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od Instruction

검색결과 207건 처리시간 0.022초

'좋은 수업'의 의미에 대한 비판적 검토 (A Critical Analysis of the Meaning of 'Good Instruction')

  • 김재춘;변효종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7권3호
    • /
    • pp.373-382
    • /
    • 2005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ritically the meaning of 'good instruction'. In this article, the researchers emphasized the activities of teaching and learning as two essential elements of good instruction. The antecedent studies on good instruction have limitations in that they regarded good instruction as an instrument rather than valuable activity itself. This study consisted of three parts. Firstly, the researchers tried to clarify the meaning of good instruction underlying antecedent studies on instruction. Secondly, the researchers tried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good insturction suggested by antecedent studies. Thirdly, the researchers attempted to define a new meaning of good instruction. A new meaning of good instruction should be defined in accordance with characteristics of three commonplaces composing instruction such as teaching activity, learning activity and good interactions between teacher and learner. Good instruction can be defined as followings. Good instruction means an instructional activity which can change the student's meanings of experience as a result of interactions among teacher, learner, and educational materials.

다면적 접근을 통한 대학의 좋은 수업 특성 분석 (Analysis of Good College Teaching Characteristics by multi-faceted approach)

  • 윤소정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4권6호
    • /
    • pp.963-976
    • /
    • 2012
  • As the college environment changes, the roles of professors and students should also be changed. And the way that we teach undergraduate students should also be chang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sis characteristics of good teaching methods in college as perceived by students and professors. We did content analysis to elicit the characteristics of good instruction from qualitative comments of 196 course evaluations, 195 excellent essays selected from 8 college essay competitions, and 72 teaching knowhow essays of professors. To see the difference of division in good instruction characteristics, we did frequency analysis by SPSS statistics program. According to the content analysis, the most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good instruction as perceived by the students and professors is teaching strategies. There were also differences in the fact of recognition transition by division and the students-professors.

예비 초등 교사의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인식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ception on Good Mathematics Instruction)

  • 방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1권2호
    • /
    • pp.145-160
    • /
    • 2012
  • Prospective teachers need to have an opportunity to critically examine their initial perception with regard to effective mathematics instruction during the teacher education period. This study analyzed the perception in relation to good mathematics instruction by a total of 265 prospective teachers from four institutes for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using a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regarded learne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selection of content, and construction of curriculum as important for high-quality mathematics instruction. However, they revealed relatively low levels of agreement against the importance of instructional materials, classroom environment and atmosphere, and assessment. On the basis of teachers' perception on each element of effective mathematics instruction, this paper raises issues for discussion and includes some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측정 영역의 핵심 교수.학습 요소에 의한 좋은 수학 수업 분석 (An Analysis of Good Mathematics Instruction by Key Instructional Elements of Measurement)

  • 방정숙;김정원;김혜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5권2호
    • /
    • pp.77-89
    • /
    • 2012
  • 좋은 수학 수업을 이루는 많은 요소들은 여러 내용 영역에 걸쳐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일 수 있지만, 각 내용 영역의 특징을 반영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측정 영역에 초점을 맞추어 이 영역에서 다루어져야 할 핵심 교수 학습 요소를 추출하고, 초등 우수 수업으로 인정받은 수업 중 동일한 학습 주제 및 유사한 수업 흐름을 가진 수업을 2편씩 2세트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측정 수업 분석틀에 의해 각 수업을 비교 분석한 결과 의미 있게 다른 측면이 일관되게 부각되었다. 본 연구는 측정 영역에서 좋은 수업의 구체적인 양상을 살펴볼 기회를 제공하며,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연구가 수학의 내용 영역별 특성을 반영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안한다.

고등학교와 대학교의 좋은 수업에 대한 관점 분석 -예비유아교사 및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The analysis of teaching perspective on good teaching for high school and higher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and teachers majo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고은현;박혜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182-188
    • /
    • 2017
  • 이 연구는 수업이 지향해야 하는 가치에 대한 인식을 탐구하여 선행연구에서 밝혀왔던 좋은 수업의 세부 요소 및 특성들과 더불어 좋은 수업의 가치를 지향할 수 있는 수업의 우세 가치 유형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에 위치한 대학 유아교육과 재학생 및 졸업생을 대상으로 좋은 수업에 대한 포괄적인 인식과 관점을 객관적으로 지표화한 TPI를 활용하여, 예비 및 현직교사가 인식하는 좋은 수업에 대한 우세 가치 유형을 교차분석 및 일원분산분석과 사후검증(Tukey의 HSD)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고등학교 수업의 우세가치는 학교유형과 관계없이 "양육" 관점으로, 대학교 수업은 "도제"관점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 수업에 관한 연구결과는 "양육"이 우세 관점으로 나타났으며, 국내외 연구 결과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대학 수업의 경우 영미권에서는 도제 관점을 우세하게 인식하고 있으나 국내 연구에서는 도제 관점이 우세하여 드러나 차이를 보였다. 또한 현직 유아교사가 실습경험 없는 예비교사보다 "도제" 관점을 우세하게 인식하였다. 국내외 연구와 본 연구 결과를 비교 고찰하여 좋은 수업의 가치를 논의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학교급과 전공을 세분화하여 예비교사 및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한 분석이 요구된다.

간호사와 간호대학생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 (Nurses and Nursing Students' Recognition of Good Instruction)

  • 박민아;신수진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101-115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assess from nursing students and nurses in the clinical field what constitute good instruction, through the review of nursing students' opinions and clinical field demands. Methods: The study design was used Creswell's exploratory sequential design by collecting and analyzing qualitative data obtained from interviews and then analysis of quantitative data. The participations were 79 seniors in nursing schools and 85 nurses with less than three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and analyzed based on Elo and Kyngas's content analysis method. The quantitativ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ased on qualitative results and analyzed by SPSS 23.0 program and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IPA).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IPA extracted seven items with high importance but low satisfaction: "nursing fads and trends," "teacher-learner communication and reflection," "materials used in clinical settings such as monitoring results and test results," "special presentations by experienced practitioners," "instruction assures learners' comprehension," "accurate and detailed evaluation standards" and "feedback on homework and exam." Conclusion: The factors comprising good instruction were verified, and the necessity for additional efforts to improve high importance and low performance factors was noted. Therefore, this study can serve as a guide for nursing education facilities and educators in developing of a thorough education system with excellent instruction designed to achieve an ideal nursing education.

'좋은 수업'에 대한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 지양해야 할 수업 형태와 관련하여 - (A Study on Perception of Good Instruction between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 엄미리;김명랑;박인우;장선영
    • 한국교육학연구
    • /
    • 제15권1호
    • /
    • pp.107-132
    • /
    • 2009
  • 좋은 수업이란 무엇인가? '좋은' 이라는 용어가 갖는 상대성, 복합성, 상황성 등으로 인해 좋은 수업에 대해 정의하기란 쉽지 않을 것이다. '수업'은 학교교육의 핵심적인 활동이며 '좋은' 학교 만들기의 전제이자, 학교교육 개혁의 출발점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좋은 수업'의 반대급부로 '지양해야 할 수업 형태'에 대한 개방형 질문지를 바탕으로 현직교사 150명, 교사와 학생의 중간 입장에 있는 예비교사 160명의 인식 차이를 통해 좋은 수업의 의미를 도출해 보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Nvivo 8.0을 사용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직교사가 인식하는 '지양해야 할 수업 형태'는 단일수업기법적용, 지시적 수업, 비체계적인 수업진행, 교수역량부족, 성적 및 경쟁 중시 수업, 상호작용 부족, 학생수준 비고려, 비인격적 행위, 환경 열악 및 지원 부족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교사가 인식하는 '지양해야 할 수업 형태'는 단일수업기법적용, 비체계적인 수업진행, 교수역량부족, 지시적 수업, 비인격적 행위, 성적 및 경쟁 중시 수업, 학생수준 비고려, 상호작용 부족, 환경 열악 및 지원 부족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양해야 할 수업 형태'에 대해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통합 빈도 순위는 단일수업기법적용, 비체계적인 수업진행, 지시적 수업, 교수역량부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현직교사에게는 자신의 수업 전문성을 되짚어보고 학생에 대해 그리고 수업에 대한 태도를 반추해 보는 준거로, 예비교사는 앞으로 체계적인 수업을 설계하고 좋은 수업을 이끌어갈 수 있는 실제적인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초등 예비교사의 좋은 수업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Good Instruction)

  • 조미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435-446
    • /
    • 2020
  • 본 연구는 좋은 수업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들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고,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에서 개선해야 할 방안들을 모색하였다. C대학교에 재학 중인 4학년 예비교사 15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문항은 좋은 수업의 주요 영역 4가지와 각 영역별 주요 요소들로 구성되었으며, 각 요소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를 5점 척도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를 분석하고자 t검정을 실시한 결과, 24가지 모든 요소들에 대해 중요도와 실행도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중요도-실행도 분석을 한 결과, 우선적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노력을 집중해야 할 요소가 3가지, 좋은 성과를 보이기에 유지해야 할 요소가 9가지, 우선순위를 낮게 두어야 할 요소가 9가지 그리고 과잉 노력을 지양해야 할 요소가 3가지인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초등 예비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운영하는데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제안하였다.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조사 (Good Mathematics Instruction: Hearing Teachers' Voices)

  • 권미선;방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231-25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4개의 대영역(교육과정과 교육내용, 교수 학습, 교실환경 및 수업 분위기, 평가)과 하위 48개 요소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초등 교사 223명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 교사들은 학생들의 개인차를 고려하는 수업, 개념에 초점을 두는 수업 등을 좋은 수학 수업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공학을 사용하는 수업, 좋은 학습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수업 등에 대해서는 낮은 인식을 드러냈다. 좋은 수학 수업의 구현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교사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PDF

CAI를 위한 저작 시스템의 설계 (A Design of Authoring System for CAI)

  • 고대곤;박상희
    • 대한전기학회논문지
    • /
    • 제39권8호
    • /
    • pp.875-887
    • /
    • 1990
  • It is hard to keep good quality of coursewares for Computer-Assisted Instruction (CAI), since most CAI coursewares have been developed by programmers rather than by instruction designers. Also, there is no trasplantations among authoring system. This paper describe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authoring system for CAI to overcome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is assured experimentally and then good results are shown compared with other system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