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phic User Interface

검색결과 684건 처리시간 0.032초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 항공자력탐사 전처리 S/W, KMagLevellingTM (Aeromagnetic Pre-processing Software Based on Graphic User Interface, KMagLevellingTM)

  • 고광범;정상원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7권3호
    • /
    • pp.171-178
    • /
    • 2014
  • 항공자력탐사의 전처리(pre-processing)는 육상탐사에 비해 손품이 많이 들어가는 복잡한 과정이 더 많아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전용 처리도구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본 글에서는 항공자력자료의 전처리 전용 소프트웨어, $KMagLevelling^{TM}$을 개발하고 그 주요 기능을 간략히 소개하였다. $KMagLevelling^{TM}$은 전처리 과정을 크게 세부분으로 구분하여 구현하였다. 세부기능별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편의성과 독창성 측면에서 주목할 만한 기능으로서는 (1) 방대한 양의 항공자력자료 D/B를 비행경로 형태로 시각화하여 표현하는 기법 (2) 취합자료 중 특정 영역의 필요한 자료만의 발췌 (3) 자력자료 내의 원치 않는 부분을 선택적으로 쉽게 제거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세 가지로 요약된다.

객체지향 데이타베이스의 검색을 위한 논리적 주밍기능을 가진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Graphic User Interface with Logical Zooming Functions for Browsing of Object-Oriented Databases)

  • 최진성;박종희
    • 전자공학회논문지B
    • /
    • 제32B권1호
    • /
    • pp.1-10
    • /
    • 1995
  • A graphic user interface for effectively browsing object-oriented databases in complex applications is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rationale behind our design lies in enabling the users of various levels and needs to investigate the database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interests and desired depths. A novel idea in our design is the introduction of zooming techniques from a logical view, which vidualize the backbone abstraction concepts of the object-oriented data model. These objectives are verified by evaluating the results of its implementation.

  • PDF

사용자 선호지향 기반에 의한 GUI 아이콘 표현 유형과 조형 요소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그림 아이콘 디자인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sign of the most favorable ICONs and the formative factors in the GUI design - Focused on the design of the Graphic ICONs. -)

  • 우근도;정성환;홍정표;형성은
    • 감성과학
    • /
    • 제11권4호
    • /
    • pp.521-530
    • /
    • 2008
  •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디자인에서의 아이콘들은 시각언어로서 정보를 전달하여 사용자들의 행동을 유도할 수 있는 정보전달 매체이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아이콘을 사용하는 것은 사용자가 인지하기 쉽기 때문에 임의의 사용자에게 원하는 시각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커뮤니케이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Graphic User Interface이라는 매체의 특성에 적합한 아이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아이콘 유형인 그림 아이콘을 중심으로 하여 그림 아이콘의 각 세부적 표현 유형의 선호도에 따른 조형적 영향 요소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며 각 표현 유형에 영향을 주는 조형 요소들이 무엇인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아이콘 디자인에서 사용자 선호 지향적 디자인 방향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며 디자인을 할 때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도록 하였다.

  • PDF

OOP 개념에 기초한 유동해석용 전처리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 Pre-Processing Program for Flow Analysis Based on the Object-Oriented Programming Concept)

  • 명현국;안종기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2권1호
    • /
    • pp.70-77
    • /
    • 2008
  • A pre-processing program based on the OOP(object-oriented programming) concept has been developed. The program consists of the input of a 2D or 3D flow problem to a CFD program by means of an user-friendly interface and the subsequent transformation of this input into a form suitable for the solver(PowerCFD) using unstructured cell-centered method. User-friendly GUI(graphic user interface) has been built on the base of MFC(Microsoft Foundation Class). The program is organized as modules by classes based on VTK(Visualization ToolKit)-library, and these classes are made to function through inheritance and cooperation which is an important and valuable concept of object-oriented programming. The major functions of this program are introduced and demonstrated, which include mesh generation, boundary settings, solver settings, generation of grid connectivity and geometric data etc.

영산강 하구둑 실시간 홍수예보 및 관리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Real-Time Forecasting and Management System for the Youngsan Estuary Dam)

  • 강민구;박승우;허용구;박창언;강문성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2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285-288
    • /
    • 2002
  • For real-time flood forecasting and effective control flood at the Youngsan estuary dam, the Flood Forecasting and Control User Interface System II (FFCUS II) has been developed. This paper describes the features and application of FFCUS II. FFCUS II is composed of the database management subsystem, the model subsystem, and the graphic user interface. The database management subsyem collects rainfall data and stream flow data, updates, processes, and searches the data. The model subsystem predicts the inflow hydrograph, the tide, forecasts flood hydrograph, and simulates the release rate from the sluice gates. The graphic user interface subsystem aids the user's decision-making process by displaying the operation results of the database management subsystem and model subsystem.

  • PDF

소프트웨어개발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협동작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llaboration of User Interface Design for Software Developments)

  • 김소영
    • 디자인학연구
    • /
    • 제12권1호
    • /
    • pp.15-24
    • /
    • 1999
  • 컴퓨터 관련 기술의 발전은 사람들의 사고와 생활방식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제품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물론 개발자들도 디자인의 중요성에 대하여 인식해 가고 있으며, 윈도우즈 환경에서 비롯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의 시작은, 디자이너들로 하여금 시각요소의 사용을 자유롭게 만들고 있다. 이에, 소프트웨어 개발과 관련된 업무에 종사하는 인력들은 소프트웨어의 정확한 기능의 수행과 더불어, 사용자에게 친근감을 줄 수 있는 그래픽과 사용 성을 고려한 인터페이스디자인의 개발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프로그램 개발자가 독자적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경우보다, 각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팀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은 소프트웨어 개발에 대한 업무이해가 부족한 상태에서 진행되었고, 개발자들의 프로세스를 염두에 두지 않고 개별적인 디자인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이 때문에, 진정한 의미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이 이루어지기 힘들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이란, 소프트웨어 개발의 마지막 단계에서 적용하는 외형적인 장식으로 인식되는 경우도 빈번히 있어왔다. 이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개념과 역사적 고찰을 통하여, 학문적 위치를 확인하고, 개발자의 측면에서 소프트웨어 개발 업무내용과 프로세스를 분석하여, 팀 작업을 효율적으로 진행시키기 위한 디자이너의 역할과 업무 영역 정의, 그리고, 팀에서의 상호 협조적인 프로젝트 진행을 위한 인터페이스 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안하고 있다.

  • PDF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MVP기반의 XML 언어 (An MVP-based XML Language for User Interfaces)

  • 최종명;신경희;유재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9권12호
    • /
    • pp.947-956
    • /
    • 2002
  • XML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은 플랫폼과 프로그래밍 언어에 독립적이며, 사용자가 배우기 쉽고, 사용하기 쉬운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XML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언어들은 정형화된 모델을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내부 로직의 결합 및 이벤트 처리 부분이 미약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MVP(Model-View-Presenter) 모델을 확장한 EMVP (Extended MVP)를 제시하고, EMVP를 기반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발할 수 있는 새로운 XML 응용프로그램인 XUIML을 소개한다. XUIML은 EMVP를 기반으로 인터페이스 형태, 이벤트 처리, 데이타 흐름, 인터페이스와 내부 로직의 결합을 기술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XUIML 시스템은 텍스트 편집기와 그래픽 편집기 및 XUIML을 자바와 C# 코드로 변환할 수 있는 변환기를 제공한다. 한편, XUIML의 그래픽 편집기는 직접 조작 방식을 지원하기 때문에 GUI 디자인 도구와 같은 높은 생산성을 얻을 수 있다.

User Created Contents 기반 서비스 로봇 제어의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ervice Robot Control based on User Created Contents)

  • 나승권;최석임;편용국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311-317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서비스 로봇 제어 시스템의 복잡한 소프트웨어 개발을 손쉽게 하기 위한 서비스 로봇 콘텐츠 개발 방법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User created contents 기반 로봇 제어 시스템은 로봇 구동 제어회로, 센서 데이터 처리, 상태 표시, 모니터링 시스템 등을 모듈화 하여 사용자 입장에서 서비스 로봇 운용 화면을 구성하고 서비스 로봇을 운용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써 텍스트 기반에서 서비스 로봇 제어 콘텐츠를 자유롭게 운용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사용자는 개발된 User created contents 를 이용하여 위치 변경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로봇 운영 제어 GUI (graphic user interface) 도 변경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결과적으로, 서비스 로봇 운용자가 사용자 입장에서 편리하게 서비스 로봇 콘텐츠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여 서비스 로봇의 개발을 활성화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인공지능 기반의 TensorFlow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Development of Graphic User Interface for TensorFlow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 송상근;강성홍;최연희;심은경;이정욱;박종호;정영인;최병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5호
    • /
    • pp.221-229
    • /
    • 2018
  • 기계 학습 및 인공지능은 제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이다. 하지만 프로그래밍 능력을 요구하는 기계 학습 플랫폼의 특성 상 일반 사용자들의 접근이 힘들기 때문에 인공지능이나 기계학습의 대중화는 제한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도입하여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일반인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기본 기계 학습 플랫폼으로는 Tensorflow를 채택하였고 GUI는 마이크로 소프트 사의 .Net 환경을 활용하여 작성하였다.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면 일반 사용자도 파이썬 프로그래밍에 대한 부담없이 직관적으로 데이터를 관리하고,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기계 학습을 실행할 수 있다. 우리는 이 개발이 다양한 분야에서의 인공지능 개발에 기초가 되는 자료로 활용되었으면 한다.

게임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의 미니멀리즘(Minimalism)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inimalism on GUI in Game)

  • 김윤경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1호
    • /
    • pp.249-266
    • /
    • 2013
  • 본 논문은 컴퓨터 게임에서 보여지는 게임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미니멀리즘 사례를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게임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미니멀 경향을 분석하기 위해 분석대상으로 삼은 컴퓨터 게임들은 페르시아의 왕자, 미러스 엣지, 스플린터 셀, 기어즈 오브 워, 콜 오브 듀티4, 메트로 2033, 크라이시스2이며 위의 게임들은 미니멀리즘의 특성을 활용한 독특한 형태로 게임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1960년대 시각예술 분야에서 출현하여 예술전반에 다양한 영향을 끼치며 발전한 미니멀리즘은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며 다양한 스타일로 표현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니멀리즘을 통해 게임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나타나는 최소화 현상을 바탕으로 미니멀리즘의 대표적 표현경향인 '단순성'과 '최소성'을 중심으로 게임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 나타나는 미니멀리즘의 영향력을 고찰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