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SSG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25초

숫컷 생쥐에서 타우린 투여에 의한 간내 글루타치온의 감소 (Reduction of Hepatic Glutathione by Acute Taurine Treatment in Male Mice)

  • 이선영;곽혜은;김영철
    • 약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18-223
    • /
    • 2003
  • Effect of taurine treatment on metabolism of glutathione (GSH) was studied in adult male ICR mice. An acute injection of taurine (250 mg/kg, ip) resulted in a significant decline of hepatic GSH level at t = 6 hr, but plasma GSH level was not altered. The activity of GSH-related enzyme in liver, such as GSH peroxidase, GSSG reductase, GSH S-transferases, ${\gamma}$-glutamylcysteine synthetase or ${\gamma}$-glutamyltranspeptidase, was not affected by taurine at t = 2.5 or 6 hr. Plasma cysteine and cystine levels were elevated rapidly following taurine treatment. Hepatic cysteine level was decreased by taurine, reaching a level approximately 70% of control at t = 4 and 6 hr. I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an acute dose of taurine decreases hepatic GSH level by reducing the availability of cysteine, an essential substrate for synthesis of this tripeptide in liver. It is also suggested that taurine may decrease the cysteine uptake by competing with this S-amino acid for a non-specific amino acid transporter.

Changes of Thiols and Oxidative Stress in Tomato Seedlings Exposed to Cadmium

  • Cho, Un-Haing;Seo, Nam-Ho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1호
    • /
    • pp.61-67
    • /
    • 2006
  • Tomato (Lycopersicon esculentum Mill) seedlings exposed to various concentrations of $CdCl_2(0{\sim}100{\mu}M)$ in a nutrient solution for up to 9 days were analyzed with respect to the thiol changes and oxidative stress. The Cd exposure increased total non-protein thiols (NPT) and cysteine in both leaves and roots, total glutathione in leaves, and the ratios of oxidized glutathione (GSSG)/reduced glutathione (GSH) in both leaves and roots, but decreased the ratio of dehydroascorbate (DASA)/ascorbate(ASA) in leaves.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Cd-induced GSH depletion due to thiol synthesis and oxidation alters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eedlings for $H_2O_2$, and the subsequent $H_2O_2$ accumulationand oxidative stress result in phytotoxicity.

청국장 식이 보충이 당뇨 쥐의 산화적 스트레스와 항산화 영양소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ungkukjang supplementation on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 nutrients of diabetic rats induced by streptozotocin)

  • 박현숙;공현주;이언희;최은미;장정현;이명희;홍주연;황수정;정현아;양경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81-289
    • /
    • 2015
  • 본 연구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당뇨병의 예방과 관리에 대한 청국장과 블랙푸드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대두청국장, 약콩청국장 그리고 블랙푸드를 첨가한 약콩청국장 분말을 식이에 첨가하여 STZ로 유도된 당뇨쥐에게 7주간 급여한 후 지질과산화물 함량, 항산화 효소 및 항산화 영양소 상태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당뇨로 인하여 혈청과 간조직 내 증가된 지질과산화물 함량은 대두 및 블랙푸드가 첨가된 약콩청국장 공급군에서 p<0.05 수준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항산화 효소 중에서 당뇨 유도로 혈청 내 catalase 활성은 변화 없었으나 SOD 활성은 감소되었으며, 이때 약콩청국장의 공급으로 SOD 활성이 유도되었다. 항산화 영양소 중에서 혈청 내 retinol 함량은 당뇨 유도로 낮아졌지만 약콩청국장의 공급으로 7.5배 가량의 증가 현상을 보였고, 간 조직 내 retinol과 ${\alpha}$-tocopherol 함량은 세종류의 청국장의 공급으로 높일수 있었다. 당뇨 유도로 낮아진 간 조직 내의 GSH/GSSG와 비장 조직의 anthocyanin 함량은 약콩청국장, 그리고 혈청 내 총 항산화능은 블랙푸드 청국장의 공급으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당뇨병이 유발되었을 때 산화적 스트레스 지표인 지질과산화물 함량은 증가된 반면에, 항산화 효소인 catalase 및 SOD 활성과 항산화 영양소인 retinol, ${\alpha}$-tocopherol, GSH/GSSG, TAC 및 anthocyanin 함량이 낮아졌다. 그러나 세종류의 청국장이 당뇨쥐의 산화적 스트레스 반응과 항산화 영양소 상태에 긍정적인 반응 효과를 보였다. 이를 기반으로 향후 당뇨병의 예방과 관리를 위한 건강 기능성 식품으로서 청국장 및 블랙푸드의 활용 방안에 대한 좀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고지방식이 흰쥐에서 산초나무 Butanol 및 Methylene Chloride 분획의 항혈전 및 항염증 작용 (Anti-Thrombogen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olvent Fractions from Leaves of Zanthoxylum Schinifolium (Sancho Namu) in Rats Fed High Fat Diet)

  • 장현서;이순재;우미희;조성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0권7호
    • /
    • pp.606-615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in vitro에서 검색된 산초나무 잎의 용매분획의 항혈전 및 항염증작용을 in vivo에서 확인하고자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흰쥐에게 n-butanol 분획과 methylene chloride분획을 1일 50, 100, 150 mg을 4주간 경구투여 하였다. 혈장 APTT 및 TT는 정상식이군에 비해 고지방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고지방식이군에 methylene chloride분획 50 mg 이상 공급군은 유의적으로 증가되어 100 mg 이상 공급군은 정상식이군 수준이었다. 다형핵 백혈구 5#-lipoxygenase 활성과 leukotriene $B_4$ 함량이 정상식이군에 비해 고지방식이군에서 증가되었으며, 5#-lipoxygenase 활성은 두 용매 분획을 100 mg 이상 공급한 군들이 모두 감소하였다. 백혈구의 leukotriene $B_4$ 함량은 n-butanol 분획에 의하여 역시 100 mg 이상 공급으로 감소하였으나 methylene chloride 분획에 의하여는 150 mg 공급군에서만 감소하였다. 간 조직 마이크로솜의 cytochrome $P_{450}$ 함량은 정상식이군에 비해 고지방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며, 두 용매분획의 투여로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butanol 분획 150mg 투여군에서만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간 조직 $O_2^-$M의 함량과 $H_2O_2$ 함량도 정상식이군에 비해 고지방식이군에서 증가되었으며, butanol 분획 100 mg 이상투여로 $O_2^-$의 함량이 감소하고 methylene chloride분획 100 mg이상에서 $H_2O_2$ 함량이 감소하였고 두 용매 분획을 150 gm 이상 투여하였을 때는 $O_2^-$$H_2O_2$함량이 모두 감소하였다. 간 조직 GST 활성과 GSH 함량 및 GSG/GSSG 비율은 정상식이군에 비해 고지방식이군에서 감소되었으며, 두 용매 분획 150 mg 투여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나 GSG/GSSG 비율은 100 mg이상 투여로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산초나무 잎의 methylene chloride분획은 고지방식이 흰쥐에서 혈행 장애와 염증 반응을 완화시키고, 간 조직에서의 자유라디칼 생성계를 약화시킬 뿐만 아니라, glutathione계의 환원상태를 유지시킴으로서 신체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으며 butanol 분획은 항혈전 효과를 제외한 항염증 및 항산화작용에 의한 신체 보호 작용은 기대된다. 이러한 활성을 이용하면 날로 증가되는 지방섭취량에 의한 만성퇴행성질환을 억제하는데 우수한 기능성식품 소재로써 활용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김치가 노화촉진 쥐 간의 유리기 생성 및 항산화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Kimchi Intake on Production of Free Radicals and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in the Liver of SAM)

  • 김종현;권명자;이소영;류재두;문갑순;최홍식;송영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09-116
    • /
    • 2002
  • 본 연구는 김치와 노화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AIN-76 마우스 식이에 배추, 갓김치, 갓배추김치를 각동결건조 김치를 5%씩 첨가하여 만든 후 김치식이를 노화촉진쥐인 SAMP8에게 1년간 섭취시키면서 간의 노화관련 특성인 유리기 농도와 항산화효소계의 효소활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노화촉진쥐 간의 총유리기, OH radical, $H_2O$$_2$그리고 TBARS 모두 가려에 따라 증가되었으며, 간에서 생성된 유리기 농도와 TBARS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김치섭취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p<0.05). 그러나 생성된 유리기를 제거하기 위한 SOD 활성은 오히려 김치섭취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며(P<0.05), catalase와 GSH-px, GSH/GSSG의 비율도 김치섭취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따라서 김치섭취는 노화에 따라 발생되는 간의 유리기 및 TB-ARS 생성은 억제시키면서, 이를 제거하는 항산화계 효소는 활성화시켜 노화를 억제한 것으로 생각된다. 김치종류 중에서는 배추김치보다 배추갓김치와 갓김치가 유리기 생성 억제 및 항상화 효소 활성을 더욱 증진시킨 것으로 관찰되어 이는 첨가된 갓의 항산화물질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김치가 노화촉진쥐 뇌의 유리기 생성 및 항산화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Kimchi on Production of Free Radicals and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in the Brain of SAM)

  • 김종현;류재두;이한기;박정희;문갑순;최홍식;송영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7-123
    • /
    • 2002
  • 본 연구는 김치가 노화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유리기 생성 및 항산화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배추김치, 배추갓김치 그리고 갓김치를 식이중량의 5% 첨가하여 실험식이를 제조하고 이를 녹화촉진주인 SAMP8에게 1년간 섭취시켰다. 총유리기, OH radical, $H_2O_2$ 농도 그리고 TBARS 오 모두 가령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김치섭취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p<0.05). 김치군에 있어서 생성된 유리기를 제거하기 위해 항산화계 효소인 SOD, catalase, GSH-px 그리고 GSH/GSSG는 모든 김치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 하였다(p<0.05). 따라서 김치섭취는 먼저 가령에 의해 생성되는 유리기의 생성은 억제시키면서, 둘째 이를 제거하기 위한 항산화계 효소 활성은 더욱 활성화시키므로써 항노화 기능을 발휘한다고 생각된다. 김치종류 중에서는 배추갓김치와 갓김치가 배추김치보다 유리기 생성을 억제하고, 항산화계 활성을 증진시킨 것으로 보아 이들의 항노화 효과가 클 것으로 생각된다.로 생각된다.

소토사자환이 ob/ob mouse의 혈당, 고지혈증, Polyol Pathway 및 항산화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tosajahwan on Blood Glucose, Hyperlipidemia, Polyol Pathway and Antioxidative Mechanism in ob/ob Mouse)

  • 박성호;정지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1163-1169
    • /
    • 2007
  • Effects of Sotosaja hwan on Blood Glucose, Hyperlipidemia, Polyol Pathway and Antioxidative Mechanism in ob/ob Mouse Diabetes is a disease in which the body does not produce or properly use insulin. Etiological studies of diabetes and its complications showed that oxidative stress might play a major role. Therefore, many efforts have been tried to regulate free oxygen radicals for treating diabetes and its complications. Sotosaja-hwan has been known to be effective for the antiaging and composed of four crude herbs. In male ob/ob mouse in severe obesity, hyperinsulinemia and hyperlipidemia, which are features of NIDDM, the hyperglycemic activites and mechanisms of Sotosaja-hwan were examined. Mice were grouped and treated for 5 weeks as follows. Both the lean (C57/BL6J black mice) and diabetic (ob/ob mice) control groups received standard chow.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fed with a diet of chow supplemented with 30 and 90 mg Sotosaja-hwan per 1 kg of body weight for 14 days. The effects of Sotosaja-hwan extract on the ob/ob mice were observed by measuring the serum levels of glucose, insulin, lipid components, and the kidney levels of superoxide anion radical $({\cdot}O_2)$, MDA+HAE, GSH/GSSG ratio, and also the enzyme activities involved in polyol pathway. Sotosaja-hwan lowered the levels of serum glucose and insulin in a dose dependent manner.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free fatty acid levels were decreased, while the HDL-cholesterol level was increased, in Sotosaja-hwan treated groups. Renal aldose reductase and sorbitol dehydrogenase activities were increased in the ob/ob mice, whereas those were inhibited in the Sotosaja-hwan-administered groups. Sotosaja-hwan inhibited the generation of ${\cdot}O_2$ in the kidney. Finally, MDA+HAE levels was increased and GSH/GSSG ratio was decreased in the ob/ob mice, whereas those were improved in the Sotosaja-hwan-administered groups. Sotosaja-hwan showed the antidiabetic and anti hyperlipidemic activities by regulating the activities of polyol pathway enzymes, scavenging reactive oxygen species and reducing the MDA+HAE levels in the ob/ob mice.

포도박이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흰쥐의 지질 산화와 항산화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Grape Pomace on Lipid Oxidation and Related Enzyme Activities in Rats Fed High Fat Diet)

  • 장선화;최수경;서정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2권5호
    • /
    • pp.415-42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포도박이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흰쥐의 효소 활성과 지질과산화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포도박의 생리활성과 자원화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하였다.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흰쥐에게 포도박 실험식이를 급여한 후 혈청, 간조직 중의 지질과산화물 함량, glutathione 함량과 간조직 효소 활성을 측정하였다. 포도박 첨가군의 식이섭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하였고, 체중증가량의 실험군 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식이효율은 고지방식이군이 정상식이군 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지질과산화물 함량은 혈청의 경우 정상식이군에서는 포도박 첨가에 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고지방식이군에서 함량이 증가되었고 포도박 첨가에 의해 감소되었다. 간조직과 간 microsome에서는 포도박을 첨가한 군이 각각의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간조직 내의 총glutathione 함량과 GSH/GSSG 비는 포도박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간조직의 SOD 활성은 정상식이군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고지방식이에 포도박을 첨가한 군이 고지방대조군에 비하여 활성이 유도되었다. 간조직의 catalase 활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포도박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G6Pase 활성은 포도박의 첨가로 인하여 대조군보다 활성이 증가하였지만 실험군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GST와 GSH-Px 활성은 정상 식이군에서는 변화되지 않았으나 고지방식이에 포도박을 첨가한 군이 고지방대조군 보다 효소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식이섬유와 폴리페놀 성분을 다량 함유한 포도박 식이는 체내 항산화계를 활성화함으로써 지질 산화와 관련성이 높은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되었다. 포도박의 이러한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결과는 향후 포도 가공 중에 얻어지는 포도박 폐기물을 자원화 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이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운동요법이 비만여대생의 혈청지질 및 항산화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xercise Therapy on Serum Lipid Level and Antioxidants of obese College Female Students)

  • 정은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832-845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exercise therapy on serum lipid levels and antioxidants of obese and normal college female students. The subject group composed of ten normal-weight students(below 30% body fat ratio) and ten obese students(above 30% body fat ratio). After a pilot test, the subjects were given an eight-weeks exercise program.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program, the subjects were given test for serum lipid and antioxidants were analyzed. The SAS program was used in the data analysis. The statistical measurements employed here were T-test, Wilcoxon signed rank test, and Wilcoxon rank sum tes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 effects of exercise therapy on serum lipid levels : Before the exercise therapy, the levels of Total-cholesterol, Triglyceride and LDL-cholesterol of the obese group were highier than those of the normal-weight group. However, the HDL-cholesterol levels were highier in the normal-weight group than in the obese group, but thes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With the exercise therapy, the levels of Total-cholesterol increased gradually. The HDL-cholesterol increased gradually, the LDL-cholesterol level decreased in both groups, However, the Triglyceride level decreased in the obese group and increased in normal group,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2) The effects of the exercise therapy on serum antioxidants ; Before exercise therapy, the serum FR and GSSG levels of the obese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ier than those of the normal-weight group(p=0.00, p=0.04). The serum GSH level of the normal-weight group was highier than that of the obese group, and the serum MDA level of the obese group was highier than that of the normal-weight group. Again thes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With exercise therapy, serum FR level was reduced and serum GSSG level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th group(obese group p=0.01, normal-weight group p=0.01), The serum GSH level of the obese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p=0.01), and serum MDA level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obese group(p=0.01), but the difference in the normal-weight group was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show that regular exercise therapy reduces serum FR levels and activation of antioxidant systems, and suppress oxidative stress. These effects were slightly highier in the obese group than in the normal-weight group. The regular exercise therapy decreased the serum Triglyceride levels more in the obese group than in the normal-weight group. However the improvement of the serum lipid profile may require a longer exercise period than eight weeks. The results show that the exercise therapy was overall more effective in the obese group than the normal-weight group.

  • PDF

연골세포 및 관절연골의 노화 과정에서 세포내 항산화 인자들의 변화 (Change in the Levels of Intracellular Antioxidants during Aging of Articular Chondrocytes and Cartilage)

  • 김강미;김윤재;김종민;손동현;박영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8호
    • /
    • pp.888-894
    • /
    • 2019
  • 류마티스관절염(rheumatoid arthritis)과 골관절염(osteoarthritis) 같은 관절질환은 연골세포(chondrocytes) 감소와 관절연골(articular cartilage)의 분해를 수반한다. 최근, 연골세포의 활성과 연골 항상성(cartilage homeostasis)에 염증성 ROS (reactive oxygen species) burst 및 나이와 관련된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의 증가와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관절연골로부터 분리한 연골세포의 노화 과정과 나이대별 관절연골에서 항산화 인자들(antioxidants)의 변화를 조사함으로써, 연골세포와 관절연골의 노화 과정 동안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조직을 보호하는 항산화 인자들의 역할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쥐의 관절연골로부터 분리한 연골세포의 연속 계대배양을 통한 노화 과정에서 산화적 스트레스가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그리고, 노화 유도한 연골세포는 세포내 총 glutathione (GSSG/GSH) 양과 항산화 효소 superoxide dismutase (SOD)와 heme oxygenase-1 (HO-1)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다음으로, 나이대별 쥐로부터 분리한 관절연골에서 항산화 인자의 발현을 분석하였다. 항산화 인자 glutathione의 양은 40주령에서 발현이 가장 높게 관찰되었으며 72주령에 다소 감소하였고, SOD와 HO-1의 발현은 나이대별로 현저히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를 종합해 볼 때, 세포내 항산화 인자들은 과도한 양의 ROS에 반응하여 연골세포의 노화와 나이와 관련된 관절연골의 퇴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