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Study of Cooperative Learning: Applying Group Game to Calculus Class

미적분학 수업에 그룹게임을 적용한 협동학습 사례

  • Cho, Young (School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Ulsan College) ;
  • Kim, Mi-ra (School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Ulsan College)
  • 조영 (울산과학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
  • 김미라 (울산과학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 Received : 2021.05.28
  • Accepted : 2021.07.27
  • Published : 2021.07.31

Abstract

This paper is to study whether cooperative learning applying group games becomes a teaching method that can increase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class in calculus and the effect of the number of students. To increase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class, the researcher conducted cooperative learning by applying smartphones and various game tools to group games. The consequence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students'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the class increased regardless of their mathematics basic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calculus which is difficult for students to understand will be more easily approached by cooperative learning applying group games in the future.

Keywords

References

  1. 강숙현.이석순(1989). 구성주의 프로그램에서의 수교육 활동에 관한 연구. 광주보건전문대학논문집, 14(1), 525-544.
  2. 강시경(2014). 영어 듣기 학습 자료로서 QR 코드 활용 사례연구. 외국학연구, 30, 11-37.
  3. 강이철(2012).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의 입문. 양서원.
  4. 강인해.임병노.박정영(2012). 스마트 러닝의 개념적 구성과 교육학습 전략 탐색. 교육방법, 24(2), 283-303. https://doi.org/10.17927/TKJEMS.2012.24.2.283
  5. 고광미.김정준(2019). 그룹게임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6(1), 15-35.
  6. 김동철.박종태(2014). 수업 중 학생의 중집력에 대한 시간에 따른 분석. 서비스연구, 4(2), 11-19.
  7. 김순란.한지혜(2010). 그룹게임을 통한 수학 활동이 유아의 수학 개념에 미치는 영향. 교육이론과 실천, 20, 5-30.
  8. 김순희.한승국(2003). 중학교 수학과 학습부진아의 효과적인 지도에 관한 연구: 소집단 협동학습을 통한 자체학습 효과에 대해. 교과교육연구, 24(1), 27-62.
  9. 김응태(1997). 수학교육학개론. 서울대학교출판부.
  10. 김정희.조완영(2006). 고등학교 학생들의 미적분 개념 이해 및 오류유형 분석. 과학교육연구논총, 22(1), 87-97.
  11. 김태진(2014). 스마트폰과 QR코드를 활용한 러시아어 수업모델. 노어노문학, 26(2), 3-34.
  12. 김형택(2010). 찍어라 그러면 반응할 것이다 : QR 코드 기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 월간 유통저널 ISSN 1228-8098.
  13. 남승인(2001). 수학 학습에서 게임의 활용. 과학.수학교육연구, 24, 21~50.
  14. 노규성.주성환.정진택(2011). 스마트러닝의 개념 및 구현 조건에 관한 탐색적 연구. 디지털정책연구, 9(2), 79-88.
  15. 박은경 외(2008), 게임기반학습(Game Based Learning)을 통한 수학교과 학습부진아 지도의 근거 이론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8(2), 181-201.
  16. 박철환(2018). 대학기초수학. 북스힐.
  17. 변영계 외(1998).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정민사.
  18. 성영욱.신경순(2001). 소집단 학습을 통한 수학과 학습부진아 지도방안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4(2), 125-134.
  19. 심상길.고애영(2019). 고등교육 환경 변화에 따른 대학 교양수학 개선 방안. 교양교육연구, 13(4), 143-160.
  20. 양승경(1983). 그룹게임을 통한 아동의 인지발달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1. 와이티엔(2007). Retrieved from, https://www.ytn.co.kr/_ln/0103_200712040107359234.
  22. 이경우(2019). AItleo 구성주의 놀이의 귀환. 2019년 구성주의 유아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5-12.
  23. 이상희.안성희(2016). 고등학생의 수학 자기효능감, 수학불안, 수학태도의 따른 수학 진로선택. 청소년학연구, 23(6), 1-26.
  24. 이재호.김성일(2015). 플립러닝이 수학 교과의 학업 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창의정보문화연구, 1(2), 65-73.
  25. 임걸.이동엽(2012). 스마트폰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및 학교정책 개선방안 연구. 디지털정책연구, 10(9), 47-57.
  26. 임지연.김도현(2012). 게임을 활용한 수업이 수학학습 부진아들의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성향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14(1), 125-145.
  27. 정원희.정영지(2010). QR-Code를 이용한 U-learning 학습보조시스템설계. 한국멀티미디어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607-610.
  28. 최영환(1998). 우리의 것을 찾아 가르치자.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프로시딩> 7, 101-107.
  29. 최은미(2012). 협동학습이 사회적 심리적 유익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51(1), 63-76.
  30. 최재붕(2019). 포노사피엔스. Sam & Parkers.
  31. 홍예윤.임연욱(2016). 대학기초수학 수업에서 스마트폰을 활용한 시각적 의사소통이 수학교육에 미치는 영향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4(10), 53-60. https://doi.org/10.14400/JDC.2016.14.10.53
  32. 황정규(1985). 학교 학습과 교육평가. 교육 과학사.
  33. Davidsom. N.(ed.)(1990). Cooperative Learning in Mathematics; A Handbook for Teachers. Addison-Wesley.
  34. Heembree, R.(1990). The nature, effects, and relief of mathematics anxiety.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1(1), 33-46. https://doi.org/10.2307/749455
  35. Kamii. C., & DeVries, R.(1980). Group Games in early education; Implication of Piaget' Theory. Washington, DC; NAETC.
  36. Slavin, R. E., & Karweit, N. L.(1981). Cognitive and affective outcomes of an intensive student team learning experience.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50, 29-35. https://doi.org/10.1080/00220973.1981.11011797
  37. Slavin, R. E., & Karweit, N. L.(1984). Mastery learning and student teams: A factorial experiment in urban general mathematics calsse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1(4), 725-736. https://doi.org/10.3102/00028312021004725
  38. Solomon, D., Watson, M., & Battistich, V.(2001). Teaching and schooling effects on moral prosocial development. In V. Richardson(ed.).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4th ed. pp.566-603). Washington, D.C.: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39. Vera John-Steiner(2001). "Arerword: Vygotskan Approaches to Mathematical Education", Vygotskan의 심리학과 수학교육. 대한수학교육학회(제 32회 수학교육학 집중세미나).
  40. Wood, R. E. & Locke, E. A.(1987). The relationship of self-efficacy and grade goals to academic performance.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47, 1013-1024. https://doi.org/10.1177/0013164487474017
  41. Zarch, M. K. & Kadiva, P.(2006). The role of mathematics self-efficacy and mathematics ability in the structural model of mathematics performance. WSEAS Transactions on Mathematics, 6, 713-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