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C/FID, GC/MSD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5초

GC 및 HPLC 비교분석에 기초한 차조기 종실내 tocotrienol 부재의 평가 (Absence of Tocotrienol Form of Vitamin E in Purple Perilla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Seeds Confirmed by Comparative Analysis Using HPLC and GC)

  • 이영상;김민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spc호
    • /
    • pp.115-120
    • /
    • 2008
  • 비타민 vitamin E 구성 성분으로 항산화, 항암, 고지혈증 개선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tocotrienol이 국내산 차조기에서 보고된 바, 존재 여부 확인을 위하여 국내수집 6종, 일본수집 8종 등 총 14종의 차조기 유전자원과 들깨 종실을 대상으로 HPLC 및 GC, GC/MS 비교 분석을 수행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순상의 HPLC 이용시 차조기에서 4종의 tocopherol 및 ${\beta}-tocotrienol$, ${\gamma}-tocotrienol$과 매우 유사한 머무름 시간의 발견되었다. 2. 그러나 동일 시료를 GC로 재분석한 결과 13개 차조기 유전자원에서 모두 4종의 tocotrienol과 일치하는 물질은 발견되지 않았다. 3. GC 이용시 ${\delta}-tocotrienol$${\gamma}-tocotrienol$과 유사한 머무름 시간의 peak가 검출되었으나 GC/MS를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 tocotrienol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4. 이상의 HPLC 및 GC 비교분석결과에 기초할 때, 차조기에는 tocotrienol류의 vitamin E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GC를 이용한 vitamin E isomer 분석이 HPLC 이용시 발생가능한 유사 머무름시간대 물질을 tocotrienol로 판단하는 오류 방지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사망사고 관련된 유해화학 물질 남용자들의 혈액 중 톨루엔과 부탄의 분석 (Analysis of Blood Toluene and Butane in Death Cases of Inhalant Abusers)

  • 김남이;양영근;정희선;박성우
    • 분석과학
    • /
    • 제12권6호
    • /
    • pp.577-582
    • /
    • 1999
  • 혈액 중에서 톨루엔을 HS-SPME 법을 이용하여 GC/MSD로 분석하였으며, 부탄가스류의 분석은 HS 법을 이용하여 CC/FID로 분석하였다. 우리 나라의 경우 지난 3년 동안 청소년들이 본드류나 부탄가스류 등을 흡입한 상태에서 사망한 경우가 총 75건이 발생하였다. 본드류를 흡입하다가 사망한 사람은 27명이었으며, 그 중에서 9명은 톨루엔 중독상태에서 자제력의 상실 등으로 인하여 고층에서 떨어지는 추락사를 하였으며, 이때의 혈중 농도 분포는 $1.3{\sim}21.6{\mu}g/mL$으로 상당히 높은 농도였다. 또한 부탄가스를 흡입하다가 질식 사망 또는 흡입 사망한 사람은 54명이었으며, 이 중에는 본드류와 부탄가스를 동시에 흡입하다가 사망한 6명도 포함되었다.

  • PDF

가소제가 검출된 PCV 식품용기에서의 식품유사침출 용매에 따른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 용출에 관한 연구 (Migration of di-(ethylhexyl)phthalate from PVC food packaging materials detected plasticizer into flood simulanting solvent)

  • 김일영;유인실;이정미;김성단;정소영;한상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및 심포지움
    • /
    • pp.127-131
    • /
    • 2002
  • 가소제가 검출된 PCV용기를 다른 식품유사침출용매(4%초산, 8%알코올, 50%알코올, 95%알코올, Heptane로 용출 실험한 결과, GC-FID와 GC-MSD(SIM Mode)에서 dimethyl phthalate(DMP), diethyl phthalate(DEP), 야-n-butyl phthalate(DBP), butyl benzyl phthalate(BBF), di(2-etylhexyl)phthalate (DEHP)의 분석한 결과 우수한 분리능력과 직선상을 보여주었다. 식품유사침출용매에 따른 전과정에 대한 각 프탈레이트 의 회수율을 시험한 결과. DEHP의 회수율은 4%초산에서 84.4 3.6%, 95%알코올에서 109.9$\pm$ 10.7%의 양호한 결과를 얻었으며, DEPH가 검출된 두 종류의 식품용기에서 식품유사침출용매에 따른 용출정도를 보기위해, 온도(2$0^{\circ}C$,6$0^{\circ}C$)와 시간(6시간,12시간,24시간,5일,10일)의 변화에 주어 실험한 결과, 도시락용기(1.10$\pm$0.18g,80$\mu\textrm{m}$ thickness)및 건어물용기(4.06$\pm$0.23g,240$\mu\textrm{m}$ thickness)모두 6$0^{\circ}C$ 95%알코올, 24시간에서 각각 1020.90 $\pm$ 10.15$\mu\textrm{g}$/g, 563.54 $\pm$ 5.60$\mu\textrm{g}$/dm$^2$, 73.51 $\pm$ 5.09$\mu\textrm{g}$/g 149.22$\pm$10.34$\mu\textrm{g}$/dm$^2$로 높았고, 시간경과에 따라 계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였다.

  • PDF

유통 PVC 식품포장재 중의 DEHP 함량(2000-2002년, 2004년) (Contents of Di-(2-ethylhexyl) Phthalate in PVC Food Packaging (In 2000-2002 and 2004))

  • 윤미혜;엄미나;김기철;정홍래;정일형;도영숙;김재관;김영숙;고환욱;손진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99-204
    • /
    • 2005
  • DEHP는 PVC의 유연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가소제로서 우리나라에서는 식품용 PVC제조시 사용을 금지하고 있으나 주변 환경으로부터 쉽게 오염될 수 있고 동일한 설비로 여러 용도의 PVC를 생산할 경우 혼입될 우려가 있어 안전성 확보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통 제품에 대한 모니터링을 위하여 2000년부터 2004년까지(2003년 제외)경기도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PVC 식품포장제를 대상으로 재질에 함유된 DEHP함량을 분석하였다. 2000년에는 총 47건 중 30건($63.8\%$)에서 $5.5\∼80.6\;g/kg$의 DEHP가 검출되어 유통 제품 대부분이 DEHP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검출된 제품은 대부분 한과류 용기로 나타났다. 2001년의 경우 DEHP검출 제품은 143건 중 56건($39.2\%$)으로 $1.3\∼82.8$ G/kg의 함량범위를 보였고 2000년과 마찬가지로 대부분 한과류 용기에서 DEHP가 검출 되었다. 2002년에는 88건 중 8건($9.1\%$)에서 $1.3\∼51.5$ G/kg의 범위로 DEHP가 검출되었고, 2004년에는 89건 중 1건 ($1.1\%$)에서 30.5 g/kg의 DEHP가 검출되었다. DEHP 검출을은 2000년 $63.8\%$, 2001년 $39.2\%$, 2002년 $9.1\%$, 2004년 $1.1\%$로 매년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이는 유통 PVC식품포장재에 대한 지속적인 수거$\cdot$검사와 제조업체에 대한 관리로 DEHP사용이 크게 개선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부·울·경에서 판매되는 도료 희석제의 구성성분 함량과 물질안전보건자료의 신뢰성에 관한 연구 (Benzene Contents and Reliability of Material Safety Data Sheets for Paint Thinners sold in Busan, Ulsan, and Gyeongnam)

  • 우성준;하권철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40-349
    • /
    • 2022
  • Objectives: The importance of MSDS is emphasized for communicating hazardous information due to the increase in the types and usage of chemical substa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reliability of MSDS by collecting and examining paint thinners commercially available in South Korea. Methods: Twenty-five paint thinners were purchased at paint stores and the provision of MSDS was check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the thinners using GC-MSD and GC-FID. Reliability was evaluated by the MSDS collection rate for the paint thinners and calculating the rate of matching between laboratory analysis results and the contents and composition of chemical constituents given in the MSDS. Results: Unlike a study conducted in 2006, MSDS were provided for all 25 thinners. As a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using GC-MSD, 104 chemical substances were detected. The substances with the highest detection rate were identified in the order of toluene, butyl acetate, acetone, xylene, and ethyl benzene. A component matching rate of 41% was found by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number of substances detected in laboratory testing and the number of substances listed in the MSDS. Benzene, a carcinogen not listed in the MSDS, was detected in two thinners produced by a small company. The detected benzene contents were 0.039 and 0.040%. When benzene is used, it should be strictly handled according to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However, since it is not listed on the MSDS, it is judged that benzene was not being managed as a carcinogen in the workplaces where it is used. Conclusions: Since the reliability of MSDS,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hazard communication, was evaluated to be low,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and continuously secure this reliability. In particular, carcinogens should be managed more strictly.

비극성용매 내의 벤젠 물질전달특성 (Mass transfer characteristics of benzene in nonpolar solution)

  • 최성우;김혜진;박문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605-610
    • /
    • 2002
  • The absorption of benzene in nonpolar solution was studied in a laboratory-scale of bubble column varying of gas flow rates and gas-to-liquid ratios. A bubble column had a 0.8∼l$\times$10$\^$-3/ m$^3$ total volume (height 1500 mm, diameter 50 mm). Solut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GC-FID and GC-MSD.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were to select the best absorption fluid and to evaluate the mass transfer characteristics under specific conditions of each absorpt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follow as: First, the heat transfer fluid is more efficient than the other nonpolar solution in removing VOC. Second, The benzene removal efficiency improved according to an increasing rate of gas flow. Also, volumetric mass transfer rate of column can be enhanced by increasing gas flow rate. Finally, the relation of gas flow rates, liquid amount, and volumetric mass transfer coefficient was obtained as follows. K$\_$y/a: 0.5906(V$\_$g//L)$\^$0.7611/ The following correlation of mass transfer coefficient and efficiency was proposed. v= 0.06078 K$\_$y/a$\^$0.2444/.

참기름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the Oil from Roasted Sesame Seed)

  • 하재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101-1104
    • /
    • 1997
  • 참기름의 향기성분을 dynamic headspace법으로 포집 한 다음 FID와 OD가 장착된 GC-MSD로 분석 하였다. 주요 향기성분으로는 methylpyrazine, acetic acid, 2-furan carboxaldehyde 및 2-furanmethanol 등 20종이 분리동정되었다. Sniffing test 결과 pyrazine류와 2-furan carboxaldehyde은 참기름의 좋은 향을 나타내었고 acetic acid와 2-furanmethanol은 참기름의 좋지않은 냄새로 밝혀졌다.

  • PDF

고상(固相) 미세 추출법에 의한 축산 관리시설에서 발생하는 악취성 가스 화합물의 정량적 평가 (Quantification of Odorants from Animal Husbandry using Solid-phase Microextraction)

  • 김재혁;최홍림;권소영;임홍래;;;박철휘;김현욱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58-164
    • /
    • 2006
  • 축산 관리시설로부터 발생하는 악취와 이를 저감하려는 연구들이 국내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축산 관리시설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주요 악취 기인 화합물 및 이들의 발생 메커니즘이 규명되어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 정확하고 객관적인 악취 화합물의 분석 기술이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상(固想) 미세추출법(SPME; Solid-phase microextraction)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대상 화합물을 흡착하고, GC/MSD 혹은 GC/FID를 이용하여 정량 분석하여 화합물의 손실을 최소화 하는 분석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의 대상 악취 화합물은 trimethylamine(TMA), carbon disulfide($CS_2$), dimethyl sulfide(DMS), dimethyl disulfide(DMDS), acetic acid(AA), propionic arid(PA) 그리고 n-butyric acid(BA)이다. SPME-GC 검정곡선의 직선성을 나타내는 결과로 TMA의 결정계수($R^2$)는 0.984(0.056-1.437), $CS_2$는 0.996(0.039-0.999), DMS는 0.994(0.029-0.756), DMDS는 0.995(0.024-0.623), AA는 0.992(0.068-1.314), PA는 0.955(0.047-0.940), 그리고 BA는 0.976(0.036-0.712)이었다. 분석 검출한계는 AA, PA, BA, TMA, DMS, $CS_2$, DMDS에 대하여 각각 5.67, 6.39, 5.78, 25.2, 0.098, 0.363, 0.099 ppbv이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을 이용하여 계사, 돈사 및 우사에서 발생하는 악취화합물을 정량 분석하였다. 계사 내부에서 DMDS를 제외한 모든 화합물이 검출이 되었는데, 문헌에서 보고된 human odor threshold를 초과하였다.

주조공정에서의 벤젠 발생원 규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dentification of Sources for Benzene Detected in the Casting Process)

  • 오도석;이성민;이병재;김영주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7-35
    • /
    • 2006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ources of benzene detected in airborne of casting workplace where benzene was not used as raw material. We have identified benzene by GC/FID and GC/MSD. In this pilot test, small size iron chamber(diameter 30 cm, height 20 cm) was used. As the raw materials, new sand, recovered sand, and mixed casting sand(new sand + solidifying agent + organic resin + coating material) was tested, respectively. In the new sand benzene was not detected, but in the recovered sand and the mixed casting sand was detected. Xylenesulfonic acid(solidifying agent), one of the mixed casting sand ingredients was thought to product benzene by thermal decomposition above $400^{\circ}$..., but the other raw materials(organic resin and coating material) were thought not to product benzene. In this experiment, the most of benzene by thermal decomposition was produced within 1 hour after pouring the iron solution($1560^{\circ}$...) in small size iron chamber. When the mixed casting sand with coating material was used, the concentration of the produced benzene was average 2.91 ppm(range 1.98~3.72 ppm), and without coating material, benzene concentration was average 0.11 ppm(range 0.08~0.14 ppm).

배경가스에 따른 Hexane의 전자빔 제어 연구 (A Study of Hexane Decomposition using Electron Beam Irradiation under Background Gases(Helium, Nitrogen, Oxygen, Air))

  • 김기준;박강남;김조천;선우영;손윤석;김기형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724-730
    • /
    • 2006
  • A study on the electron beam(E-Beam) decomposition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 under background gases(helium, nitrogen, oxygen, air) has been carried out. Hexane selected as aliphatic VOCs was irradiated with electron beam using a batch reactor in the dose range of $0{\sim}10kGy$ and at ambient temperature. The concentrations of Hexane were 140 ppmC, 300 ppmC and 600 ppmC, respectively. Irradiation treatment efficiency of Hexane was evaluated by the GC/FID, GC/MSD, and the by-products were analyzed by $CO/CO_2\;and\;O_3$ analyzers. In different concentration, the maximum degrees of Hexane decomposition at 10 kGy were 96.4%(140 ppmC), 88.3%(300 ppmC), and 49.9%(600 ppmC). It was found that the decomposition efficiency of Hexane was higher than that of toluene at the same conditions(140 ppmC). In addition, the formation of acetone, benzene, 2-hexanone, and 3-hexanone were observed after the treatment of Hexa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