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it

검색결과 2,433건 처리시간 0.037초

소셜로봇을 위한 사회적 거리를 고려한 새로운 보행자 회피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a New Pedestrian Avoidance Algorithm considering a Social Distance for Social Robots)

  • 유주영;김대원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734-741
    • /
    • 2020
  • 본 논문은 인간과 공존하고 커뮤니케이션하며, 인간에게 심리적 안전거리(사회적 거리) 침해에 따른 스트레스를 유발하지 않는 소셜로봇을 위한 새로운 보행자 회피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보행자 모델을 새롭게 정의하기 위해 보행자의 걸음걸이 특성(직진성, 속도)에 따라 보행자를 클러스터링하며 보행자 클러스터별 사회적 거리를 정의한다. 정의된 사회적 거리를 포함하도록 보행자(장애물) 모델링을 하고, 새롭게 정의된 보행자 모델에 상용화된 장애물 회피, 경로계획 알고리즘을 적용해 통합된 주행 알고리즘을 완성한다. 새로운 알고리즘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상용화된 대표적 두가지 장애물회피 경로계획 알고리즘인 DWA 알고리즘과 TEB 알고리즘을 활용한다. 본 논문의 핵심 알고리즘인 새로운 보행자 모델을 적용한 경우와 적용하지 않은 경우로 구분하여 그 효용성을 평가한다. 그 결과, 새롭게 제안된 알고리즘이 이동시간의 손실 없이 보행자의 스트레스 지수를 현격하게 줄일 수 있음을 보인다.

측위 정확도 향상을 위한 복합 IPS 시스템 설계 (Design of complex IPS system to improve positioning accuracy)

  • 이현섭;김진덕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1917-1922
    • /
    • 2017
  • WPS는 현실세계에 산재한 무선 신호를 활용하여 측위를 수행한다. 측위 위치의 무선 신호 정보를 수집하여 radio map을 구성하는 구축단계, 구성된 정보와 수집된 무선 신호를 비교하는 측위 단계로 나누어진다. WPS는 측위 시 수집된 신호에 변화가 나타날 경우 측위 정확도의 하락을 가지고 온다. PDR은 관성 센서들을 활용하여 보행자의 걸음걸이 수, 이동거리, 방향을 분석하여 최종 이동지를 분석하는 시스템이다. WPS의 측위 결과가 두 개 이상의 위치로 나타날 경우 측위 정확도의 문제로 판단할 수 있다. 몇몇의 조건에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앞서 언급한 문제점이 발생하는 상황에 대하여 분석하고 이를 PDR을 통해서 보정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제안한다. 이 복합측위를 적용할 경우 WPS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도 측위 정확도를 유지하거나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RM Cortex-A9 Platform기반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Navigation System 구현 (Navigation system for the people who are visually impaired using ARM Cortex-A9 Platform)

  • 임익찬;김영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3-95
    • /
    • 2013
  • 기존의 시각 장애인들을 위한 보행 보조도구는 초음파, 혹은 RFID 태그를 이용한 간단한 장애물을 식별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는 인식거리가 짧아 명확한 안내가 불가능하고, 돌발 상황에 취약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ARM Cortex-A9 Platform기반의 Portable Navigation System과 Service Center를 구현하여 시각장애인의 보행을 돕고자 한다. Service Center에는 노인을 적극 고용하여 노령 인구의 증가에 따른 해소 방안도 제공한다. 시각 장애인이 소지하고 다닐 수 있는 형태의 Navigation System은 Camera, GPS, Audio, Ethernet 등의 장치를 탑재하고 있어 시각장애인의 위치에서 보이는 영상과 GPS 정보, 음성을 TCP/IP를 통해 서비스 센터로 실시간 전송한다. 서비스 센터의 직원은 전송 받은 정보를 모니터링하며 시각 장애인과 대화형식을 통해 길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 PDF

Effects of amygdalin on the functional recovery and c-Fos expression in the ventrolateral periaqueductal gray region after sciatic crushed nerve injury in rats

  • Kim, Toung-Wook;Lim, Hyung-Ho;Song, Yun-Kyung;Kim, Sung-Eun;Lee, Jin-Woo;Lee, Myoung-Hwa;Seo, Jin-Hee;Shin, Mal-Soon;Lim, Baek-Vin;Kim, Chang-Ju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7권5호
    • /
    • pp.556-563
    • /
    • 2008
  • Peripheral nerve injuries are a commonly encountered clinical problem and often result in a chronic pain and severe functional deficits. The expression of c-Fos is sometimes used as a marker of increased neuronal activity. We have prepared the aqueous extract of amygdalin from Armeniacae semen for pain control.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mygdalin on the recovery rate of the locomotor function and on the expression of c-Fos in the ventrolateral periaqueductal gray (vlPAG) region following sciatic crushed nerve injury in rats. Walking track analysis for the evaluation of functional recovery and immunohistochemistry for the c-Fos expression were used in this study. In the present results, characteristic gait change with dropping of the sciatic function index (SFI) was observed and c-Fos expression in the vlPAG was suppressed following sciatic crushed nerve injury in rats. Amygdalin enhanced SFI value and restored c-Fos expression in the vlPAG to the control value. The present our study indicated that amygdalin activates neurons in the vlPAG, and it facilitates functional recovery following peripheral nerve injury.

백팩 착용시 모멘트 팔의 길이가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moment arm length of backpacks on balance and walking while carrying a backpack)

  • 인태성;장상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418-424
    • /
    • 2019
  • 백팩은 한쪽 어깨에 매는 가방에 비해 척추에 대칭적으로 무게분산이 가능하지만, 무게중심이 뒤쪽으로 이동하게 하여, 체간이 전방굴곡되는 자세 변형을 야기한다. 본 연구는 모멘트팔의 길이차이에 따른 가방 착용 시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확인하였다. 정형외과적 손상 및 신경학적 손상이 없는 정상 성인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는 1) 백팩 미 착용, 2) 일반적인 백팩, 3) 모멘트 길이를 감소시킨 백팩의 3가지 조건에서 각각 균형 및 보행을 측정하였다. 자세동요면적과 속도에서 백팩 미착용과, 일반적인 백팩, 특수 백팩의 3가지 조건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백팩의 모멘트팔의 길이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양하지 지지기와 보행속도는 백팩 미착용과, 일반적인 백팩, 특수 백팩의 3가지 조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양하지 지지기에서만 백팩의 모멘트팔의 길이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백팩 착용시 모멘트팔의 길이 변화가 보행에 도움이 될 수 있었다.

스마트폰에서 가속도 센서와 진동 센서를 이용한 PIN 입력 기법 (Technique for PIN Entry Using an Accelerometer Sensor and a Vibration Sensor on Smartphone)

  • 정창훈;장룡호;양대헌;이경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6권12호
    • /
    • pp.497-506
    • /
    • 2017
  • 스마트폰의 가속도 센서로 사용자의 걸음이나 행동을 분석하여 사용자 인증을 하는 연구는 이전에도 있었으나, PIN 입력에 적용하기에는 사용자 편의성이 낮아서 부족한 면이 있었다. 이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의 스크린을 직접 터치하는 것이 아니라, 스마트폰의 진동 센서와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PIN을 입력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우리는 제안한 기법을 이용하여 사용성 실험을 진행하였고 사용자가 이 기법에 익숙해짐에 따라 사용성이 높아진다는 것과 그로인해 평균 12.9초, 100%의 확률로 PIN을 입력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보안성 실험을 통해 공격자가 촬영 공격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공격했을 때 공격 성공률이 0%이였다는 것과 그로인해 기존에 존재하는 PIN 입력 기법보다 안전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충분히 사용될 수 있는 기법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노인의 발 인체 측정 및 형태분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thropometric measurement and Type classification of Foot for the Elderly.)

  • 정석길;이상도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2호
    • /
    • pp.95-105
    • /
    • 2001
  • 인간의 발 형태와 보행특성은 보행습관과 질병에 의해 변형되어진다. 특히, 노인의 발은 장단기의 신발 착용이나 퇴행성관절염으로 인해 심한 발의 변형이 나타나, 청 장년층과는 발의 형태나 유형이 다르다. 그러므로 노인신발 설계 및 화형개발을 하기 위해서는 노인발의 정확한 인체 측정치와 발 형태분석 및 유형분류가 필요한 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인신발 제작에 노인 발의 인체 측정치의 부재로, 청·장년충의 형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 업계의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적 노인신발 제작을 위하여 발의 49개 인체 측정부위를 남녀노인 총 252명을 대상으로 하여 측정하였고, 발 너비 대 길이지수와 족선각을 이용하여 형태 및 유형 을 분류,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의 발은 젊은 청년에 비하여 가늘고 긴, 즉 세장화 경향을 보인다. 이는 고령 남성보다도 여성에게 더 두드러진다. 본 연구는 노인신발 설계를 위해 화형개발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인간공학적 노인신발을 디자인하는데 활용되리라 생각된다.

  • PDF

Parry-Romberg syndrome with ipsilateral hemipons involvement presenting as monoplegic ataxia

  • Lee, Yun-Jin;Chung, Kee-Yang;Kang, Hoon-Chul;Kim, Heung Dong;Lee, Joon Soo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8권9호
    • /
    • pp.354-357
    • /
    • 2015
  • Parry-Romberg syndrome (PRS) is a rare, acquired disorder characterized by progressive unilateral facial atrophy of the skin, soft tissue, muscles, and underlying bony structures that may be preceded by cutaneous induration. It is sometimes accompanied by ipsilateral brain lesions and neurological symptoms. Here we present the case of a 10-year-old girl with right-sided PRS and recurrent monoplegic ataxia of the left leg. At 4 years of age, she presented with localized scleroderma over the right parietal region of her scalp; her face gradually became asymmetric as her right cheek atrophied.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revealed hemiatrophy of the face and skull base, and T2-weighted images showed increased signal in the right hemipons and hemicerebellar peduncle.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findings were unremarkable. She was treated with oral prednisolone, and her recurrent gait ataxia diminished within 2 months of the follow-up period.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only the second case of PRS presenting with an abnormal involvement of the ipsilateral hemipons.

The Effect of Inspiratory Muscle Training on Respiratory Function in Stroke Patient

  • Jung, Nam Jin;Ju, Jung Yeol;Choi, Seok Ju;Shin, Hyung Soo;Shin, Hee Joon
    • 국제물리치료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795-801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an inspiratory muscles training program's therapeutic effects on stroke patients' respiratory function. For the purpose, this study targeted 20 stroke patients being hospitalized in K hospital in Daegu, and diveded the patients into the both groups of Inspiratory muscle training(IMT) group and control group, randomization. The 10 patients in the IMT group was applied the inspiratory muscles training. The control group was composed of other 10 patients. IMT group was given a inspiratory muscle training program for 30 minutes per times, 5 times a week for 6 weeks. The investigator measured the patients' respiratory function compared changes in the function and ability before and after the IM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vestigating the inspiratory muscle training group's lung functions, there appeared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ests the FVC(Forced vital capacity), FEV1(Forced expired volume in one second)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p<.05), but the control group had no significant in the same tests before and after(p<.05). The differences in the both groups after depending the inspiratory muscles training were significantly found in the tests of FVC, FEV1, FEV1/FVC(p<.05). The maximum inspiratory pressure showed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spiratory muscle training group(p<.05), but didn'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rol group(p>.05). Conclusionally, it will be judged that the inspiratory muscles training program will improve stroke patients' respiratory function, and it is considered that will move up stroke patients' gait and body function.

Effect of Dual Task Training in Visual Control and Unstable Base on the Gait of Stroke Patient

  • Lee, Sa Gyeom;Kim, Yang Rae
    • 국제물리치료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788-794
    • /
    • 2015
  • This study examines changes in walking ability among patients with stroke after applying dual-task training under the condition of visual control and unstable supporting ground; the purpose is to provide reference data for selecting intervention methods that enhance the walking ability of patients with stroke. Among the patients with stroke who received rehabilitation treatment(at Rehabilitation Hospital B in Gyeonggi, South Korea from May 2014 to July 2014), 29 patients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all of them understood the purpose and contents of this research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experiment. The research subjects were divided into a visual control and unstable supporting ground dual-task(VUDT) group(10 patients), a visual control dual-task(VDT) group(10 patients), and an unstable supporting ground dual-task(UDT) group(9 patients); all of the subjects received 30-minute trainings, three times a week for a total of four weeks. A Timed-Up-and-Go(TUG) test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walking function among the subjects, and a 10m walking test was conducted to measure their walking speed.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all three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fter dual-task training; the dual-task training group under the condition of visual control and unstable supporting ground showed the most prominent change. This study confirmed that dual-task training using visual control and unstable supporting ground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walking ability of patients with stroke. Through the study results, we found that implementing dual-task training under the condition of visual control and unstable supporting ground can more effectively improve the walking ability of patients with stroke, rather than performing visual control dual-task training or unstable supporting ground dual-task training on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