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me contents

검색결과 1,722건 처리시간 0.03초

클라우드 게임산업 동향분석 및 전망에 관한 연구 - 디바이스, 플랫폼, 콘텐츠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rend Analysis and Future Prospects of Cloud Game Industry - Focus on Device, Platform, Contents -)

  • 두일철;백재용;신현욱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181-195
    • /
    • 2014
  • The game Industry has been a major leader in business world with its size and volume in terms of profit and culture contents, and ever increasing at the moment. Cloud Game has appeared as a new, combined game format, playable on smart TV and smart phone with its upgraded storage size and fast spreading N-screen. This research studies the present reality of the cloud industry by focusing on three categories which are device type, Platform, and game contents consequently in order to determine the future prospect of cloud games. First, the cloud game business will thrive as devices such as smart TV and smart phone are used widely. Second, the cloud game industry will have a new era when OS systems of Platform are united effectively. Third, the previous platform holders will have to face new challenges brought up by cloud games' service providers. Forth, the gamer, developer, and service provider need each other in order to widen the spectrum of business in cloud game industry.

Design Strategy for the Implementation of Cooperative Group Games in Motion Based Arcade Game System

  • Joh, Yun-Sook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7권4호
    • /
    • pp.10-18
    • /
    • 2011
  • Cooperative Group Games (CGG) emphasize participation, challenges and fun by cooperation among group members rather than competition. CGGs have been proven to be an efficient education method that teaches the value of cultivating cooperation skills, discipline, and sense of public order for tackling problems together through various types of interactions. When integrated with computer game technology, the general classic CGG can be reborn with new educational and entertaining aspects. To combine the joy of physical movement of group games and the richness of computer game contents, a motion based arcade CGG has been develop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original ideas and structures of classic off-line CGGs. While implementing the classic game concepts in arcade environment, various design attributes have been considered and applied, which were supposed to promote cooperative game play. Overall, the process of the implementation and test results of our four CGGs suggest several design strategies for effective arcade CGGs.

A Study on the Effective Production of Game Weapons Using ZBrush

  • YunChao Yang;Xinyi Shan;Jeanhun Ch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2호
    • /
    • pp.397-402
    • /
    • 2023
  • With the rapid adoption of 5G, the gaming industry has undergone significant innovation, with the quality of game content and player experience becoming the focal point of attention. ZBrush, as a professional digital sculpting software, plays a crucial role in the production of 3D game models. In this paper, we explore the application methods and techniques of ZBrush in game weapons production through specific case analyses. We provide a detailed analysis of two game weapon models, discussing the design and modeling process, lowto-high poly conversion, UV unwrapping and texture baking, material texture creation and optimization, and final rendering. By comparing the production process and analyzing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ZBrush, we establish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further design research and provide reference materials for game industry professionals, aiming to achieve higher quality and efficiency in 3D game model production.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를 위한 크로스 플랫폼 게임 개발 환경 (Cross Platform Game Development Environment for PMP)

  • 이야리;김정숙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377-383
    • /
    • 2007
  • 기존의 PMP용 컨텐츠는 동영상 위주의 서비스를 제공하여 왔다. 그러나 모바일 기기 사용자의 급격한 증가는 다용도 컨버전스라는 요구를 불러왔으며 다용도 컨버전스 가능 제품들이 등장함에 따라서 적합한 컨텐츠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휴대용 컨버전스인 PMP의 컨텐츠들 중에서도 주요 킬러 서비스로 부각되는 컨텐츠인 게임 응용 프로그램을 주제로 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손쉬운 개발 환경을 설계하였다. 한정된 PMP 입력 장치의 특성에 맞는 게임은 단순한 블록 게임 등이 있으나 지속적인 성능 향상이 기대되므로 게임 컨텐츠를 쉽게 개발할 수 있는 환경 또한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PMP 게임 개발을 위한 독립적인 크로스 플랫폼 환경을 제안하여 PMP 사용자들에게 친숙하고 수준 높은 게임 컨텐츠들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

게임이론을 활용한 MMORPG 아이템 제작 콘텐츠 분석: 'World of Warcraft'의 가죽세공 전문기술을 중심으로 (Analysis of MMORPG's Item Crafting Contents Using Game Theory: Leatherworking in 'World of Warcraft')

  • 구자원;문은정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3-26
    • /
    • 2020
  • 본 연구는 MMORPG의 커뮤니케이션 활성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제작 콘텐츠를 분석하였다. 게임 월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조합하여 4가지 상황을 설정하였다. 각 상황에 따른 가상 플레이어가 선택하는 행동의 집합을 플레이어 시나리오로 정의하였다. 그 결과 콘텐츠 활용 편향성과 기술 숙련의 진입장벽 등의 문제를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MMORPG 개발 단계에서 적용 가능한 기초적인 분석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과 제작 콘텐츠 설계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를 밝혔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문화콘텐츠의 원소스 멀티유즈를 통한 수출활성화방안 - 게임.애니메이션.캐릭터산업을 중심으로 - (Export Promotion Plans of Digital Culture Contents based on the OSMU Strategy - Focused on Game, Animation & Character Industry -)

  • 원민관;이호건
    • 통상정보연구
    • /
    • 제6권3호
    • /
    • pp.297-318
    • /
    • 2004
  • This paper examines export promotion plans of digital content industries, particularly of game, animation & character industry based on the OSMU(One-source Multi-Use) strategy. As the digital content industry is one of the newest industries as a source of strategic export, we must promote the export of digital contents that hold so much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nd through that promotion, we have to strengthen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 power. The game, animation & character contents are very easy to adapt each other for creating new contents by omnidirectional OSMU. Therefore, it is intended to present some primary factor for export promotion of game, animation & character contents through the OSMU strategy.

  • PDF

제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게임 산업의 사회 및 문화적 쟁점 (Social and Cultural Issues in Game Industry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이창섭;이현정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73-82
    • /
    • 2018
  • 제 4차 산업혁명으로 일컬어지는 첨단기술 주도의 시대적 상황 속에서 게임 산업의 시장성은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왔으며, 미래에 대한 전망이 밝다. 그러나 국내 게임 산업은 여전히 사회 문화적 이슈로 인하여 산업 활성화에 제약을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 게임 산업이 마주하고 있는 사회 문화적 장벽수준을 파악하고자, 게임이용자에 대한 편견과 게임콘텐츠의 성 상품화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응답자의 대부분이 여전히 남성 게임이용자 중심이었던 과거 게임시장의 편견에서 벗어나고 있지 못하였으며, 게임콘텐츠의 성 상품화가 게임 산업을 저해하는 요인으로서 이에 대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한국 게임산업의현황과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법과 제도를 중심으로 (Studies on the development scheme and the current state of Korea Game Industry)

  • 김재성;이태영;김태규;정형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호
    • /
    • pp.439-447
    • /
    • 2015
  • 국내 게임산업은 산업 특성상 매우 중요하고 차세대의 문화 산업으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였으나, 게임심의와 관련된 문제와 함께 최근 청소년 보호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셧다운 제도와 인터넷게임중독예방법안 등 다양한 제도적이고 법적인 문제의 대두와 함께 산업계의 정체가 큰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고자 게임산업의 현황과 이와 연관된 제도적이고 법률적인 문제점을 연구하였으며, 다양한 연구를 분석하여 그 해결책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게임 산업발전에 있어 향후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법 제도 정비에 대한 고려사항이 필수적이고, 효율적인 부서편성을 통해 게임산업 육성에 대한 정부지원이 이루어져야 하며, 신속한 의사결정을 위해서 게임산업을 책임지는 주무부서가 전체를 총괄하여 효율적 배분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Cognitive process to evaluate serious games for the elderly

  • Kim, Sung-Jin;Kim, Mi-Ji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6권3호
    • /
    • pp.30-37
    • /
    • 2010
  • This paper aims to propose a cognitive evaluation model to be utilized in designing game devices and developing relevant software with the purpose of the prevention of dementia of the elderly among various types of serious games for the elderly intending to improve their physical, mental or social capability. Firstly, a serious game for the elderly has been developed based on the guidelines of the areas pertaining to existing hardware, software and contents. Secondly, a pre-experiment of the game targeting specialists has been conducted in order to re-establish a cognitive evaluation model for the developed result. Thirdly, the cognitive evaluation model for the serious game for the elderly that intends to improve their cognitive capacity has been materialized based on the experiment results. Given the fact that the scope of game contents, most of which used to be focused on teenagers, have been gradually expanding to cover wider range of social classes than ever b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tilized as a model that can verify the games and their contents with special purposes based on the cognitive evaluation of the users.

WIPI 기반 모바일게임 시스템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ystem for the Mobile Game based on WIPI)

  • 송은지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261-266
    • /
    • 2005
  • 최근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급속한 확산과 모바일 단말기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모바일 서비스 구현을 위한 갖가지 콘텐츠의 개발이 활발하다. 모바일 서비스는 언제, 어디서나 누구에게나 유연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특징을 기반으로 기존의 유선 서비스로는 접근이 제한되는 곳까지 보편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WIPI(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를 기반으로 남녀노소 모두 쉽게 조작하고 어디서나 즐길 수 있는 모바일 게임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동통신 업체들이 같은 플랫폼을 사용하도록 한 WIPI로 개발된 게임은 이동통신사에서 동일하게 서비스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기존 게임의 WIPI 전환이 일반화 되고 있는 만큼 신규 WIPI 게임 콘텐츠 개발은 시장성이 높아 그 의의가 크다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