection term, implicit and crank-nicolson methods for time discretization. The grid dependence was investigated using H-type mesh and O-type mesh. It also studied that the effect of mesh size of the nearest adjacent grid of circular cylinder. The effect of convection scheme is greater than the effect of time discretization on predicting Strouhal. It has been found that the predicted Strouhal number changed with mesh size and shape.

  • PDF

Roll-to-Roll UV 나노 임프린팅 리소그래피에 의한 대면적 17인치의 나노 와이어 그리드의 제작 (Fabrication of a 17inch Area Size Nano-Wire Grid using Roll-to-Roll UV Nano-Imprinting Lithography)

  • 허종욱;남수용
    • 한국인쇄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7-30
    • /
    • 2011
  • The polarizer is an important optical element used in a variety of applications. Nano-wire grid polarizers in the form of sub-wavelength metallic gratings are an attractive alternative to conventional polarizers, because they provide high extinction ratio.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fabrication of the 17inch area size nano-wire grid polarizer(NWGP) The master for NWGPs with a pitch of 200nm and the area size $730mm{\times}450mm$ were fabricated using laser interference lithography and aluminum sputtering and wet etching. And The NWGP fabrication process was using by the Roll to-Roll UV imprinting and was applied to flexible PET film. The results were a transmission of light (Tp) 46.7%, reflectance (Rs) 40.1% and Extinction ratio of above 16 for the visible light range.

분포형 유출모형을 이용한 홍수유출해석 (Flood Runoff Analysis using a Distributed Rainfall Runoff Model)

  • 조홍제;조인률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1권2호
    • /
    • pp.199-208
    • /
    • 1998
  • 유역의 지형특성에 근거를 두고 유출기여면적의 변화를 고려한 분포형 모형인 TOPMODEL을 이용하여 홍수유출해석에 대한 적용성을 연구하였다. 건설교통부에서 설치운영중인 위천대표시험유역의 소유역인 동곡 및 고로지점을 분석대상유역으로 선정하였으며, 1/25,000 지형도를 이용하여 수치고도지도를 작성하였고 지형인자분석은 지리정보 시스템 도구인 Arc/Info를 이용하였다. 두 소유역의 지형상수가 서로 비슷하였고 각 연도별 동일호우사상에 대한 모형매개변수도 서로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TOPMODEL을 이용한 홍수유출에 대한 첨두유량의 모의 결과는 관측치와 비교할 때 그 재현성이 매우 우수하였다. 격자의 크기별로 유역을 분할하고 그에 따른 첨두유량과 발생시각의 변화를 동곡소유역은 100,120,240m, 고로유역은 120,200,360m 격자로서 분석한 결과 두 유역 모두 격자 크기의 증가에 따라 첨두유량은 증가하고 발생시각은 격자의 크기와 관계없이 일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National Database, Evaluation and Assessment of Plant species based on the phytosociological Information

  • Kim, Jong-Won;Lee, Eun-Jin
    • 한국동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학회 1997년도 제18회 생물과학 심포지움 강연록
    • /
    • pp.42-57
    • /
    • 1997
  • The multicriterion matrix technique (MM-technique) was proposed for a method of monitoring and assessment about vegetation naturalness. Four criteria and 10 subcriteria were selected and two evaluation indices such as VN-value and VN-class were used. The criteria were characterized by syntaxonomical informations of hemeroby concept and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hierarchical system between criteria, and ordinal scale of VN-values. VN-values were classified into 11 ordinal levels and condensed to five VN-classes for facilitating practical use. A vegetation map of naturalness described by combination o( two indices was proposed as an alternative resolution of the DGN map. We also discuss the organization of the map content which is a matter of grid size (unit-area). In the case study, a grid size proper to show a full account of real information of actual vegetation is less 250-grid (250 $\times$ 250 $m^2$) in a medium size of city area containing relatively fragmented ecosystems. In conclusion, it was recognized that this new assessment technique was useful and vegetation assessment was accomplished with the smaller grid size in Korea.

  • PDF

Micro-Source의 계통 연계용 인덕터 크기 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termining the Size of the Interface Inductor for Grid-Connected Micro-Sources)

  • 손광명;김영섭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52-58
    • /
    • 2005
  • Micro-Grid의 개념은 CERTS(Consortium for Electric Reliability Technology Solutions)에 의해 제안된 새로운 분산 전원 망으로서 부하에 열과 수 $[KW]{\sim}1[MW]$ 사이의 전력을 함께 제공하는 Micro-Source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Micro-Source는 친환경적인 연료전지나 마이크로터빈 등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며, 전력품질 제어를 위해 전압형 인버터를 채용하고 독립적인 유무효전력 제어가 가능한 새로운 개념의 분산전원이다. Micro-Source가 효율적으로 유효전력 및 무효전력을 전력시스템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계통연계용 인덕터가 필요한데, 본 논문에서는 인덕터의 제어 범위와 각 변수의 한계를 함께 고려하고 전달 및 제어하고자 히는 유효 및 무효 전력의 범위에 의해 인덕터 용량을 결정하는 절차를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