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검색결과 6,415건 처리시간 0.035초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코호트 구축과 운영 사례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Cohort Data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정은경;한의령
    • 의학교육논단
    • /
    • 제25권2호
    • /
    • pp.126-131
    • /
    • 2023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collect data for evaluating short- and long-term outcomes using Kirkpatrick's four-level evaluation model, Chonnam National Medical School has established plans for developing and managing a database of student and graduate cohorts. The Education Evaluation Committee, with assistance from the Medical Education Office, manages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cohort data. Data collection began in the 2022 academic year with first- through fourth-year medical students and graduates of the year 2022. The collected data includ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dmission information, psychological test results, academic performance data, extracurricular activity data, scholarship records, national medical licensing exam results, and post-graduation career paths. The Education Evaluation Committee and the Medical Education Office analyze the annually updated student and graduate cohort data and report the results to the dean and relevant committees. These results are used for admissions processes, curriculum improvement, and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Applicants interested in using the student and graduate cohort data to evaluate the curriculum or conduct academic research must undergo review by the Educational Evaluation Committee before being granted access to the data. It is expected that the collected data from student and graduate cohorts will provide a sound and scientific basis for evaluating short- and long-term achievements based on student, school, and other characteristics, thereby supporting medical education policies, innovation, and implementation.

평생교육을 위한 온라인 대학원 발전방안 제안 (A Proposal for the Development of Online Graduate School for Lifelong Education)

  • 권아름;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3호
    • /
    • pp.415-422
    • /
    • 2022
  • 본 연구는 4차산업혁명과 글로벌 팬데믹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대학에도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한 현 상황을 배경으로 이에 따른 평생교육으로서의 온라인 대학원 신설을 위한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학자와 전문가들의 미래 교육에 대한 시사점과 의견을 종합하고 이를 활용한 해외 대학의 사례들을 분석하여 온라인 대학원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온라인 대학원은 평생교육으로서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는 장이 되어 다양성이 필요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 마이크로 크레디트(Micro Credit) 학사 운영 방식을 활용한다. 또한, 다양하고 융합 전공 프로그램에 상응하고 이를 더 발전시킬 수 있도록 문제해결 중심의 교수 방법으로 학생들의 융합적 문제해결 능력과 더불어 능동적인 학습과 학생 간, 교수 간 상호작용을 높이도록 한다. 추후 온라인 대학원의 더 세부적인 교과과정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를 토대로 온라인 대학원 교육 발전 연구에 기여하길 바란다.

방사선사의 보수교육에 관한 연구 : 보수교육 현황 및 만족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tinuing Education of Radiologic Technologists : Focused on Current Status and Satisfaction of Continuing Education)

  • 민혜림;최인석;남소라;김현지;윤용수;허재;한성규;김정민;안덕선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7권2호
    • /
    • pp.75-84
    • /
    • 2014
  • 본 연구는 방사선사 보수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전반적인 평가와 개선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보수교육에 참가한 방사선사 93명을 대상으로 보수교육 실태와 만족도 및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설문은 크게 보수교육 참여도, 만족도, 요구도로 나누어 조사를 하였다. 또한 방사선사 보수교육 규정 등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보수교육 이수현황 및 관리체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10년부터 2012년 까지 방사선사의 보수교육 이수율은 각각 42.6%, 43.4 %, 34.2%로 의료기사의 평균 이수율과 비슷한 비율을 보였다. 보수교육에 대한 참여도는 연간 5회 이상 10회 미만의 경우가 48.4%로 가장 많았고, 만족도는 보통(3)이 34.4%로 가장 많았다. 보수교육 요구도에 대해 조사한 결과 전공분야의 임상기술에 대한 교육을 원한다는 응답이 32.8%로 가장 많았다. 보수교육은 형식적인 교육 이수가 아닌 방사선사의 실력향상 및 자기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향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또한 방사선사의 요구도에 따라 보수교육의 질적 향상과 만족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졸업 후 의학교육제도의 역사성 고찰 (Taking into Account the History of Korean Graduate Medical Education)

  • 이무상
    • 의학교육논단
    • /
    • 제15권2호
    • /
    • pp.61-68
    • /
    • 2013
  •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the Korean Peninsula, Chosun (ethnic Korean) physicians were trained in vocational clinical schools, but Japanese physicians in medical school. Therefore, the Japanese government treated the Japanese physicians as medical doctors but Chosun physicians as dealers or traders in clinical services. This colonial discriminatory policy became a habitual concept to Korean physicians. Because of these traditional concepts regarding physicians, after the colonial period, the newly established Korean government also had the same concept of physicians. Therefore, in 1952, the Korean graduate medical education system was launched under a government clearance system with the claim of supporting medical specialties as clinical dealers or clinical businesspeople. During the last 60 years, this inappropriate customary concept and the unsuitable system have evolved into medical residency training education, and then into graduate medical education. Today graduate medical education has become inextricably linked to postdoctoral work in Korean hospitals.

창업교육프로그램의 현황 및 개선방안 - 창업대학원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 (The Present Conditions and Improvemen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 Focused on Educational Course In Graduate School of Entrepreneurship -)

  • 정종서;민경세
    • 벤처창업연구
    • /
    • 제3권2호
    • /
    • pp.1-29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창업교육프로그램의 모델을 도출하여 창업대학원의 사례에 적용시켜 개선방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먼저 국내학자들이 창업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외학자들의 창업교육에 대한 관점을 이론적 배경으로 하였으며, 미국의 창업교육대학원과 일본의 창업교육대학원의 교육프로그램을 분석하여 새로운 창업교육프로그램의 모델을 도출하였다. 창업교육프로그램의 모델은 창업교육의 이론적 범위, 교육체계 및 실천적 모델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창업대학원의 사례에 적용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육기관의 교육목적 및 교육대상에 따라 세부교과목은 변경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창업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에 대한 지침을 제공해 줄 수 있으며, 특정 목적에 합당하게 체계화된 교육의 교과과정을 개발하는데 적용시킬 수 있는 통찰력을 제공해 줄 수 있다.

  • PDF

지식정보사회를 위한 초등교사들의 컴퓨터교육 인식 연구 (A Stud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of Computer Curriculum)

  • 김해영;한석관;이철환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4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3-11
    • /
    • 2004
  • 본 연구는 변화하는 시대에 맞는 교육과정 개편에서 초등학교 컴퓨터 교육이 교과로서 이루어져야 할 것인가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의견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설문을 통해 조사해 본 결과 초등학교 교사들은 학생들이 미래사회에 잘 적응하기 위한 능력을 기르는데 초등학교에서 컴퓨터 교육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이에 따라 컴퓨터 교과를 독립적으로 또는 재량활동의 형태로서 학생들에게 가르쳐야 한다고 보았다. 그러나 컴퓨터 교과가 독립교과로서 자리를 잡기 위해서는 너무 많은 과목으로 구성되어 있는 현재의 교육과정이 축소되어야 하며, 컴퓨터 교과서를 국가적으로 개발하고 보급하여 현장에 투입되는 노력을 보여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컴퓨터 교과는 그 내용의 특수성 때문에 담임교사들이 지도하기를 꺼려하였고, 컴퓨터 전담 교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 PDF

1990년대 이후 의학교육제도 개선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Medical Education System in Korea Since 1999)

  • 이무상
    • 의학교육논단
    • /
    • 제14권1호
    • /
    • pp.37-49
    • /
    • 2012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rovement and discourse of the medical education system in Korea since 1990.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ing on the graduate medical education system initiated in 2002, has explored the discussions that led to the system's establishment and what the context of those discussions. To meet this objective, this study analyzed research report related to the medical education system authored by members of the government and medical community, suggestions to the government, discussion materials, and data with regard to the Medical (Dental) Education Eligibility Test. The improvement of the medical education system in Korea has been an important issue in education reform by the expansion of the number of years of higher education, the requirements for increased levels of professional knowledge by improving public educational standards, and the basic formation policy of higher education consisting of graduate school, special graduate school, and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Nevertheless, the views of the government and the medical community on improving medical education system have made an obvious difference. This was due to different aims about how to improve the medical education system and different perception of the degree and medical education system. The medical community at least tended to prefer the status of academic positions over professional positions. The policy of medical education for people with a bachelor's degree which was introduced in 2002 spread to many colleges of medicine based on the government'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policy. Even so, the absence of accompanying policy by the relevant government agencies and department of education, which could have ensured the success of the system, has led to continued debate. In conclusion, without a consistent and persistent government policy, the graduate medical education system has led to confusion in many medical institutions. Above all, an evidence-based policy decision and policy approach based on a long-term perspective are necessary in order to improve the medical education system.

한문화 인식 증진을 위한 기술.가정 의생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 전통 의생활 문화 콘텐츠를 중심으로 -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clmology.Home Economics Teaching-Learning Lesson Plan on Clothing lifestyle to raise awareness of Han Style(Korean Culture))

  • 김남은;이현정;한주;김순주;민은혜;최미선;곽선정;이혜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9-36
    • /
    • 2011
  •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한문화 인식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한문화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정도를 알아보고, 한문화와 관련된 전통 의생활 문화 콘텐츠 별로 교수학습과정안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한문화를 대표하는 한글, 한식, 한복, 한지, 한옥 5개 분야를 선정하고 7차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교과서 6종에 제시된 의식주 생활문화 영역의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7가지 전통 의생활 문화 콘텐츠를 선정하였다. 선정한 전통문화 콘텐츠에 대하여 14차시 분량의 교수학습 과정안 및 21 종(교사자료9, 학생자료9, 수업자료3)의 수업 자료를 개발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하였다. 한문화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조사결과 한문화 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도는 사전 검사 평균에 비해 사후 검사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은 한문화 인식 증진을 위한 수업에 직접 체험해보는 활동을 통해 한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높이고 흥미와 관심을 유발 시킬 수 있는 수업이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한문화와 관련하여 더욱 다양한 한문화 관련 주제가 개발되어야하며 한문화에 대한 체험활동뿐만 아니라, 정체성에 대한 이론 수업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언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