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etically modified Food

검색결과 164건 처리시간 0.024초

Multiplex PCR Detection for 3 Events of Genetically Modified Maize, DAS-59122-7, TC6275, and MIR604

  • Ahn, Ji-Hye;Kim, Jae-Hwan;Kim, Su-Youn;Lee, Woo-Young;Park, Sun-Hee;Kim, Hae-Yeo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3호
    • /
    • pp.569-572
    • /
    • 2008
  • A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method was developed to simultaneously detect 3 events of genetically modified (GM) maize. The event-specific primers were used to discriminate the following 3 events of GM maize (DAS-59122-7, TC6275, and MIR604) using multiplex PCR method. The zein gene was used as an endogenous maize reference gene in the multiplex PCR detection. The primer pair Zein-FIR producing a 99 bp amplicon was used to amplify the zein gene. The primer JI-Das-F1/R1 for DAS-59122-7, JI-TC6275-F3/R3 for TC6275, and JI-MIR F1/R1 for MIR604 yielded an amplicon of 130, 162, and 197 bp, respectively. The detection limit of multiplex PCR was 1% for DAS-59122-7, TC6275, and MIR604 for one reaction.

Multiplex PCR Detection of the MON1445, MON15985, MON88913, and LLcotton25 Varieties of GM Cotton

  • Kim, Jae-Hwan;Kim, Sun-A;Seo, Young-Ju;Lee, Woo-Young;Park, Sun-Hee;Kim, Hae-Yeo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4호
    • /
    • pp.829-832
    • /
    • 2008
  • A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method was developed to simultaneously detect 4 varieties of genetically modified (GM) cotton. The event-specific primers were used to distinguish the 4 varieties of GM cotton (MON1445, MON15985, MON88913, and LLcotton25) using multiplex PCR. The acyl carrier protein 1 (Acp1) gene was used as an endogenous reference gene of cotton in the PCR detection. The primer pair Acp1-AF/AR containing a 99 bp amplicon was used to amplify the Acp1 gene and no amplified product was observed in any of the 13 different plants used as templates. This multiplex PCR method allowed for the detection of event-specific targets in a genomic DNA mixture of up to 1% GM cotton containing MON1445, MON15985, MON88913, and LLcotton25.

ASSESSMENT OF STABILITY AND ALLERGENICITY OF FOOD ALLERGENIC PROTEINS

  • Lee, J-H;Yoon, W-K;Han, S-B;Yun, S-O;Park, S-H;Lee, H-J;Yoon, P-S;Moon, J-S;Kim, H-C
    • 한국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독성학회 2002년도 Molecular and Cellular Response to Toxic Substances
    • /
    • pp.180-180
    • /
    • 2002
  • The potential allergenicity of the transgene products in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GMOs), has been an important issue. As a part of the risk assessment of GMOs, we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stability and the immunogenicity of food allergens to determine their allergenicity.(omitted)

  • PDF

Assessment of allergenicity of genetically modified foods (GMOs)

  • Lee, Jung-Hyun;Yoon, Won-Ki;Han, Sang-Bae;Yun, Si-On;Park, Sun-Hong;Lee, Hyun-Ju;Yoon, Pyung-Seop;Moon, Jae-Sun;Kim, Hyung-Chin;Kim, Hwan-Mook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
    • /
    • pp.267.1-267.1
    • /
    • 2002
  • The potential allergenicity of the transgene products in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GMOs). has been an important issue. As a part of the risk assessment of GMOs. we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stability and the immunogenicity of food allergens to determine their allergenicity. We have systematically evaluated the stability of food allergen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by using simple models of gastric (Stimulated gastric fluid) and intestinal (Stimulated intestinal fluid) digestion. (omitted)

  • PDF

PCR에 의한 수입식품의 유전자재조합 원료 분석 및 모니터링 (Monitoring and Analysis of Genetically Modified Ingredients of Imported Foods by PCR)

  • 김희연;박용춘;노혜림;조준일;김은정;남혜선;이진경;이진하;강윤숙;이종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05-608
    • /
    • 2006
  • 2004년 9월부터 12월까지 경인지역으로 수입되는 원료농산물 및 가공식품에 대하여 유전자재조합성분 함유여부 및 유전자재조합식품 표시제 이행실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유전자재조합식품 검사지침에 따랐으며, 콩류가공품(원료콩 포함) 64건, 옥수수 가공품(원료 옥수수 포함) 52건, 콩 및 옥수수 함유식품 4건 등 총 120 건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콩을 원료로 하는 콩류가공품 1건, 콩 및 옥수수 혼합 가공식품 1건 등 총 2건에서 유전자재조합 콩인 round-ready soybean 성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유전자재조합 옥수수 (Bt11, GA21, T25, E176, Mon810)를 포함하는 가공식품은 확인되지 않았다. 그리고 콩 가공품 3건, 옥수수가공품 8건, 콩 및 옥수수가공품 1건 등 총 12건에서는 내재성유전자를 확인할 수 없어 검사불능으로 판정되었다. 유전자재조합성분이 확인된 시료 2건은 구분유통증명서를 구비하고 있었으며, 검사불능 시료의 경우 대부분 옥수수전분을 포함하는 제품으로 확인되었고, 추출된 유전자를 양상을 분석한 결과 크기가 300 bp 이하로 절단되어 PCR법을 이용한 분석 시 주형유전자로 사용하기에는 충분 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농업인의 사료용 유전자변형 작물 재배 의사 추정 (Estimating Farmers' Willingness to Cultivate Genetically Modified Rice and Grass for Feed in Korea)

  • 김승규;류진;정재원;성명환;김태균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03-308
    • /
    • 2015
  • 본 연구는 전국의 686개 농가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농가의 GM 기술과 GM 작물 및 이를 활용한 사료에 대한 인식, 농가의 생산 현황과 속성을 바탕으로 농가의 GM 벼(쌀)와 GM 사료작물에 대한 기술 수용성을 분석하였다. 개별적인 농가 속성에 따라 수용 의사가 다르지만, 2개의 GM 기술 수용성 추정에서 공통적으로 GM 기술 수용 의사를 높이는 변수는 GM 농작물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잡곡이나 조사료 재배여부로 나타났다. 평균적인 경종 농가의 경우 7.8% 유의수준에서 농가소득이 47% 증가할 경우 벼(쌀)에 대한 GM 기술을 수용하고, 벼(쌀)를 제외한 사료작물의 경우에는 14.1% 유의수준에서 농가소득이 43% 증가할 때 GM 기술을 수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벼(쌀)와 비교해서 사료 작물은 상대적으로 적은 소득 증가에도 불구하고 수용 가능성이 나타났다. 그러나 두 가지 경우 모두 통계적 유의성이 5%를 넘어가 신뢰도에 문제가 있다. 앞으로 GM 기술에 대한 신뢰성이 높아짐에 따라 CVM에서 발생하는 가상적 편의가 줄어든다면 통계적 유의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되므로 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DHPLC와 중합효소연쇄반응에 의한 유전자재조합 콩의 검출 (The Detection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in Soybean by DHPLC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 이경혜;박수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88-93
    • /
    • 2008
  • 본 연구는 유전자재조합(genetically modified, GM) 콩(Glycine max L. MERRILL)의 검출에 빠르고 감도가 높은 기술을 모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기존의 PCR (polymerase chain reaction) 방법과 새로운 방법으로 시도된 DHPLC(denatur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방법으로 유전자재조합 콩을 확인하였다. DHPLC 방법은 기존의 PCR방법에서의 전기영동이 방법 대신 컬럼을 이용하여 분석할 수 있다. 때문에 분석시간도 60분에서 20분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검출한계도 PCR방법에서는 15 $ng/{\mu}L$$10^{-4}$ 농도까지 검출할 수 있었고, DHPLC 방법으로는 $15ng/{\mu}L$$10^{-5}$ 농도까지 검출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유전자재 조합 콩 검출법으로 DHPLC 분석법이 PCR 분석법보다 빠르고 정확한 효과적인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국내·외 식품용 유전자변형미생물 안전성 심사 현황 및 전망 (Status and prospect of safety evaluation of genetically modified microorganism (GMM) for domestic and foreign food application)

  • 김성보;김양희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52권2호
    • /
    • pp.153-170
    • /
    • 2019
  • 바이오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식품산업에서도 유전자변형미생물을 이용한 효소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이를 실제 산업에 이용하기 위한 식품 및 식품첨가물에 대한 적합한 법적 규제수준과 심사관리 현황에 대한 사례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식품 생산을 목적으로 한 유전자변형미생물의 심사 승인사례는 총 6건으로 그 용도가 기능성 감미료 제조에 국한되어 있다. 생산공정이용 또는 밀폐환경이용을 목적으로 개발한 유전자변형미생물이더라도 식품에 적용하는 경우 안전성 심사 시 환경위해성 심사를 포함해야 하며,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식품 및 식품첨가물은 식품원료 등의 한시적기준 심사를 별도로 진행해야 한다. 반면, 해외에서 유전자변형미생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제품을 단순 수입 판매하고자 하는 경우 최종 제품에 대한 심사만 요구되고 있어, 국내에서 직접 제조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 비하여 인허가 심사에 소요되는 비용 기간에서 유리한 구조이다. 기술 선진국인 미국 유럽은 직접 섭취가 아닌 식품가공을 목적으로 하고 최종 제품에 유전자변형 미생물 및 유래물질이 잔존하지 않을 경우, 다양한 법규 제도를 통하여 합리적인 수준에 안전성 심사의 기준을 세분화하고 단계별로 완화하고 있다. 이러한 제도적 장치들은 '제조'의 관점에서 자국의 개발자가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기술 상업화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데 크게 기여한다. 국내에서도 2013년부터 안전등급 1등급에 해당하는 유전자변형미생물을 생산공정에만 이용하는 경우는 안전성 평가 자체보다는 밀폐시설의 설치 및 운영을 체계화하는데 중점을 두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보완 제도는 아직까지 산업용 LMO에 국한하여 시행되고 있어, 앞으로 그 범위를 식품용 LMO까지 확대하기 위한 산 학 연의 관심과 논의가 필요하다. 본 기고문에서는 식품용 유전자변형미생물의 국내와 선진국의 심사사례, 법규체계 및 심사기준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하여 국내 관련 법규제도개선의 기회를 마련하고자 한다.

유전자재조합식품(GMO)에 대한 소비자 정보요구도 연구 (A Study on Consumers' Information Demand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GMO))

  • 박혜영;김시월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75-189
    • /
    • 2005
  • This study analyzed the degree of demand for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GMOs)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consumers' reasonable purchase decision making and their right to know about GMOs. Based on the (Ed-there are no study results above) study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 were made. First, throughout the survey, it was found that those consumers who participated had a high level of perception on the harm of GMOs. Therefore, reliable organizations such as government agencies are required to present the results of safety tests and formulate plans related to the safety of GMOs. Second, the average score on consumers' level of consumer knowledge on GMOs was very low, being 1.68 out of a possible 8 points. Third, since women and housewives engaged in dietary habits and food had high demand for information on GMOs, it is necessary to provide women with information on GMOs. Fourth, since it is difficult to confirm the presence or absence of GMOs. in rapidly increasing demand for fast-food, it is necessary that consumers be provided with relevant information and make a reasonable judgement in purchasing food. Fifth, it is necessary to provide detailed regulations and measures for concrete contents and directions of information on GMOs. Sixth, it is necessary to provid information on GMOs from the commercial sources of information that are most preferred by consumers.

Allergenicity Assessment of Cry Proteins in Insect-resistant Genetically Modified Maize Bt11, MON810, and MON863

  • Kim, Jae-Hwan;Seo, Young-Ju;Kim, Ji-Young;Han, Young-Shin;Lee, Kwang-Shin;Kim, Sun-Ah;Kim, Han-Na;Ahn, Kang-Mo;Lee, Sang-Il;Kim, Hae-Yeo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5호
    • /
    • pp.1273-1278
    • /
    • 2009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potential allergenicity of Cry proteins in insect-resistant genetically modified (GM) maizes (Bt11, MON810, and MON863) using serum screening tests. Serum samples were obtained from Korean children (0-15 years old) with allergic symptoms who had positive maize-specific IgE. The levels of serum specific IgE was measured by the Phadia ImmunoCAP system and considered as positive when they are 0.35 kU/L or higher. Cry proteins (Cry1Ab in Bt11, mCry1Ab in MON810, and Cry3Bb1 in MON863) were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and purified for serum screening. The reactivity of purified Cry proteins was confirmed by IgE immunoblots in 50 patients (maize-sensitized patients). There was no reaction between Cry proteins and sera from maize-sensitized patients. Our results suggest that these Cry proteins are not likely to cause allergic reactions. Further studies using more sera from patients with true clinical allergies are needed to evaluate the potential allergenicity of novel proteins in GM maiz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