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ft copolymer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23초

Silicone 변성 말레화 PE/HDPE/CNT Composite의 제조와 PTC 특성 (Preparation and PTC Characteristics of Silicone Modified Maleated PE/HDPE/CNT)

  • 강두환;박승우
    • 공업화학
    • /
    • 제22권1호
    • /
    • pp.109-113
    • /
    • 2011
  • ${\alpha},{\omega}$-Hydroxypropylpoly(dimethylsiloxane)은 ${\alpha},{\omega}$-hydrogenpolydimethylsiloxane을 allyl alcohol과 반응시켜 제조하였으며 이를 말레화 PE에 그라프트 시켜 MPE-g-PDMS 공중합체(MPES)를 제조하였다. MPES와 HDPE 및 4-ethoxybenzoic acid로 표면처리 된 MWCNT를 internal mixer에 가하고 $180^{\circ}C$에서 compounding하여 MPES/HDPE/EtO-CNT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열적특성을 측정한 결과 표면처리 된 CNT의 함량을 10에서 20 wt%로 증가시켜 제조한 MPES/CNT 복합체의 $T_m$은 132에서 $131^{\circ}C$로 약간 감소되었고 MPES/EtO-CNT 복합체의 경우 EtO-CNT의 함량을 10에서 20 wt%로 증가시킴에 따라 130에서 $129^{\circ}C$으로 약간 감소되었다. 또한 EtO-CNT를 사용하여 제조한 복합체의 경우 $120^{\circ}C$에서 전기저항이 급격하게 증가되어 PTC 현상이 나타났으며 또한 EtO-CNT의 함량을 10 wt%로 하여 제조한 복합체의 PTC intensity가 1.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광촉매 반응기용 세라믹 막에의 TiO2 층 형성과 성능평가 (In-situ TiO2 Formation and Performance on Ceramic Membranes in Photocatalytic Membrane Reactor)

  • 리즈완 아마드;김진규;김종학;김정환
    • 멤브레인
    • /
    • 제27권4호
    • /
    • pp.328-335
    • /
    • 2017
  • 메조포러스 공극구조를 갖는 광촉매 멤브레인은 다양한 환경기술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TiO_2$ 층을 형성시킨 광촉매 반응기용 세라믹 멤브레인을 개발하고 이를 염색용액 처리에 적용하였다. 높은 공극률과 균질성을 지닌 $TiO_2$ 광촉매층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멤브레인은 광촉매 반응기와 멤브레인 여과를 결합시킨 하이브리드 광촉매 반응기에 성공적으로 적용하였다. 실험결과 정렬된 구조의 $TiO_2$ 층이 $Al_2O_3$ 지지체에 형성되었다. $TiO_2$ 층 형성 후 제조된 세라믹 분리막의 순수 투과도는 형성된 광촉매 층 저항으로 감소하였다. 정렬된 구조의 $TiO_2$ 층은 UV 결합 시 5시간 안에 완벽한 염색용액 분해를 달성시킬 수 있었다. 광촉매 멤브레인의 염색용액 분해는 Langmuir-Hinshelwood 흡착 모델로 잘 설명할 수 있었다. 또한 $TiO_2$ 층이 고정화된 세라믹 멤브레인의 model Congo Red에 대한 1차 속도상수는 $Al_2O_3$ 지지체 단독인 경우에 비해 약 6배 정도 큰 값을 나타내었다(0.0081 vs. $0.0013min^{-1}$).

입자 크기 측정을 통한 생분해성 나노입자의 시간에 따른 분산 안정성 평가 (Evaluation of the Stability of Biodegradable Nanoparticle with Time via Particle Size Measurement)

  • 조국영;임진형;박정기;이기석
    • 폴리머
    • /
    • 제32권3호
    • /
    • pp.246-25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분해성 고분자의 종류와 제조조건에 따른 나노입자의 분산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광산란 입도 분석기를 이용하여 입자 크기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생분해성 고분자인 폴리(D,L-락타이드-co-글리콜라이드) 단독과 폴리(L-락타이드)와의 블렌드, 그리고 폴리(L-락타이em)-g-폴리(에틸렌 글리콜)과의 블렌드, 세 종류를 개선된 자발적 에멀션/용매 확산 방법을 이용하여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제조조건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서는 나노입자의 제조시에 대표적인 분산 안정제인 폴리(비닐 알코올)(PVA)의 사용 유무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시간이 진행함에 따라 분산 안정제가 적용되지 않은 경우에서는 나노입자의 분해와 분해를 통해 붕괴된 입자의 응집에 의하여 입자의 크기가 bimodal 분포를 나타내었다. 나노입자가 분산된 수용액에 단백질 용액을 투입한 경우에는 분산 안정제인 PVA의 사용 유무에 의해 극명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PVA가 분산 안정성에 크게 기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낮은 분자량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이 그래프트 고분자를 미량 블렌드함에 따라 입자의 단백질 흡착에 대한 분산 안정성은 침전이 일어나지 않고 1일 정도 분산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부터 일부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폴리(에틸렌 글리콜)이 결합된 Polysuccinimide의 합성과 특성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oly(ethylene glycol) Grafted Polysuccinimide)

  • 임낙현;이하영;김문석;강길선;이해방;조선행
    • 폴리머
    • /
    • 제29권1호
    • /
    • pp.36-40
    • /
    • 2005
  • 폴리(아미노산)유도체는 약물전달시스템의 약물전달체로 많이 연구되고 있으며 그 중 Polysuccinimide(PSI)는 생체적합성과 생분해성 등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약물전달체로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 고분자이다. 축합중합을 이용하여 아스파르트산이 고리를 형성함으로써 PSI를 중합하였다. 이 때 PSI의 중합 최적조건을 관찰하기 위하여 시간과 촉매함량의 변화에 따른 평균분자량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또한 친수성과 소수성으로 이루어진 고분자 미셀을 제조하기 위하여 친수성 사슬인 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MPEG)을 결합시켰다. 합성한 고분자는 1H-NMR, FT-IR 및 GPC를 통하여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ELS와 AFM을 통해 미셀의 형성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였다. 미셀의 평균크기는 90~130 nm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PSI를 주사슬로 하는 가지 공중합체가 미셀 형태의 약물전달용 전달체로서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노입자가 포함된 촉진수송 분리막에서의 메조기공 티타늄산화물의 영향 (Effect of Mesoporous TiO2 in Facilitated Olefin Transport Membranes Containing Ag Nanoparticles)

  • 김상진;정정표;김동준;김종학
    • 멤브레인
    • /
    • 제25권5호
    • /
    • pp.398-405
    • /
    • 2015
  • 용액-확산 메커니즘에 의해 결정되는 기존의 고분자에서와는 달리, 촉진수송은 투과도와 선택도를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은 나노입자, 폴리비닐피롤리돈, 7,7,8,8-테트라시야노퀴노디메탄으로 구성된 촉진수송 올레핀 분리막에 있어서, 메조기공 티타늄산화물($m-TiO_2$)에 대한 영향을 연구하였다. 특히 메조기공 티타늄산화물은 폴리비닐클로라이드-g-폴리옥시에틸렌 메타크릴레이트 가지형 공중합체를 템플레이트로 하여 쉽고 대량 생산이 가능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엑스레이 회절분석에 따르면, 제조된 메조기공 티타늄산화물은 아나타제와 루타일 상의 혼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결정의 크기가 약 16 nm 정도 되었다. 메조기공 티타늄산화물을 첨가하였을 때, 분리막의 확산도가 증가하여 혼합기체 투과도가 1.6에서 16 GPU로 증가하였고 선택도는 45에서 37로 약간 감소하였다. 메조기공 티타늄산화물이 첨가되지 않은 분리막은 장시간 성능이 유지되었으나, 메조기공 티타늄산화물이 첨가된 분리막의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투과도와 선택도가 감소하였다. 이는 티타늄산화물과 은 사이의 화학적 상호작용으로 은 나노입자의 올레핀 운반체로써의 활성을 감소시키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성견 1면 골 결손부에서 Polylactic/polyglycolic acid copolymer (PLA/PGA) 흡수성 차단막의 치주 조직 재생에 대한 연구 (The effects of polylactic/polyglycolic copolymer (PLA/PGA) membrane on the healing of 1-wall intrabony defects in beagle dogs)

  • 김성구;황성준;김민경;김창성;이덕연;이용근;조규성;채중규;김종관;최성호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3권4호
    • /
    • pp.599-613
    • /
    • 2003
  • The goal of periodontal treatment is regeneration of the periodontium. Bone graft and absorbable PLA/PGA membrane have been used for this purpose. In this study, 4${\times}$4mm 1-wall intrabony defects were surgically created bilaterally in the mandible of five male beagles. The control group went through a conventional flap operation, while the experimental group I was treated with absorbable PLA/PGA membranes only, group II was treated with absorbable membrane and calcium phosphate. The results are the following : 1. The defect height was 4.82${\pm}$0.45mm in the control group, 4.93${\pm}$0.79mm in the experimental I group, and 4.92${\pm}$0.62mm in the experimental II group.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3 groups(P <0.05). 2. The amount of junctional epithelium migration was 30.90${\pm}$9.92% of the defect height in the control group, 39.16${\pm}$7.51% in the experimental I group, and 38.68${\pm}$12.22% in the experimental II group.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3 groups(P <0.05). 3. The amount of connective tissue adhesion was 36.38${\pm}$9.03% in the control group, 14.73${\pm}$3.93% in experimental I group, and 27.87${\pm}$9.70% experimental II group. Experimental group I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control group(P <0.05). 4. The amount of new cementum regeneration was 32.92${\pm}$10.51%, 50.04${\pm}$7.61%, and 39.62${\pm}$12.14% for the control, experimental I, and experimental II group respectively. Experimental group I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control group(P<0.05). 5. The amount of new alveolar bone regeneration was 27.24${\pm}$7.49%, 40.75${\pm}$8.03%, and 36.47${\pm}$15.11% for the control, experimental I, and experimental II group respectively. Experimental group I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control group(P <0.05).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use of PLA/PGA membrane in 1-wall intrabony defect of beagle dogs may promote periodontal regeneration.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determine their regeneration eff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