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obal Maximum Point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32초

지구 온난화와 태풍의 변화 경향 (Global Warming and Trends of Typhoon Variation)

  • 설동일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453-458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장기간의 기상 자료를 이용하여 지구 온난화와 태풍의 변화 경향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태풍의 연 평균 발생 수는 감소하고, 태풍 역내의 최대풍속은 서서히 강해지는 추세를 보인다. 이는 대부분의 수치 시뮬레이션 결과와 일치한다. 그리고 태풍의 정상진로는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는 반면 서진형진로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최근 10년간의 태풍의 이동경로는 정상진로 6 : 서진형진로 3 : 이상진로 1의 비율을 보인다.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태풍은 남해안을 통과하는 것이 가장 많다. 최근에는 서해안을 통과하는 태풍의 수가 감소하고 동해안을 통과하는 태풍의 수는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지구 온난화와 관련하여 특히 주목할 점은 태풍의 세기가 점점 강해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기상재해의 예방 관점에서 이에 대한 주의와 대책이 요구된다.

BLDC 모터용 인버터를 이용한 PV 양수펌프의 MPPT 제어 (MPPT Control of PV Water Pumping Using BLDC Motor-Inverter)

  • 김성남;백승길;조정민;이승환;오봉환;이훈구;한경희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498-505
    • /
    • 2001
  • 본 논문은 PV어레이를 이용한 양수펌프 시스템의 전체적인 제어를 구상하는 제시하였으며, DC/DC 컨버터를 생략하기 위하여 BLDC 모터의 벡터제어를 이용하고 DC량과 AC량과 관계를 찾아내어 인버터만으로 PV 어레이의 최대출력점을 추적하였다. 기존의 최대출력점 제어기는 3상 인버터의 DC 링크단에 나타나는 전류리플로 인하여 제어기가 불안정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어기의 불안정성을 보완하기 위해 BLDC 모터의 $i_qs$ 전류를 이용한 MPPT(Maximum Power Point Tacker) 제어 알고리즘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제어기의 우수함을 입증하기 위하여 J. A Domfnguez가 비동기모터에 적용한 제어방식을 BLDC 모터에 적용한 결과와 본 논문에서 제시한 제어방식을 시뮬레이션 및 실험을 통하여 비교 검토하고 하였다.

  • PDF

Fatigue life evaluation of socket welded pipe with incomplete penetration defect: I-test and FE analysis

  • Lee, Dong-Min;Kim, Seung-Jae;Lee, Hyun-Jae;Kim, Yun-Jae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3권11호
    • /
    • pp.3852-3859
    • /
    • 2021
  • This paper presents experimental and numerical analysis results regarding the effects of an incomplete penetration defect on the fatigue lives of socket welded pipes. For the experiment, four-point bending fatigue tests with various defect geometries (defect depth and circumferential length) were performed, and test results are presented in terms of stress-life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for circumferentially short defects, the fatigue life tends to increase with increasing crack depth, but for longer defects, the trend becomes the opposite. Finite element analysis showed that for short defects, the maximum principal stress decreases with increases in crack depth. For a longer defect, the opposite trend was found. Furthermore, the maximum principal stress tends to increase with an increase in defect length regardless of the defect depth.

2004년 밀양의 이상더위의 특징과 종관적 원인 (Characteristics and Synoptic Causes on the Abnormal Heat Occurred at Miryang in 2004)

  • 변희룡;황호성;고혜영
    • 대기
    • /
    • 제16권3호
    • /
    • pp.187-201
    • /
    • 2006
  • During summer (JJA) of 2004, a record-high temperature in Korea appeared at Miryang ($38.5^{\circ}C$ on July 30). Moreover, Miryang showed the most frequent occurrence (25 days in JJA) of the daily highest temperature among observational sites in Korea. Based on meteorological analysis, it is found that this phenomenon is caused by neither the global warming effect nor the urban climate effect. It is caused by the mesoscale and synoptic and/or global scale atmospheric circulations, as evidenced by several factors described below. Firstly, the hottest areas have normally occurred not at a point but over an area, particularly along an axis connecting Sancheong and Daegu. But in 2004, this axis has moved southward and locates over Namhae-Miryang due to northerlies that were induced by the heating effect related to the low snow-cover on the Tibet Plateau. Secondly, although the maximum temperature was the highest among observational sites in Korea, the daily mean temperature and the number of nights with air temperature over $25^{\circ}C$ were not the highest at Miryang. Thirdly, the downdraft induced by the second circulation of typhoon and abnormal development of the North-Pacific High were found to have exerted an important role.

해상안전을 위한 GNSS 기반 태풍경로 실시간 분석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GNSS)-Based Near-Realtime Analysis of Typhoon Track for Maritime Safety)

  • 이재강;하지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93-102
    • /
    • 2019
  • 본 연구는 GNSS 기반 태풍경로 관측 가능성을 분석하기 위해 2007년 11호 태풍인 NARI의 태풍경로와 시간변화에 따른 지역별 가강수량을 분석하였다. 가강수량은 제주에서 남해안까지 태풍경로상에 위치한 관측소가 태풍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은 기간과 전 후 일주일을 포함하여(2007년 9월 7일(DOY250)부터 9월 24일(DOY267)까지) 총 18일간의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 하였다. 그 결과 가강수량의 변화 추세는 태풍의 경로 근처 관측소의 결과와 유사하였으며 태풍의 발달과 지상에 도달하는 시간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처음 태풍이 강타한 JEJU 관측소에서 일일 최대 가강수량이 관측된지 몇 시간 후, 남해안에 다른 관측소에서 가강수량이 최대값으로 나타났으며 각 관측소에서 최대 가강수량을 기록한 시점이 태풍이 해당 관측소에 도달한 시점과 거의 일치 하였다. GNSS기반 가강수량 측정의 정확도를 분석하기 위해, 데이터는 라디오존데 기반 가강수량 데이터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평균 오차 0.0cm, RMSE 0.3cm로 GNSS 기반 가강수량 데이터가 정확하고 정밀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GNSS를 기반으로한 가강수량 데이터를 시간변화에 따른 태풍경로 분석에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WRF 모형을 이용한 한반도 집중 호우에 대한 지형 효과의 수치 모의 연구 (A Numerical Simulation Study of Orographic Effects for a Heavy Rainfall Event over Korea Using the WRF Model)

  • 이지우;홍성유
    • 대기
    • /
    • 제16권4호
    • /
    • pp.319-332
    • /
    • 2006
  • This study examines the capability of the WRF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model in reproducing heavy rainfall that developed over the Korean peninsula on 26-27 June 2005. The model is configured with a triple nesting with the highest horizontal resolution at a 3-km grid, centered at Yang-dong, Gyeonggi-province, which recorded the rainfall amount of 376 mm. In addition to the control experiment employing realistic orography over Korea, two consequent sensitivity experiments with 1) no orography, and 2) no land over Korea were designed to investigate orographic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heavy rainfall. The model was integrated for 48 hr, starting at 1200 UTC 25 June 2005. The overall features of the large-scale patterns including a cyclone associated with the heavy rainfall are reasonably reproduced by the control ru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simulated rainfall over Korea agreed fairly well with the observed. The amount of predicted maximum rainfall at the 3-km grid is 377 mm, which located about 50 km southeast from the observed point, Yang-Dong, indicating that the WRF model is capable of predicting heavy rainfall over Korea at the cloud resolving resolutions. Further, it was found that the complex orography over the Korean peninsula plays a role in enhancing the rainfall intensity by about 10%. The land-sea contrast over the peninsula was fund to be responsible for additional 10% increase of rainfall amount.

기후변화에 따른 적응대책과 환경영향평가 (Review o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Adaptation Strategies for Climate Change)

  • 최광호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2호
    • /
    • pp.249-256
    • /
    • 2011
  • Causing by green house gas emission, global warming is being accelerated significantly. This global warming cause world climate to change quiet different than before and we call this phenomenon is Climate Chang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being implemented in Korea is to prevent predicted environmental impacts from deteriorating within the domestic information and situation. As the climate change is getting severe, new meteorological records can be occurred which is exceeded existing statistical data. According to KMA(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data, maximum value of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in many regions changed with new data within last decade. And these events accompanied with landslides and flooding, and these also affected on water quality in rivers and lakes. According to impacts by climate change, disasters and accidents from heavy rain are the most apprehensive parts. And water pollution caused by overflowed non-point sources during heavy rain fall, fugitive dust caused by long-term drought, and sea level rise and Tsunami may affect on seaside industrial complex should be worth consideration. In this review, necessity of mutual consideration with influences of climate change was considered adding on existing guideline.

광산란 거친표면의 고정밀 삼차원 형상 측정을 위한 점회절 간섭계 (Point-diffraction interferometer for 3-D profile measurement of light scattering rough surfaces)

  • 김병창;이호재;김승우
    • 한국광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504-508
    • /
    • 2003
  • 최근 전자산업계에 새롭게 널리 생산되는 마이크로 전자부품들은 왜곡이 최소화된 정밀한 외관 형상을 갖도록 제조되고 관리되지만, 측정 대상의 표면이 가시광 영역에서 광산란되는 특징을 가짐으로 인해, 기존의 피죠나 마이켈슨 형태의 비교간섭법으로는 고정밀의 삼차원 형상측정이 용이하지 아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광섬유를 이용한 새로운 개념의 점회절 간섭계를 제안하고, 이를 광산란 거친표면의 대표적인 제품인 칩패키지와 실리콘 웨이퍼의 삼차원 형상 측정에 적용하였다. 측정결과 66 mm 측정영역에서 측정 형상오차 PV(peak-to-valley value) 5.6 $\mu\textrm{m}$, 분산값($\sigma$) 1.5 $\mu\textrm{m}$를 획득함으로써 기존의 비교 간섭 측정법에 비해 더욱 향상된 측정 정밀도를 획득하였다.

Mooring Cost Sensitivity Study Based on Cost-Optimum Mooring Design

  • Ryu, Sam Sangsoo;Heyl, Caspar;Duggal, Arun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6
    • /
    • 2009
  • The paper describes results of a sensitivity study on an optimum mooring cost as a function of safety factor and allowable maximum offset of the offshore floating structure by finding the anchor leg component size and the declination angle. A harmony search (HS) based mooring optimization program was developed to conduct the study. This mooring optimization model was integrated with a frequency-domain global motion analysis program to assess both cost and design constraints of the mooring system. To find a trend of anchor leg system cost for the proposed sensitivity study, optimum costs after a certain number of improvisation were found and compared. For a case study a turret-moored FPSO with 3 ${\times}$ 3 anchor leg system was considered. To better guide search for the optimum cost, three different penalty functions were applied. The results show that the presented HS-based cost-optimum offshore mooring design tool can be used to find optimum mooring design values such as declination angle and horizontal end point separation as well as a cost-optimum mooring system in case either the allowable maximum offset or factor of safety varies.

위성 기반 측위 시스템에서의 부호 추적편이 완화 기법 (A Novel Scheme for Code Tracking Bias Mitigation in Band-Limited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s)

  • 유승수;김상훈;윤석호;송익호;김선용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10C호
    • /
    • pp.1032-1041
    • /
    • 2007
  • 위성 기반 측위 시스템은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위치 기반 기술의 핵심 기술로서, 통신 물리계층으로 직접수열 확산대역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DS/SS) 시스템을 사용한다. DS/SS 시스템의 성능은 송수신기에서 사용하는 확산 부호의 정확한 동기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본 논문은 DS/SS 시스템의 동기기법 가운데 부호 추적 기법에 초점을 맞춘다. 가장 널리 알려진 부호 추적 기법은 이른-늦은 판별기를 사용하는 EL-DLL이다 (delay lock loop with early minus late discriminator). 이상적인 환경에서 EL-DLL은 최적 부호 추정기이다. 그러나 대역 제한된 다중경로 환경에서 EL-DLL은 추적을 통해 정확한 동기시점을 결정한 후에도 여전히 추적편이가 남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대역 제한된 다중경로 환경에서 EL-DLL의 추적편이 특성 분석을 위해 상관 값이 나타나는 영역을 이른 상관시간 옵셋 영역과 (advanced offset range, AOR) 늦은 상관시간 옵셋 영역으로 (delayed offset range, DOR)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역 제한된 다중경로 환경에서 EL-DLL의 추적편이는 정확한 동기시점을 기준으로 AOR과 DOR에서 상관 값의 대칭성이 왜곡되어 발생하는 제 1형 추적편이와 최고 상관 값이 나타나는 시점이 정확한 동기시점에서 벗어나서 발생하는 제 2형 추적편이로 구별할 수 있으며, 이 가운데 제 2형 추적편이가 추적편이의 대부분을 차지함을 보였다. 또한 AOR과 DOR에서 상관 값 추이 분석을 통해 AOR에서의 상관 값이 DOR에서의 상관 값에 비해 다중경로신호에 의해 덜 왜곡되는 특성을 보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대역 제한된 GNSS에 적합한 새로운 부호 추적편이 완화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기법은 대역 제한된 다중경로 환경에서 EL-DLL에 비해 정확한 추적이 가능함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