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as-Vent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8초

실내 가스 폭발시 폭발압력 방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losion Relief Venting in the Gas Explosion)

  • 오규형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71-77
    • /
    • 2005
  • This study aims to find the safe vent area to prevent a destruction of building by gas explosion in a building. Explosion vessel which used in this experiment is 1/5 scale down model of simple livingroom and its dimension is 100cm in length 60cm in width and 45cm in height. Liquified petroleum gas(LPG) was injected to the vessel to the concentration of 4.5vol%, and injection rate were varied in 1L/min or 4L/min. Gas mixture was ignited by the 10kV electric spark. For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vented explosion pressure according to the vent size and vent shape, its size and shape were varied. From the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explosion pressure in the vented explosion :in affected by the gas injection rate, vent area and vent shape. And the vent area to volume ratio(S/V) to prevent the building destruction by explosion pressure, it is recommended that the design of vent area happened by the explosion should be above 1/500cm in S/V. And if the vent area has complicate structure in same area, vented explosion pressure will be higher than a single vent, and possibility of building destruction will increase. Therefore to effectively vent the explosion pressure for protect a building and residents from the gas explosion hazards, the same vent area should have a singular and constant shape 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vessel.

LPG용 압력방출밸브 방출관 설치기준 개선방안 (A Study on Standards for Pressure Relief Valve Vent Pipes from LPG Storage Tanks)

  • 이진한;엄석화;김래현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59-64
    • /
    • 2012
  • LPG 저장설비에 부착된 압력방출밸브 방출관으로부터 분출된 가스의 확산에 대해 검토하였다. 통상 방출관은 안전한 장소인 수직 상방향으로 분출되도록 설치되어야 하며, 방출된 가스가 착화되더라도 저장탱크, 장치, 배관에 화염이 닿지 않도록 설치되어야 한다[1][2].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방출구를 통한 분출방향에 대한 기준이 없이 다양한 방출구 형태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4가지 방출방향 즉 수직상방, 수직하방, 수평 2, 수직 4방향에 대해서 고려하였다. 방출구로부터 분출된 가스의 확산 시뮬레이션은 상용소프트웨어인 FLACS를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수직하방, 수평 2, 수직 4방향으로 분출하도록 방출구를 설치하는 것은 지면에서의 착화를 방지하는 데 불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안전밸브로부터 분출된 가스를 방출구를 통해 안전하게 분출하기 위해서는 수직상방으로 분출되는 것이 최선임을 알 수 있었다.

밀폐공간에서 파열면에 따른 가스폭발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gas explosion with vent area)

  • 김상섭;채재우;조영도;장기현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53-60
    • /
    • 2003
  • 보통 가정이나 건물에서 화재 및 가스에 의한 사고 중에 가스의 폭발에 의한 사고는 폭발과 동시에 발생하는 압력 때문에 발생하는 건물의 붕괴로서 많은 인명피해 및 재산상의 손해를 가져온다. 이와 같은 2차적인 피해를 막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건물의 폭발시 발생하는 개구부의 크기 및 형태에 따른 모델을 선정하여 건물의 체적대비 개구부 면적에 따른 압력변화를 실험을 통하여 개구부의 면적 비를 도출하였으며, 개구부 형태에 따른 압력실험을 통하여 최소의 압력으로 피해을 막을 수 있는 모델을 선정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건물의 설계시 안전율을 고려하여 개구부의 면적 및 형태를 선정함으로써 2차 피해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벤트 현상 및 크기에 따른 가스폭발 특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A Experiment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Gas Explosion due to Vent Shape and Size)

  • 채수현;정수일;이영순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8-44
    • /
    • 2006
  • The majority of both small and large-scale experiments on gas explosion have been carried out in the explosion instruments with cylindrical tubes of a high length/diameter ratio and vessels of a high height/length ratio, focusing on investigating the interaction between propagating flame and obstacles inside the tubes or vessel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is a strong interaction between the propagating flame and turbulence formed after the flame passes the obstacle. However this paper focuses on analyzing the pressure impact or profile outside the vent in vented gas explosion in a partially confined chamber by performing gas explosion experiments in a reduced-scale experimental assembly properly constructed. This study has considered eight different cases in gas explosion based on variation of three kinds of parameters such as height of vessel, shape of the vent and vent size, and reveals that the large vessel with big size circle vent is more danger to the target than others because the overpressure is spread out faraway horizontally and vertically.

밀폐공간에서 가스폭발에 의한 개구발생 후의 압력변화에 대한 해석 (Analysis of the Pressure Behavior with the Partial Rupture in Closed Vessel During Gaseous Explosion)

  • 윤재건;조한창;신현동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40-47
    • /
    • 1999
  • A numerical study on gaseous explosion was carried out to predict the transient pressure behavior with the partial rupture in confined vessels. Equations, assumptions and solutions for central ignition of premixed gases in closed spherical vessels are proposed with various equivalence ratios of gas fuel, as $CH_4$ and $C_3H_8$, vent areas and vent opening pressures. Given vent opening pressure in a vessel, the magnitude of second peak pressure results from the vent areas and burning velocity, varied by equivalence ratio of gas fuel. In a living room of an apartment, the higher second peak pressure than the vent pressure is not appeared due to its large window areas. As vent opening pressure is higher, the larger damage by gaseous explosion is expected and the larger vent area is necessary for relieving the damage. In the same concentration, the gaseous explosion by propane rather than methane shows the larger damage due to its higher adiabatic flame temperature and equivalence ratio.

  • PDF

신발금형의 가스 배출량 측정 장치와 영상정보를 이용한 가스벤트 자동 교환 시스템의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gas measurement system in shoes mold and automatic gas-vent exchange machine with computer vision)

  • 권장우;홍준의;윤동업;최흥호;길경석
    • 센서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0-27
    • /
    • 2006
  • This paper presents a gas measurement system for deciding hole positions on a PU middle-sole mold from computed gas amount. The optimal number of holes and their positions on the shoe mold are decided from statistical experiment results to overcome the problem of excessive expenses in gas vent exchange. This paper also describes a gas vent exchange mechanism using computer vision system. The gas hole detecting process is based on computer vision algorithms represented as a simple Pattern Matching. The experimental result showed us that the system was useful to calculate the number of holes and their positions on the shoes mold.

쓰레기 매립지 가스 포집관에서 가스조성에 따른 계측오차의 최소화 (Minimizing the Measurement Error from Gas Compositions of Gas Vent in Sanitary Landfill)

  • 이해승;이문형
    • 환경위생공학
    • /
    • 제17권1호
    • /
    • pp.28-35
    • /
    • 2002
  • 본 연구 목적은 계측저항이 없는 열선유속계를 이용하여 매립지 가스의 유량을 산정할 때 가스조성에 의해 발생되는 계측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하였다. Rotor meter와 가스조성 밀도를 이용하여 산정한 관 중심유속을 계측저항이 없는 열선유속계를 이용하여 구한 관 중심유속을 비교함으로서 계측오차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열선 유속계와 rotor meter를 이용한 매립지 가스유속 계측오차의 최소화 방안을 통하여 매립지 가스유량의 오차 범위를 10% 이내로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쓰레기 매립지에서 가스유출 계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umerical Calculation of Gas Migration from the Sanitary Landfill)

  • 이해승
    • 환경위생공학
    • /
    • 제13권3호
    • /
    • pp.43-51
    • /
    • 1998
  • This study presents a numerical method for calculating gas flow around a sanitary landfill gas vent, when gas flows by pressure. The method described is a three-dimensional compartmental model and includes methods to determine the dimensions for the model. Using the numerical method, controll of press and gases flowing out to the air through final cover soil, and degine of sanitary landfill gas vents.

  • PDF

영상정보를 이용한 가스벤트자동교환 장치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Gas-Vent Automatic Exchange Machine with Vision System)

  • 권장우;홍준의;윤동업;길경석;이동훈;노태정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1141-1149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신발금형의 가스벤트 착탈 작업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한 가스벤트 착탈위치 탐색과 정밀 제어로 착탈 작업을 수행하는 교환 장치의 두 가지 기술을 다루고 있다. 이 두가지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핵심적인 이슈는 신발 금형의 가스벤트 교환 위치의 중심을 어떻게 하면 정확하게 찾아내는가이다. 이러한 자동 교환 장치의 사용은 가스벤트 착탈 시간을 줄이며 아울러 노동력의 절감 제품의 생산에 드는 비용을 최소화하는 등의 여러 가지 이점을 가져다 준다. 이 장치를 사용하여 실험을 통해 검증한 결과 가스벤트 교환 장치의 사용이 더 안정적이고 효율적이며 착탈 시간을 줄여 공정시간을 단축하는 것을 증명할 수 있었다.

멤브레인형 LNG선박 화물탱크 벤트 마스트 출구에서의 BOG 확산 특성에 관한 연구 (An Examination on the Dispersion Characteristics of Boil-off Gas in Vent Mast Exit of Membrane Type LNG Carriers)

  • 강호근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25-231
    • /
    • 2013
  • 일반적으로 액체가스운반선은 인화성 화물이나 독성물질을 운반한다. 이러한 화물들은 폭발, 화재 및 인명손상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액체가스운반선의 거주구역, 서비스 구역 및 통제실은 가스의 유입이 원천적으로 차단되도록 설계한다. 이러한 이유로, IMO IGC 코드의 멤브레인형 LNG선박의 화물탱크에 설치되는 벤트 출구의 높이는 노출갑판상 B/3 또는 6m 중 큰 것 이상으로 하고 작업구역 및 전후부 통행로, 갑판상의 저장탱크 및 화물설계 액위보다 6m 이상 높게 설치하여야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또한 LNG 시장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면서, LNG선박의 크기도 증가해 왔다. 때문에 현 규정에 의하면 LNG선박의 벤트의 높이는 선박 폭(B)에 비례하기 때문에 상당히 높아져야 할 것이며, 이는 높은 벤트 마스트(Mast)로 인하여 작업의 어려움 및 전방 시야를 방해하는 등 항해의 어려움을 초래한다. 본 연구에서는 멤브레인형 LNG선의 Sea-trial시에 측정하였던 데이터 및 CFD유동해석을 통해 LNG선박 화물탱크의 벤트 출구의 높이에 대한 적합성 평가를 수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