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entamycin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41초

1973년(年) 한국(韓國)에서 분리(分離)된 쌀모넬라균(菌)에 관(關)한 보고(報告) (A Report on the Salmonella Cultures Isolated in Korea(1973))

  • 유영해;김영자;서영숙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5
    • /
    • 1974
  • 저자(著者)들은 1957년(年)부터 계속적(繼續的)으로 한국(韓國)에서 분리검출(分離檢出)되는 쌀모넬라균속(菌屬)에 대(對)한 미생물학적성상(徵生物學的性狀)을 검토(檢討)하고 혈청형적(血淸型的) 분류(分類) 결과(結果)를 관찰보고(觀察報告)하고 있다. 1973년도(年度)에는 전국(全國) 11개시도위생시험소(개市道衛生試驗所)와 각급(各級) 종합병원(綜合病院)에서 1,644주(株)의 유사장내병원성세균(類似賜內病原性細菌)을 수집(蒐集)하여 통상적(通常的)인 미생물학적시험방법(徵生物學的試驗方法)과 항원분석(抗原分析)을 수행(遂行)한 결과(結果) 426주(株)의 전형적(典型的)인 쌀모넬라균속(菌屬)을 동정(同定)하였다. 기중(其中) 11주(株)가 S. paratyphi A였으며 B군(群)에 속(屬)하였던 63주중(株中) 44주(株)는 S. paratyphi B였으며 19주(株)는 S. typhimurium이었다. C군(群) 2주중(株中) 1주(株)는 S. newport이었고 또 1주(株)는 S. potsdam이었던 바 S. paratyphi C는 1주(株)도 없었다. Drns(群) 350주중(株中) S. enteritidis 16주(株)를 제외(除外)한 나머지는 모두 S. typhi로서 역시(亦是) 우리나라에서는 아직도 장(腸)티프스균(菌)이 다수(多數)를 차지하였다. 이들 쌀모델라균속(菌屬)이 나타낸 생화학적성상(生化學的性狀)은 성서(成書)에 정리(整理)된 바와 다름 없었으며 다른 나라에서 검토(檢討)된 내용(內容)과도 부합(符合)되었다. disc방법(方法)으로 각종(各種) 항균제(抗菌劑)에 대(對)한 감수성시험성적(感受性試驗成績)에서 얻어진 결과(結果)로는 8주(株)가 chloramphenicol에 대(對)한 내성(耐性)을 보였고. 1주(株)가 gentamycin에 대(對)하여 내성(耐性)을 나타냈으며 34주(株)가 ampicillin에 대(對)하여 내성(耐性)을 나타내기는 하였으나 아직도 우리나라에서는 이들 세가지 항생제(抗生劑)가 다른나라에서와 마찬가지로 치료용(治療用)으로 권장(勸奬)될 수 있을 것으로 관찰(觀察)되었다.

  • PDF

국내에서 유통 중인 축산환경개선제의 표기사항 및 항생제 내성 현황조사 (An Investigation on the Anitibiotic Resistant Condition and Label-Stated of Domestically Distributed Livestock-Environment Improving Agents)

  • 최정은;이은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58-265
    • /
    • 2009
  • 축산환경개선용 미생물 제품 중 시장점유율을 기준으로 상위제품 A, B,하위 제품 E, F와 현재 개발완료 되어진 C, D를 선정하여 생균수 측정과, 사료첨가용으로 사용이 금지된 항생제에 대한 내성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생균수 측정 결과 상위 점유율의 A, B사 제품은 표기상의 생균수와 일치하였으나, 하위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E제품의 경우 함유균주나 효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않고 있을뿐더러 F사의 제품은 균수가 적게 측정되어 실제 표기사항과 일치하지 않았다. 항생제 내성실험결과 점유율에 따른 상관관계는 없었으나, B사를 제외한 제품의 대부분에서 내성균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Lincosimides 계열의 Lincomycicne과 Clindamycin의 경우 B사를 제외한 제품에서 내성균이 존재하였다. Penicillins 계열의 Amoxicillin, Ampicillin, Penicillin 및 Macrolide 계열의 Erythromycin 항생제는 B사와 E를 제외한 제품에서 내성균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Quinoline계열 Norploxacin 또한 B사와 E사를 제외한 제품에서 내성균을 보였으며 Neomycin의 항생제 또한 유사한 내성분포 결과를 나타내었다. Neomycin과 같은 Aminiglycosides계열의 Gentamycin, Streptomycin은 B사제품을 제외한 제품에서 내성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내성-균으로 사용 금지된 Tetracycline계열의 Oxytetracyclin은 12가지 항생제중 가장 높은 비율의 감수성을 나타내었으나 B, E사를 제외한 제품에서 내성균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사용 금지된 항생제 품목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제품에서 때 성균이 존재하였으며, 이에 따라 환경개선제 특성의 정확한 표기와 체계적인 유통 체계와 검증 과정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제주산 양식넙치 (Paralichthys olivaceus)로부터 분리된 $\beta$-용혈성 연쇄구균 ($\beta$-Streptococcsus spp.)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beta$-Streptococcus spp. Isolated in Cultured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of Jeju Island)

  • 허문수;송춘복;이제희;여인규;전유진;이정재;정상철;이기완;노섬;최광식;이영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65-369
    • /
    • 2001
  • 2000년도 2회에 걸쳐 제주도 일원 넙치 양식장을 대상으로 감염어에서 분리된 연쇄구균에 대한 특성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감염어로부터 분리된 연쇄구균은 형태적으로 연쇄상의 gram 양성의 구균이었고, catalase와 oxidase에 음성이었으며, 용혈성 시험에서는 $\beta$-용혈성을 나타내었다. 감염어에서 각 장기별 생균수에서는 환부, 신장, 혈액 그리고 뇌순으로 연쇄구균이 검출되었다. 약제 감수성에서는 ampicillin, ciprofloxicin 둥에 감수성이 있었지만 erythromycin 등에는 감수성이 없었다. 복강에 주사하여 병원성 시험을 한 결과 10일 이내에 전량 폐사하는 강한 병원성을 보였다. 감염균의 용혈성에 대한 특성은 $50^{\circ}C$ 30분의 배양에서 용혈활성이 마르게 증가되어 최대값에 도달되었고 또한 $pH 5.5\~6.5$에서 높은 활성값을 보였다.

  • PDF

경기인천 연안에서 분리된 장염비브리오균의 항생제 내성 및 플라스미드 보유 현황 (Antibiotic Resistance and Plasmid Profile of Vibrio parahaemolyticus Strains Isolated from Kyunggi-Incheon Coastal Area)

  • 한아름;윤영준;김정완
    • 미생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22-28
    • /
    • 2012
  • 장염비브리오는 우리나라에서 하절기에 발생하는 식중독의 주요 원인균으로 주로 해수 및 어패류를 통해 인체에 감염된다. 최근 지구 온난화로 해수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해양환경 중 세균들의 분포도가 증가하고 또 다양한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보이는 병원균들이 확산되고 있어 국민보건 및 수산양식 등의 분야에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기, 인천지역 7곳에서 해수 및 어패류 시료를 채취하여 장염비브리오균의 분포도를 모니터링하고 이들의 항생제 내성 양상을 분석하였다. 총 966건의 시료를 $CHROMagar^{TM}$ 및 TCBS 평판배지와 multiplex PCR기법으로 동정했을 때 전체 해수 시료의 61.9%, 어패류 시료의 41.8% 등 총 47.7%의 시료에서 장염비브리오균이 검출되었다. 이들 분리균주들의 항생제 내성을 13종의 항생제에 대해 분석한 결과 97.3%와 87.3%가 각각 vancomycin과 ampicillin에 대해 내성을 보였고 cephalothin (48.8%)과 rifampin (46.1%)에 대한 내성비율도 기타 다른 항생제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리균주들의 항생제 감수성은 chloramphenicol (91.7%)과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91.8%)에 대해 가장 높았고, gentamycin (82.3%), tobramycin (74.8%), nalidixic acid (71.6%), tetracyclin (69.4%), cefotaxime (63.0%) 등의 순서로 감수성 비율이 높았다. 분리균주들의 약 69%가 vancomycin과 ampicillin을 포함하여 3개 이상의 항생제에 대해 다중내성을 보였고 특히 11개 항생제에 대해 내성을 보이는 균주도 2개 검색되었다. 항생제 내성 장염비브리오 분리균주들의 플라스미드 프로파일을 분석한 결과 55.1%가 플라스미드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이들은 총 2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나 플라스미드 프로파일과 항생제 내성 간의 뚜렷한 상관관계는 관찰되지 않았다.

Enterococcus faecium SA5의 기능적 특성과 인삼 ginsenoside Rb1의 전환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Enterococcus faecium SA5 and Its Potential in Conversion of Ginsenoside Rb1 in Ginseng)

  • 김은아;랜친핸드;어르가말 막살;박영우;남명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72-179
    • /
    • 2017
  • 본 연구는 몽골 마유로부터 분리한 유산균 Enterococcus faecium SA5의 이화학 특성을 파악하고 유산균 E. faecium SA5의 ${\beta}$-glucosidase의 활성과 이를 통한 ginsenoside 전환을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되었다. E. faecium SA5는 내산성, 내담즙성을 나타내었으며 4종의 병원성 미생물(Salmonella typhimurium KCTC 3216, Listeria monocytogenes KCTC 3710, Bacillus cereus KCTC 1012, Staphylococcus aureus KCTC 1621)에 항균 활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항생물질 colistin, gentamycin, neomycin에 내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E. faecium SA5는 bile salt hydrolase 활성을 나타내어 혈액 내 콜레스테롤 수준 감소 효과가 있다고 사료되며 10% skim milk에서 배양하였을 때, pH가 감소하고 산도 및 생균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발효유 스타터로써의 활성을 갖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E. faecium SA5의 ${\beta}$-glucosidase에 의해 ginsenoside $Rb_1$이 ginsenoside $Rg_3-s$$Rg_3-r$으로 전환되었음을 TLC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따라서 E. faecium SA5는 잠재적인 probiotics로 이를 이용하여 발효유 제조 및 ginsenoside 전환 관련 건강기능식품 개발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미세조류를 이용한 무균분리법 개발 및 astaxanthin 생산 (Development of Axenic Culture and Astaxanthin Production in Microalgae)

  • 손민창;이동준;박세진;김민성;이철원;안원근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7호
    • /
    • pp.733-739
    • /
    • 2015
  • 미세조류는 천연재생자원으로서 단순히 빛, 이산화탄소, 인 및 질소만이 존재하는 환경에서도 빠른 속도로 자라며 동시에 다양한 기본 화학물질(예를 들면 제약 및 식품산업에서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 할 수 있는 비타민, 지방산, 카로티노이드 등)들을 생산한다. 본 연구에서는 생리활성물질을 생산하는 미세조류의 무균순수분리방법의 개발 및 미세조류 배양에 필요한 균체 생육도 측정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미세조류에서 유용성분 추출을 위하여 항생제 혼합물 [ampicillin (100 ${\mu}g/ml$), streptomycin (10 ${\mu}g/ml$), chloramphenicol (10 ${\mu}g/ml$), penicillin (10 ${\mu}g/ml$), neomycin (50 ${\mu}g/ml$), gentamycin (50 ${\mu}g/ml$), kanamycin (10 ${\mu}g/ml$), nystatin (1.5 ${\mu}g/ml$)]을 이용한 결과 1-3%의 혼합 항생제의 농도범위에서 최적의 결과를 얻었으며 분광광도법을 이용한 균체생육도 측정법 또한 확립하였다. Haematococus lacustris 미세조류를 배양하여 astaxanthin을 추출하였으며, H. lacustris 배양액 1 ml로부터 얻은 astaxanthin의 농도는 $1.9{\times}10^{-3}{\mu}g/l$이었다. 따라서 개발된 무균 순수분리법을 이용하여 미세조류로부터 양질의 astaxanthin 및 유용성분들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설사환자에서 Campylobacter jejuni의 분리 및 항생제 감수성 특성 (Isolation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Campylobacter jejuni from Diarrhea Patients)

  • 박은희;김정아;최성화;빈재훈;최홍식;석동희;이수철;김영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6호통권86호
    • /
    • pp.811-815
    • /
    • 2007
  • 2005년 1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설사환자의 분변 882건에서 27주의 C. jejuni가 분리되어 3.1%의 분리율을 보였으며, 계절별로는 7월에 가장 높은 9주(11.7%)가 분리되었으며, 분리균주 모두는 catalase 양성, hippuric acid를 가수분해하였다. heat-stable antigen을 이용한 PHA법으로 확인한 혈청형은 HS2형이 18.5%로 가장 많이 분리되었으며 Hs1/44형과 HS2l형 이 각각 11.1%, HS4 complex와 HSl9형 이 각각 7.4%,그리고 HSl8형이 3.7%였으며, 40.7%인 11주는 본 실험방법으로 혈청형을 확인할 수 없었다. 항생제에 대한 내성정도는 cephalothin에는 100%의 내성률을 erythromycin과 imipenem에는 0%의 내성률을 나타내어 분리균주 모두 감수성이었다. 항생제별로는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63.0%, tetracycline 51.9%, ciprofloxacin 37.0%, ampicillin과 nalidixic acid 33.3%, gentamycin 25.9%, clindamycin 7.4%, chlorarmphenicol 3.7%의 순으로 내성률을 보였다.

경기도 내 양식어류에서 분리한 병원성 세균의 Tetracycline 내성 유전자 분포 (Distribution of Tetracycline-Resistance Genes detected from isolates of cultured fishes in Gyeonggi-do)

  • 조기택;황윤정;이상우;김광일;정현도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9-46
    • /
    • 2021
  • Tetracycline (TC)은 국내에서 세균 감염 치료에 반드시 필요한 대표적인 항생제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부적절한 사용과 남용으로 인해 Tetracycline, Erythromycin, Fluoroquinolone 등과 같은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국내 양식 분야에서 심각한 경제적 피해를 유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2015~2018년에 걸쳐 경기도 양식장의 양식생물에서 101개 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균주는 간이적인 생화학적 방법을 통해 동정하였으며, 최소 억제농도(MIC)의 확인을 통해 Oxytetracycline (OTC), Ampicillin (AMP), Clindamycin (CLI), Enrofloxacin (ENRO), Gentamycin (GEN)에 대한 내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이중 TC에 내성을 보이는 균주는 PCR법을 통해 tet 유전자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총 101개 균주 중에서 Aeromonas spp.가 44개(43.5%)로 가장 우점하였고, 그 다음으로 Pseudomonas spp. 4개(4.0%), Vibrio spp. 5개(5.0%)가 확인되었다. 또한, 다중 내성을 보이는 균주(77.2%)가 단일 내성균(22.8%)보다 많음을 확인하였다. tet(A), tet(D), tet(E), tet(G), tet(M), tet(S)가 TC 내성 균주에서 검출되었으며 tet(A)가 가장 우점적으로 확인되었다. Aeromonas spp.는 분리된 균주 중에서 가장 많았으며, 경기도 내 양식현장에서의 다양한 항생제 내성 유전자의 특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닭에서 분리된 조류 병원성 대장균의 항생제 내성 양상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 of avian pathogenic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chickens)

  • 김명숙;권혁무;성환우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195-200
    • /
    • 2009
  • Avian pathogenic Escherichia coli (APEC) is an important bacterial pathogen of chickens and causes colibacillosis such as airsacculitis, perihepatitis, omphalitis, peritonitis, salpingitis, and pericarditis. As the transfer of antibiotic resistance from animal to humans can be possible, surveillance on antibiotic resistance of APEC is very important. A total 34 APEC isolates from diseased chickens during the period from 2007 to 2009 were obtained. The susceptibility of the isolates to 13 antibiotics was determined by disc diffusion assay. Resistance to erythromycin was found in 97.1% of APEC isolated, followed by resistance to tetracycline (85.3%), doxycycline (82.3%), ampicillin (73.5%), sulfisoxazole (67.6%), enrofloxacin (67.6%), ciprofloxacin (64.7%), norfloxacin (61.7%)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52.9%), gentamycin (26.5%), amoxicillin (8.8%), colistin (5.9%), and amikacin (2.9%). The blaTEM genes were detected in 25 (100%) of the 25 ampicillin-resistant APEC isolates. Among the 29 tetracycline-resistant APEC isolates, tetA and tetB genes were detected in 18 (62.1%) and 9 (31%) isolates, respectively. Twenty six (76.5%) isolates were multiresistant to at least 6 antibiotics and seven (20.1%) isolates were multiresistant to at least 10 antibiotics. This results indicated that multiple antibiotic-resistant APEC is widespread in chicken flocks in Korea.

남해안연안에 분포되어 있는 Vibrio Parahaemolyticus의 성상 및 Grapefruit Seed Extract 처리에 의한 향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Grapefruit Seed Extract on Vibrio parahaemolyticus Isolated from the Southern Adjacent Sea of Korea)

  • 조성환;강동훈;전상수;정덕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41-149
    • /
    • 1994
  •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Vibrio parahaemopyticus in the southern 4 coastal areas, Vibrio parahaemolyticus was isolated from seawater, shellfish and sediment from May to October in 1991, and antimicrobial effect of grapefruit seed extract (GFSE) on the growth of isolated strains were examined. In the 120 sample from 4 coastal areas, 16 strains of Vibrio parahaemolyticu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The distribution serotype of isolated strains was 10 types of monovalent k-antiserum. Especially k-5 and k-28 were highly distribyted with 3 and 4 strains. 31.3% of isolated strains showed positive on Kanagawa phenomenon test. All isolated Vibrio parahaemolyticus were sensitive to chloramphenicol and gentamycin, 5 and 6 strains were resistant to streptomycin and colistin, respectively. Isolated strains were compared with geographical, month and sample. The distribution of 16 isolated Vibrio parahamolyticus was high at Hadong with 50%(8 strains), on July with 43.8%(7 strains) and from seawater with 37.5%(6 strains) respectively. Minimal inhibitory level of GFSE to Vibrio parahaemolyticus was 50 ppm. With 100 ppm treatment of GFSE, the destroy of cell membrane function, outflow of cell ingredients and ghost morphology of cell were investiga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