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me for learning

검색결과 614건 처리시간 0.024초

제주 곶자왈 숲 자연 놀이 체험 학습이 초등학생의 환경 감수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Nature Game Experience Learning on Schoolchild's Environmental Sensitivity Change in Jeju Gotjawal Forest)

  • 고성우;홍승호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3권3호
    • /
    • pp.97-114
    • /
    • 2010
  •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and apply a Nature Game program for the ecological experience learning in Jeju Gotjawal forest and analyze the environmental sensitivity change of the students. The results obtained in 4th graders of A elementary school of Seogwipo-city a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attention, susceptibility and practice will of environment protection for forest environment of the experimental clas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mparison class. And it was found that interest and curiosity into forest environment were also elevated in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evaluation, suggesting that we could get the effect of developed Nature Game program on ecological experience learning. If various ecological experience learning programs considering the regional-specific characteristics are developed to cause students' interest and curiosity, students would come to participate in the protection activity of environment aggressively a little more.

  • PDF

협동학습을 위한 교육용 온라인 게임 연구 (Study on Educational On-line Game for Collaborative Learning)

  • 노창현;이완복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4권3호
    • /
    • pp.49-54
    • /
    • 2004
  • The social interest for collaborative teaming and educational game has been increased.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the educational value of collaborative teaming and game. Based on this investigation, we propose an educational on-line game model for collaborative teaming. Although the proposed model is still conceptual design, it sufficiently shows that on-line RPG game can be a good collaborative teaming method for young children. We will perform a comparison study on the teaming achievement between the two methods: 1) the on-line game proposed in this paper, 2) the conventional educational method performed in normal school.

  • PDF

초등학생의 에너지 절약 실천을 위한 교육용 Game Design 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al Game Design for Practicing Energy Saving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박현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14-20
    • /
    • 2019
  • 에너지 절약은 자원의 부족 및 한정성으로 그 중요성이 더욱 증가 하고 있는데 반해 교육 현장에서 에너지 절약에 대한 학습 현황은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초등교육에서 에너지 절약에 관한 교육은 실천으로 연결되지 못하여 교육 효과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 도구로 여러 가지가 활용되고 있지만 해외 산업분야에서 에너지 절약을 위한 게임화 전략의 성공 사례가 다수 소개 되고 있음에 착안하여 에너지 관련 교육을 게임을 통해 할 수 있도록 게임 디자인을 제안한다. 에너지 절약은 실천을 하지 않으면 효과를 볼 수 없기 때문에 교실에서의 지식 전달 위주의 학습보다 게임을 도구로 활용한 학습이 효과가 높을 것으로 기대 된다. 에너지 절약 교육용 게임을 디자인하기 위해 선행 연구에서 제안된 교육용 게임의 재미 요소인 미션수행 요소, 점수 획득 요소, 시간제한 요소, 캐릭터 요소를 활용하여 교육용 디펜스 게임을 디자인하였다.

예측 정보를 이용한 Q-학습의 성능 개선 기법 (A Strategy for improving Performance of Q-learning with Prediction Information)

  • 이충현;엄기현;조경은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105-116
    • /
    • 2007
  • 게임 환경에서의 학습은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학습이 게임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산출하기까지는 많은 학습 시간이 요구된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학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방법론들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예측 정보를 이용한 Q-학습의 성능개선 방안을 제안한다. Q-학습 알고리즘에서는 Q-테이블의 각 상태별 선택된 액션을 참조한다. 참조한 값은 예측 모듈의 P-테이블에 저장되고, 이 테이블에서 출연 빈도가 가장 높은 값을 찾아 2차 보상 값을 갱신할 때 활용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은 상태내의 전이가 가능한 액션의 수가 많을수록 성능이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험결과로 실험 중반 이후부터 제안한 방식이 기존 방식보다 평균 9%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

  • PDF

수학과 기하영역 학습을 위한 온라인 RPG 교수 게임의 설계 (A Design of Instructional On-Line RPG for The Learning of Geometry in Mathematics)

  • 유승한;이재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321-328
    • /
    • 2001
  • 일반적으로 학습을 게임과 접목한 프로그램들은 대부분 오프라인을 기반으로 제작되어왔다. 하지만 최근 인터넷 기술의 급격한 발달로 인하여 웹을 기반으로 한 학습 프로그램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개인 학습을 위한 기존의 오프라인 게임을 온라인에 기반한 학습용 게임으로 제작한다면 보다 많은 학생들이 쉽게 교육용 게임을 접할 수 있으며 오프라인에서와는 달리 경쟁 및 보상 개념의 도입이 쉬우므로 학습자들의 학습 의욕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수학과 도형수업을 수준에 맞게 학습할 수 있는 온라인 롤플레잉 게임을 설계하여 보았다. 초등학생을 위한 수학 온라인 롤플레잉게임은(Mathematical On-line Roll playing gam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은 기존의 온라인 롤플레잉게임의 특성을 학습의 요소와 대응시키고 개인의 학습 의욕을 학업 능력치 등으로 나타냄으로써 학습자들의 자발적인 학습을 유도하였다.

  • PDF

지식의 학습효과와 파급효과에 따른 선.후발기업의 생산전략 분석 (A Two Stage Game Model for Learning-by-Doing and Spillover)

  • 김도환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61-69
    • /
    • 2001
  • This paper presents a two stage game model which examines the effect of learning-by-doing and spillover. Increases in the firm’s cumulative experience lower its unit cost in future period. However, the firm’s rival also enjoys the experience via spillover. Unlike previous theoretical research model, a cost asymmetric market entry game model is developed between the incumbent firm and new entrant. Mathematical results show that the incumbent firm exploits the learning curve to gain future cost advantage, and that the diffusion of learning to the new entrant induces the incumbent firm to choose decreasing output strategically. As a main result, we show that the relative magnitude between the learning and spillover rate determines the market share ratio of competing firms.

  • PDF

통합교과로서의 게임 프로젝트 교육과정 운영방안 탐구 (A Study of Game Project Curriculum for Integrated Subject)

  • 최승관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111-122
    • /
    • 2016
  • 본 연구는 이질적인 속성을 가진 학문분야들을 통합하여 하나의 교육과정으로 운영하는 프로젝트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운영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통합교과의 의미는 게임 현장에서처럼 게임 기획, 프로그램, 그래픽과 같은 이질적인 분야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실제적인 하나의 결과물을 만들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되는 프로젝트 중심의 교육과정에 대한 운영방안은 국내에서 2008년도부터 A 교육기관에서 진행해온 게임 프로젝트 교육과정을 토대로 실증 및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통합교과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젝트 교육과정에 대한 운영 방안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내용을 분류하여 구성하고 있다. 첫 번째는 학생들이 교육과정을 통해 "책임감" 및 "협업 능력"과 같이 학습되어지는 내용들에 대한 부분들을 정리하고 있으며, 두 번째로는 성공적인 프로젝트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 단계별로 진행되는 팀 구성, 프로젝트 계획, 팀 운영 및 협업, 중간 및 기말 발표, 그리고 평가 부분에 대한 운영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제안된 운영방안이 통합 교과로서의 프로젝트 교육과정을 운영하는데 있어서 하나의 밑거름 및 가이드라인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미적분학 수업에 그룹게임을 적용한 협동학습 사례 (A Case Study of Cooperative Learning: Applying Group Game to Calculus Class)

  • 조영;김미라
    • 공학교육연구
    • /
    • 제24권4호
    • /
    • pp.41-51
    • /
    • 2021
  • This paper is to study whether cooperative learning applying group games becomes a teaching method that can increase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class in calculus and the effect of the number of students. To increase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class, the researcher conducted cooperative learning by applying smartphones and various game tools to group games. The consequence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students'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the class increased regardless of their mathematics basic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calculus which is difficult for students to understand will be more easily approached by cooperative learning applying group games in the future.

Vidyanusa Mathematic Learning Systems Based on Digital Game by Balanced Design Approach

  • Ramdania, Diena Rauda;Prihatmanto, Ary Setijadi;Kim, Myong Hee;Park, Man-Gon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603-611
    • /
    • 2016
  • Educational games offer an opportunity to engage and inspire students to take an interest in every subject material in school. The "fun" obtain when playing games become a trigger for the use of games in learning. However, there are doubts whether the players actually learn while they are having fun. Vidyanusa is an Online Mathematics Education Game being developed by Crayonpedia Education Ecosystem in Indonesia. The learning goal of Vidyanusa is to engag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learning mathematics. In this paper, we design the Vidyanusa game material Functions and Relations by using Balanced Design Approach. This approach has three models in succession; the Content Model outlines the purpose of the game, the Task Model maps out the mission, and the Evidence Model outlines student measurement. This paper will then discusses the quality of games produced in term of Usability factor for effective results and objective. The measurement of the game was carried out based on International Standard ISO/IEC 9126-1 FDIS about Software Quality Product.

과학 학습 기능성 게임 개발 과정에서 개발자가 겪는 어려움과 대처 방법 (Resolution Methods for Developer's Difficulties in the Serious Game Developing Process for Science Learning)

  • 황현정;이창훈;전영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21-132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학습 기능성 게임 개발 과정의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과학 학습 기능성 게임 개발 과정에서 개발자가 겪는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구안하는데 있다. 시나리오 개발자인 교사 3명 및 게임 개발자 3명과의 심층 면담을 통해 과학 학습 기능성 게임 개발 과정에서의 어려움에 대한 양측의 관점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시나리오 개발자 3명으로부터 '게임 개발 과정'과 '개발된 게임에 대한 의견' 자료를 받아 분석하였다. 과학교육 기능성 게임 개발 과정에서 개발자가 겪는 첫 번째 어려움은 게임의 구현에 관한 인식인데, 시나리오 개발자는 게임의 구현 기술에 대해 다소 과도한 기대를 가지고 있었지만, 게임 개발자의 입장에서는 주어진 자원과 시간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부분이었다. 두 번째 어려움은 게임 구현 방법에 대한 것인데, 시나리오 개발자와 게임 개발자 사이의 활발한 의사소통 및 밀접한 상호작용이 예상했던 것보다 더 크게 요구되었다. 이에 대한 해소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나리오 개발자와 게임 개발자는 '기능성 게임'과 '학습 이론'에 대해 이해해야 한다. 둘째, 주어진 인적, 물적 자원의 한계를 분명히 인식한다. 셋째, 학습콘텐츠 저작 도구를 사용하여 시나리오 개발자가 게임 개발자의 역할을 병행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 한다. 넷째, 개발 단계에서 시나리오 개발자와 게임 개발자간에 지속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시나리오를 구체적이고 세부적으로 작성 한다. 여섯째, 시나리오 개발자와 게임 개발자의 협업을 지휘할 총괄책임자를 지정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