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changgun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31초

고창군 광승리 연안 퇴적층의 퇴적 시기와 범람 기원 특성 (Burial Age and Flooding-origin Characteristics of Coastal Deposits at Gwangseungri, Gochanggun, Korea)

  • 김종연;양동윤;신원정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22-235
    • /
    • 2015
  • 고창군 광승리 지역의 해발고도 5 m 내외의 해안 지점(DH)과 해발고도 10-15 m의 단구 상부 지점(KS)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화학 분석과 입도 분석 등을 통하여 퇴적 물질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DH는 풍화된 기반암을 피복하는 적색 토양층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가면서 물질 조성이 점진적으로 변화하였다. DH 시료 내에 점토광물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근거로 하여 이 층을 제자리 풍화층으로 판단하였다. KS의 경우 구릉의 말단부에 위치하는 자갈층을 피복하는 층으로 물질 조성이 전반적으로 DH 부분과 상당히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구간에서 물질의 교란이 일어나거나 외부 물질의 유입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었다. 한편 입자의 입도에 있어서 KS 시료들은 현재의 해빈 물질과 다른 특성이 나타난다. KS의 하부는 해빈에 비하여 세립 물질로 나타났으며, 중간 부분은 해빈보다 조립 물질이다. KS 시료의 분급은 해빈에 비하여 나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퇴적층중 일부는 지속적인 파랑과 조류에 의한 것보다는 일시적인 고에너지 환경에서 퇴적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KS 부분 시료의 매몰 연대는 광여기루미네센스(OSL) 분석에 의하여 0.65-0.71 ka로 추정되었다.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해당 퇴적층과 형성 과정의 특성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져야 할 것이지만, 해당 퇴적층은 폭풍에 의한 연안 범람 퇴적층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고창군 광승리 해빈 표층 퇴적물의 계절 변화 (Seasonal Variation of Surface Sediments in the Kwangseungri Beach, Gochanggun, Korea)

  • 소광석;양우헌;최신이;권이균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497-509
    • /
    • 2012
  • 한반도 서남해안의 고창군 광승리 개방형 대조차 해빈에서 계절에 따른 표층 퇴적상과 퇴적환경 변화를 연구하였다. 표층 퇴적물은 3개 측선의 45지점(각 측선 당 15개 지점)에서 사계절(2006. 5.~2007. 2.)동안 채취하고 분석하였다. 광승리 해빈의 표층 퇴적물은 대부분 세립질 모래로 구성되어 있으며, 평균 입도는 겨울에 가장 조립하게 나타난다. 펄 퇴적상은 여름에 부분적으로 존재하는 반면, 겨울에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표층 퇴적물의 공간 분포는 봄, 가을, 겨울에 세립사와 중립사가 해안선과 평행한 띠 모양으로 나타난다. 연구지역의 북쪽에서는 여름에 세립사, 겨울에 조립사가 우세하게 나타난다. 여름 광승리 해빈의 표층 퇴적물에 미치는 영향은 조석이 파랑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해석된다.

Fusarium Wilt of Korean Blackberry Caused by Fusarium cugenangense

  • Kim, Wan-Gyu;Choi, Hyo-Won;Park, Gyun-Sung;Cho, Weon-Dae
    • 식물병연구
    • /
    • 제27권4호
    • /
    • pp.187-191
    • /
    • 2021
  • Wilt symptoms were frequently observed in Korean blackberry (Rubus coreanus) plants grown in farmers' fields located in Gochang and Jeongeup, Jeonbuk Province, Korea during disease surveys in July 2020. The disease occurred in 10 of the 13 fields surveyed in the two locations. The incidence of diseased plants in the fields was 5-80%. Seven isolates of Fusarium sp. were obtained from the diseased plants and examined for their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All the isolates belonged to Fusarium oxysporum species complex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but were identified as F. cugenangense based on the molecular characteristics. Two isolates of F. cugenangense were tested for pathogenicity on Korean blackberry plants by artificial inoculation. Pathogenicity of the two isolates on the plants was confirmed with the inoculation tests, which showed wilt symptoms similar to those observed in the diseased plants in the fields investigated. This is the first report of F. cugenangense causing Fusarium wilt in Korean blackberry.

고창군 명사십리 조간대 표층 퇴적물의 계절 변화 (Seasonal Variation of Surface Sediments in the Myeongsasipri Tidal Flat, Gochanggun, SW Korea)

  • 소광석;양우헌;권이균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4권3호
    • /
    • pp.181-188
    • /
    • 2009
  • 한반도서남해안의 고창군 명사십리 대조차조간대에서 계절에 따른 퇴적물 조직과 퇴적 환경 변화를 연구하였다. 표층 퇴적물은 연구지역 3개 측선(각 측선 당 15개) 45지점에서 겨울철(2월), 여름철(8월)에 채취하였다. 개방형 명사십리의 표층 퇴적물은 세립사와 중립사가 우세하며 해안선과 평행한 띠 모양으로 분포한다. 입도 분포 곡선은 복모드 분포를 보이며, 겨울철 조간대의 입도분포가 여름철에 비하여 조립하다. 겨울철에 중립사가 상부 조간대에 집중되고 세립사가 하부 조간대에 집중된다. 이는 겨울철 동안 조석작용보다 파랑 에너지가 크게 작용함을 의미한다. 겨울철과 비교하여 여름철에 상대적으로 세립한 평균입도와 조직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는 여름철에 조석 에너지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크게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명사십리 조간대에 대한 연구는 퇴적환경이 해안으로 불어오는 바람과 파랑 강도의 계절별 변화로 겨울철 파랑-우세 환경에서 여름철 조석-우세 환경으로 변화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복분자 술이 흰쥐의 testosterone분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aspberry Wine on Testosterone Level of Sprague-Dawley Rats)

  • 백병걸;임채웅;이은영;황인수;권혁년;이희곤;이성일;이형자;전병훈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007-1013
    • /
    • 2004
  •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er oral (PO) effects of Raspberry wine on testosterone levels in Sprague-Dawley rats. Raspberry wine of 13% alcohol concentration, was prepared from ripen fruits of Rubus coreanus fermented with Saccharomyces cervisiae. PO administration of Raspberry wine for 15 week (group A) produced dramatic increases of serum testosterone levels. Increase in the testosterone level was observed, using gamma counter with 1251 testosterone, starting from 1 week post administration. Maximum increase in testosterone level was observed at 5 week post administration, 7.486±6.482ng/mL, which was 14.6 times higher than normal and at 15 weeks post administration it was recorded as 1.84±3.516ng/mL. However, PO administration of Saccharomyces cervisiae broth (Group B) and 13% brewed alcohol (group C) for 15 weeks resulted slight increase in testosterone levels, indicating Raspberry wine as an effective phyto-testosogenic beverage of the future.

복분자 술이 가토의 testosterone에 미치는 영향 연구 (Effects of Black Raspberry Wine on Testosterone Level of New Zealand White Rabbits)

  • 임채웅;정재명;최민준;이성일;이희곤;전병훈;백병걸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75-379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lack raspberry wine, administered per os on testosterone levels in rabbits. Black raspberry wine containing 13% alcohol(v/v) was prepared from ripe fruits of Rubus coreanus fermented with Saccharomyces cervisiae. Experimental rats were divided into 2 groups(A and B) with 2 animals group: Group A received black raspberry wine. Group B received 13% concentrated alcohol('Soju') over a period of 6 weeks. all animals were monitored weekly for testosterone levels by radioimmunoassay using $^{125}I$ labeled anti-testosterone monospecific antibody. There was a significant(1.7-2.33 fold) increase in testosterone levels in Group A with a peak at 1 week post administration of black raspberry wine.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estosterone levels of rabbits in Group B. These data point to yet uncharacterized phytotestronegenic mechanisms of black raspberry wine that appear to be independent of ethyl alcohol. Further investigation of the mechanism of action of this fruit is warranted. These observations have potential implications for human reproductive heal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