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fted teachers

검색결과 327건 처리시간 0.018초

초등학교 언어창작영재의 적성과 진로성향 및 진로성숙도 연구 (The Study on the Multiple Intelligence Aptitude, Career Tendency & Career Maturity of Verbal Writing Gifted Student)

  • 김유선
    • 영재교육연구
    • /
    • 제21권1호
    • /
    • pp.141-161
    • /
    • 2011
  • 본 연구는 교육청 글쓰기 대회에서 수상하여 언어영재캠프에 참여한 초등학교 4, 5학년 학생들(60명)을 대상으로 언어창작영재들의 적성과 진로성향 및 진로성숙도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중지능 프로파일은 언어적성, 음악적성이 강점지능으로, 논리 수학적성이 약점지능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수적성은 음악적성과 언어적성으로 나타난 학생의 수가 많았고, 논리 수학적성이 가장 적었다. 논리 수학흥미와 논리 수학성취가 유의수준 p<.01.에서 상관이 있었다. 셋째, 진로성향은 언어성향과 인간친화성향의 학생이 가장 많았고, 음악적성, 자연친화적성, 인간친화적성은 우수적성과 진로성향에 있어 큰 차이를 보였다. 넷째, 과반수 이상(41명, 68%)의 학생이 조기 진로성숙의 특성을 보였다. 언어창작영재들의 성공적인 진로선택을 위해 우수적성에 어울리는 직업의 안내와 진로성향에 맞는 적성을 강화시키는 교육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인문사회 영재를 위한 공교육의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Learners' Perception on Career Education Programs in the Public Education for Gifted Student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 신의주;진석언
    • 영재교육연구
    • /
    • 제26권1호
    • /
    • pp.187-209
    • /
    • 2016
  • 본 연구는 공교육에서 제공하고 있는 인문사회 영재를 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살펴보고, 이들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확인해 보고자 수행되었다. 우선, 인문사회 영재를 대상으로 장래 희망을 조사한 결과, 56%의 학생들이 언어능력 직업군에 속하는 직업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 면담 및 문서 조사를 통해 살펴본 프로그램의 다양성과 학생들이 인식하는 프로그램의 다양성과는 차이가 있었다. K중학교의 인문사회 영재와 수과학 영재와의 심층 면담 및 설문조사 결과, 수과학 영재가 인문사회 영재에 비해 진로교육 프로그램에의 참여 경험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학교 밖의 공교육 관련 기관에서 실시되는 진로교육 관련 활동에의 참여 빈도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이 원하는 진로 관련 활동 유형으로는 공통적으로 '직업실습'프로그램이 가장 높은 비율로 선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자유학기제를 비롯한 다양한 진로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고려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과학영재 대학생을 위한 진로결정 요인 척도개발 및 타탕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Career Decision-Making Scale for Scientifically Gifted Undergraduates)

  • 양태연;한기순;박인호
    • 영재교육연구
    • /
    • 제21권4호
    • /
    • pp.927-943
    • /
    • 2011
  • 우수 인재들이 진로를 결정하는 결정적 요인은 무엇일까? 이 연구는 이 물음에서 출발하여 과학영재 대학생을 위한 진로결정 요인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영재/인재, 과학자의 진로 결정과 관련된 문헌고찰을 통하여 개인적성 및 자아실현, 경제적 가치, 일과 여과, 가족의 영향, 부모/교사의 권유, 학창시절 과학활동 경험의 6가지 요인을 바탕으로 총 26문항의 진로결정 요인 척도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대학의 이공계 대학생 153명을 대상으로 예비연구를 실시하였으며, 본 검사는 국내외 대통령 장학생 264명과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을 수료한 대학생 93명 등 총 5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측정모형 적합도는 ${\chi}^2$=645.157 (df=279, p=.00), TLI=.924, CFI=.935, RMSEA=.061로 나타나 대부분의 적합도 지수는 수용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생 과학영재들의 진로 결정 요인을 측정하는 타당한 도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 하위요인의 내적합치도인 Cronbach의 ${\alpha}$ 역시 개인적성 및 자아실현 .82, 경제적 가치 .94, 일과 여과 .84, 가족의 영향 .88, 부모/교사의 권유 .79, 학창시절 과학활동 경험 .79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개발된 척도가 우리나라 대학생 과학영재들의 진로결정요인을 측정하는 타당하고 신뢰로운 도구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개발된 척도는 진로분야의 이론적 틀을 구성하고 과학영재의 진로지도 및 진로상담을 돕기 위한 기초연구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교사의 신념에 따른 수학영재교실의 사회수학적 규범 비교 분석 (Analysis on the Sociomathematical norms in math gifted classroom according to the Teacher's belief)

  • 조유미;송상헌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3권3호
    • /
    • pp.373-388
    • /
    • 2013
  • 본 논문은 2명의 수학 영재 지도 교사가 갖고 있는 (1)교육 내용으로서의 수학, (2)교육 방법으로서의 수학 교수 학습, 그리고 (3)영재 교육(대상자, 목표/방향, 교사의 역할)에 대한 신념에 따라 수학영재교실에서의 사회 수학적 규범은 어떠한 양태로 나타나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충분한 영재지도 경력을 갖고 있으면서 신념의 범주가 다른 두 교사(이하 A교사, B교사라 함)를 선정하여 그들의 수업을 비교 분석하였다. 수학은 '전통', 수학교수는 '혼합', 수학학습은 '전통'적 신념을 가진 A교사는 영재교육에서 수학영재아들을 성취 수준이 높은 자율적 탐구자로 보고 자신은 조력자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수학은 '비전통', 수학교수는 '비전통', 수학학습은 '비전통'적 신념을 가진 B교사는 영재교육에서 수학영재아들을 성취 수준이 높지 않은 자율적 탐구자로 보고 자신은 안내자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A교사의 수업에서는 문제 해결의 다양한 규칙과 답을 중요시하며 어려운 문제의 해결을 가치롭게 여기는 사회수학적 규범이 나타났고, B교사의 수업에서는 일반적인 정답보다는 문제 해결의 과정에서 드러나는 수학적 설명과 정당화를 가치롭게 여기는 사회수학적 규범이 나타났다. 그리고 그들의 서로 다른 신념에 따른 수업의 양태와 그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반응을 통해 수학영재교육에 주는 몇 가지 시사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초등 정보과학영재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사의 전문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acher's Professionality for the Elementary Gifted Children of Information Science)

  • 김광찬;이애정;이재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281-298
    • /
    • 2005
  • 초등정보과학 영재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뛰어난 영재의 선발, 적합한 교육과정 개발 등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지 못한다."는 말이 있듯이 초등정보과학 영재교육의 실제를 담당하는 영재교사의 뛰어난 직무수행능력 역시 초등정보과학 영재교육을 성공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하다. 이런 교사 변인의 중요성을 생각해 볼 때 초등정보과학 영재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에게 요구되는 전문성이 무엇인지에 대한 규명이 필요하고 더불어 이러한 전문성을 함양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도 반드시 필요하다.

  • PDF

수학영재의 창의적 산출물 평가 준거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Criteria of Evaluating Creative Product in Mathematical Gifted Education)

  • 이종희;김기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2권3호
    • /
    • pp.301-322
    • /
    • 2010
  • 영재교육의 세 가지 목표 중 실제 교육현장에서 학생들의 학습을 안내하고 평가함에 있어서 중심이 되는 것은 창의적 생산력의 신장이라 할 수 있다. 모든 교육 활동이 그러하듯이 평가는 교육목표 선정과 그에 따른 교육 활동의 설계에서부터 교수 학습 활동의 전개 및 반성과 수정에 이르기까지 병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수학 영재교육 현장에서도 창의적 생산력의 신장이라는 교육목표를 이루기 위한 교육 활동을 위해서는 창의적 산출물에 대한 명확한 개념 탐색과 이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 방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학영재교육에서 적용될 창의적 산출물의 개념이란 어떤 것인지를 탐색하고 이를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평가틀과 준거를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 PDF

문제설정에서의 수학적 창의성 평가 요소에 대한 소고 (A Note on Factors of Mathematical Creativity Assessment through Problem Posing)

  • 김판수
    • 영재교육연구
    • /
    • 제24권6호
    • /
    • pp.1053-1071
    • /
    • 2014
  • 이 연구는 영재를 위한 창의성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그리고 영재의 선발에 이용될 수 있는 문제설정에서의 수학적 창의성 평가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관찰을 통해 개선된 창의성 평가 요인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부설과학영재교육원 소속의 초등수학영재 19명에게 주어진 문제를 풀어보고 그 문제와 관련된 우수한 문제를 만들도록 요구하였다. 영재학생뿐만 아니라 예비교사 및 전문가 집단이 각각 영재가 만든 문제를 평가하고 우수한 문제의 특징을 기술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문제설정에서의 수학 창의성 평가의 요인을 융통성, 독창성, 원 문제와의 유사성, 문제의 복잡성, 정교성으로 제안한다.

과학영재교육원의 원격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정의적 측면의 분석 (Analysis on distant learning of Science Education Center for the gifted from the perspective of affective variables)

  • 김인수;박종률;박은숙
    • 한국수학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학교육학회 2006년도 제11회 국제수학영재교육세미나프로시딩
    • /
    • pp.113-131
    • /
    • 2006
  • 영재교육 운영의 방법으로 원격교육과 집중교육이 병행해서 실시되고 있는데, 학기 중에 운영되는 원격교육 프로그램의 정의적 측면을 분석해보았다. 과학영재교육원의 수학 분과 수업 형태를 중심으로 과제 집착력 및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 사이의 상호작용을 관찰하여 영재학생들이 원격수업을 어떻게 자기의 것으로 동기화하며 문제를 해결해나가는지 알아보고, 교사가 학생들을 이끌어주며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원격 상황에 대해 학생의 만족도 및 문제점은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 PDF

Student Perceptions of Different Feedback Givers' Written Responses

  • Kim, Jeong-Ok
    • 영어어문교육
    • /
    • 제18권1호
    • /
    • pp.45-68
    • /
    • 2012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ifferent opinions about feedback given to high level Middle School students about their writing.18 students in the Gifted Program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rough their presurvey answers according to their language learning opportunities and genders. Students language self-assessment was compared with achievement as well. Three times of students' written work were collected. They then received feedback from the teacher and their two peers respectively. With the teachers' and peers' feedback, they completed their final draft. The study then examines how much the students take feedback practically from the different feedback givers. Examples of formative and corrective feedback were arrange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the students practice when giving and taking feedback. These Gifted class students showed that they didn't care much about who gave them the feedback, instead they cared more about how much language competence they presumed the feedback giver had.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 and future study is suggested.

  • PDF

서울시 고교에서의 특수재능교육

  • 조석희
    • 영재교육연구
    • /
    • 제7권2호
    • /
    • pp.47-67
    • /
    • 1997
  • Fourteen Special high schools for developing talents in Science, Foreign Languages, and Arts in Seoul Metropolitan city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ir educational objectives, Students screening system, curriculum, teaching-learning methods, teachers, and consistency with higher education. Special high schools in talent area were more or less similar to each other in all the above aspects. However, special high schools in different talent areas were quite different in student screening, teaching-learning methods, teachers, and consistency with higher education. Public schools were more affluent than the private ones. Special high schools in Science, arts and Sports were providing individualized, activity oriented, process-oriented teaching-learning methods, while the Foreign languages high schools excercised teacher-centered, grammar oriented, lecture-focused teaching methods more. Special high schools in arts and sports could have consistency with higher education because the university focuses on talents in the specified field rather than academic scores. In conclusion, the schools have a great deal of rooms to improve in teaching-learning methods with which students can maximize their potential development. However, the special high schools were equipped with better learning environments than regular high schools in many aspec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