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2/M

검색결과 19,694건 처리시간 0.044초

COHOMOLOGY AND TRIVIAL GOTTLIEB GROUPS

  • Lee, Kee-Young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185-191
    • /
    • 2006
  • This paper observes that the induced homomorphisms on cohomology groups by a cyclic map are trivial. For a CW-complex X, we use the fact to obtain some conditions of X so that the n-th Gottlieb group $G_n(X)$ is trivial for an even positive integer n. As corollaries, for any positive integer m, we obtain $G_{2m}(S^{2m})\;=\;0\;and\;G_2(CP^m)\;=\;0$ which are due to D. H. Gottlieb and G. Lang respectively, where $S^{2m}$ is the 2m- dimensional sphere and $CP^m$ is the complex projective m-space. Moreover, we show that $G_4(HP^m)\;=\;0\;and\;G_8(II)\;=\;0,\;where\;HP^m$ is the quaternionic projective m-space for any positive integer m and II is the Cayley projective space.

Soil Carbon Cycling and Soil CO2 Efflux in a Red Pine (Pinus densiflora) Stand

  • Kim, Choon-Sig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1호
    • /
    • pp.23-27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forest carbon cycling and soil $CO_2$ efflux rates in a 42-year-old pine (Pinus densiflora) stand located in Hamyang-gun, Korea. Aboveground and soil organic carbon storage, litterfall, litter decomposition, and soil $CO_2$ efflux rates were measured for one year. Estimated aboveground biomass carbon storage and increment in this stand were $3,250gC/m^2\;and\;156gC\;m^{-2}yr^{-1}$, respectively. Soil organic carbon storage at the depth of 30 cm was $10,260gC/m^2$ Mean organic carbon inputs by needle and total litterfall were $176gC\;m^{-2}yr^{-1}\;and\;235gC\;m^{-2}yr^{-1}$, respectively. Litter decomposition rates were faster in nne roots less than 2 mm diameter size ($<220\;g\;kg^{-1}yr^{-1}$) than in needle litter ($<120\;g\;kg^{-1}yr^{-1}$). Annual mean and total soil respiration rates were $0.37g\;CO_2m^{-2}h^{-1}$ and $2,732g\;CO_2m^{-2}yr^{-1}$ during the study period. A strong positive relationship existed between soil $CO_2$ efflux and soil temperature (r=0.8149), while soil $CO_2$ efflux responded negatively to soil pH (r=-0.3582).

피조개, Scapharca broughtonii (Schrenck) 정자의 냉장보존에 미치는 희석액의 효과 (Effect of Diluents on the Cold Storage of Sperm in Scapharca broughtonii (Schrenck))

  • 라성주;이성훈;고강희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45-149
    • /
    • 2010
  • 피조개, Scapharca broughtonii (Schrenck) 정자의 냉장보존을 위해 희석액에 따른 보존효과를 비교하였다. 피조개 정액을 채취하여 600 mM NaCl, Stein solution, 300 mM, 600 mM glucose (10 mM Hepes-pH 7.8), Ringer's solution (230 mM NaCl, 8 mM KCl, 2 mM $CaCl_2$, 3.7 mM $MgCl_2$, 0.2 mM $NaHCO_3$, 10 mM Hepes-pH 7.8), 20%, 25% ASW (NaCl 2.7 g + KCl 0.07 g + $CaCl_2$ 0.12 g + $MgCl_2$ 0.46 g + $NaHCO_3$ 0.05 g + distilled water 100 ml)를 각각 사용하여 $4^{\circ}C$에서 보관하였다. 피조개 정자의 보존효과는 정자의 운동성과 생존율로 평가였다. 피조개 정자는 Ringer's solution에서 7일간 냉장 보전하였을 때 운동성과 생존율을 가장 높았으며, 희석액의 적정 pH는 7.5 이었다.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한 탄소배출 평가기준 구축 및 평가방법 개발 (A Study on The Evaluation Criteria of Carbon Emiss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Method in Apartment House)

  • 최두성;전흥찬
    • KIEAE Journal
    • /
    • 제13권5호
    • /
    • pp.79-88
    • /
    • 2013
  • This study creates the evaluation criteria to analyze the $CO_2$ emission quantity in the complex of apartment house among domestic buildings and proposes how to calculate the $CO_2$ emission quantity by the only simple information of apartment house. The study shows that in order to create the index of carbon emission evaluation criteria, $CO_2$ emission quantity for its input materials in these 27 apartment houses are 445,412g-$CO_2/m^2$ for apartment building, 474,322g-$CO_2/m^2$ for the basement parking lot, 483,523g-$CO_2/m^2$ for welfare facility, 729,957g-$CO_2/m^2$ for sales facility, 743,560g-$CO_2/m^2$ for other facility, 26,782g-$CO_2/m^2$ for public facility, 43,659g-$CO_2/m^2$ for landscape, 1,113g-$CO_2/m^2$ for indoor facility, 11,251g-$CO_2/m^2$ for outdoor facility and 891g-$CO_2/m^2$ for common temporary based on the average $CO_2$ emission by facility. We can also see the analysis data that in case of using the selected factors only, the rate of error is 7.51% comparing with the emission quantity by using simplified LCA method this study suggests for the whole range of apartment houses and the rate of error is average 3.24% using selective and main materials. And this it is evaluated that we can get the result which is similar to the actual $CO_2$ emission quantity with only the simple information about the apartment house.

모시잎의 항산화 효과 및 암세포주에 대한 세포 독성 (Antioxidant Activities and Cell Viability against Cancer Cells of Adenophora remotiflora Leaves)

  • 김인숙;박권삼;유현희;신미경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84-394
    • /
    • 2009
  • 본 연구는 모시잎의 핵산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메탄올 분획물, 물 추출물에 대해 항산화성 효과와 BNLcl2 cell(인체 정상 간세포)의 세포독성 실험, A549 cell(폐암세포 주)와 Hep G2 cell(간암세포주)에 대한 항암성을 탐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시잎의 각 용매별 분획물 시료를 DPPHradical 소거능으로 항산화 효과를 검토한 결과, $SC_{50}$이 메탄올 분획물, 물 추출물, BHT가 각각 47.5 ${\mu}g$/mL, 74.6 ${\mu}g$/mL, 102.2 ${\mu}g$/mL로 나타나, 이들 모시잎 분획물은 합성항산화제인 BHT보다 항산화 활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헤모 글로빈 유도 linoleic acid의 산화 억제 활성을 측정한 결과에서도 메탄올 분획물과 물 추출물에서 $IC_{50}$이 메탄올 분획물, 물 분획물 120.8 ${\mu}g$/mL, 135.6 ${\mu}g$/mL로 BHT의 150.2 ${\mu}g$/mL보다 낮아 항산화 효과가 높았다. BNLcl2 cell(인체 정상 간세포)에서 대조군에 대한 모시잎의 용매 분획별, 농도별(1, 5, 10, 25, 50, 100, 250, 500, 1,000, 2,000 ${\mu}g$/mL)로 처리한 실험군의 세포 생존율의 저하를 알아본 결과, 물 분획물은 모든 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생존율의 저하는 없었으나, 핵산, 에틸아세테이트, 메탄올 분획물은 1,000 ${\mu}g$/mL 이상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p<0.01~p<0.001)인 생존율의 저하가 있어 세포독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암 활성은 A549 cell 폐암세포주에 대해 메탄올 분획물이 다른 분획물에 비해 폐암세포주 생존율을 억제시켜 500 ${\mu}g$/mL에서 대조군보다 생존율이 46%까지 낮아졌다. Hep G2 cell 간암 세포주에 대한 항암 활성이 A549 cell보다 높았으며, Hep G2 cell에 대한 항암 활성은 500 ${\mu}g$/mL에서 메탄올 분획물은 28%까지 생졸이 낮았으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30%, 물 추출물 36%, 핵산 분획물 52% 순이었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에 비추어 볼 때 모시잎은 산화와 변질의 원인이 되는 항산화 효과뿐만 아니라 폐암과 간암 세포의 성장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 메탄올 분획물과 물 분획물에서 함량이 높아 항산화 활성과 폐암 세포의 성장 저해 물질은 폴리페놀 계통일 것으로 생각되며, 간암 세포 성장 저해는 전체 유기 용매 분획물에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아 폴리페놀 계통 외에 다른 생리활성 물질이 있을 것으로 보여, 이들 물질에 대한 추후 연구가 요구되며, 앞으로 식품뿐만 아니라 의약품의 원료 및 첨가물 등 다양한 제품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

화순너릿재 터널내의 대기오염성분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Air Pollution Component in Hwasoon Nulitjae Tunnel)

  • 신대윤;송금섭;김정규;송연호;임만택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52-57
    • /
    • 199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ir pollution in Hwasoon Nulitjae tunnel for two months, from August 1992 to September 1992. The total suspended particles were collected by high volume air sampler at inside and outside of Hwasoon Nulitjae tunnel, of which major water soluble component and heavy metalic element were analyzed. Size distribution and respirable mass fraction of aerosol at inside were measured by filters on nine stages Andersen air sampler.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TSP at inside was 657.57 $\mu$g/m$^3$, which appeared about 9.2 times as high as that of 71.47 $\mu$g/m$^3$ at outside. The decrease effect caused by using new tunnel was 31.2%.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oncentration of TSP at inside of Hwasoon Nulitjae tunnel and that at outsid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713.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SO$_4^{2-}$ , NO$_3^-$, CI$^-$ were 43.02 $\mu$g/m$^3$, 19.86 $\mu$g/m$^3$, 4.96 $\mu$g/m$^3$, those of NH$_4^+$, Na$^+$, K$^+$ 1.42 $\mu$g/m$^3$, 4.45 $\mu$g/m$^3$, 2.89 $\mu$g/m$^3$ and those of Ca$^{2+}$, Mg$^{2+}$, Pb$^{2+}$ 3.92 $\mu$g/m$^3$, 2.27 $\mu$g/m$^3$. 1.52 $\mu$g/m$^3$, respectively. It was estimated that mass fraction rate of respirable particle at inside was about 84.54% of aerosol.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suspended particle to be collected by Andersen sampler was 478.90 $\mu$g/m$^3$, this was about 72.8% of that by high volume air sampler.

  • PDF

벼 상자육묘에서 부직포 두께가 묘소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ickness of Polypropylene Spunbonded Fabrics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Rice Seedlings)

  • 고준모;손재근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4권
    • /
    • pp.23-27
    • /
    • 2006
  • 육묘 생력화를 위한 적정 부직포규격을 선발하기 위하여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시험포장에서 4월 20일부터 6월 1일 까지 파종기를 달리하여 부직포 규격별로 온도변화, 묘소질, 육묘 노동력 및 자재비 절감효과 등을 조사하였다. 부직포 규격별 묘생육은 부직포두께가 두꺼울수록 초장은 커지고, 엽수와 지상부건물중은 감소하였다. 부직포 규격별 매트형성 정도는 4월 파종구는 $40g/m^2$$60g/m^2$의 부직포 피복구에서 비닐피복과 같이 양호하였으나 $80g/m^2$$100g/m^2$은 불량하였으며, 6월 1일 파종구에서는 $40g/m^2$ 의 부직포 피복구에서만 매트형성이 양호하였고 그 외 부직포 규격 및 비닐터널피복에서는 불량하게 나타났다. 모의 지상부 생육특성 및 매트형성정도에서 1모작인 4월파종구의 경우는 $40g/m^2$$60g/m^2$의 부직포가, 2모작인 6월파종구에서는 $40g/m^2$ 의 부직포가 묘생육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춘천지역의 대기오염도와 은행나무의 생리적 변화에 관한 연구 (Air Pollutants Levels and Physiological Variation of Ginkgo biloba in Chuncheon)

  • 이상덕;주영특;한진석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41-147
    • /
    • 2005
  • 본 연구는 강원도 춘천지역의 산성장하물중 습성강하물의 농도와 침착량을 산정하고, 대기오염도의 측정과 함께 가로수로 식재되어 있는 은행나무의 계절적 엽중산도와 수용성황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여, 대기오염과 수목의 생리적 변화를 통해 환경영향평가로서의 수목의 역할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계절별 춘천지역의 대기오염도, 산성강하물의 농도와 침착량, 은행나무의 생리적 변화는 다음과 같이 조사되었다. $SO_2$농도는 연평균 0.004ppm으로 전국 연평균 0.006ppm과 비교해 보았을 때 다소 낮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계절별 $SO_2$의 농도는 겨울 0.007ppm, 봄 0.004ppm, 여름 0.003ppm, 가을 0.004ppm으로 측정되었고, $NO_2$의 농도는 연평균 0.013ppm으로 전국 연평균 0.024ppm과 비교해 보았을 때 다소 낮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계절별 $NO_2$의 농도는 겨울에 0.024ppm, 봄에 0.020ppm, 여름에 0.013ppm, 가을에 0.017ppm으로 측정되었다 $PM_{10}$ 경우에는 $66{\mu}g/m^3$으로 나타나 전국 연평균농도 $56{\mu}g/m^3$에 비해 다소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계절별로는 겨울에 $587.64{\mu}g/m^3$, 봄에 $82.14{\mu}g/m^3$, 여름에 $48.34{\mu}g/m^3$, 가을에 $46.03{\mu}g/m^3$으로 측정되었다. 산성강하물의 주요 이온인 $SO_4\;^{2-},\;NO_3^-,\;Cl^-,\;NH_4\;^+$의 연평균 농도는 각각 3.584 mg/l, 2.803 mg/l, 1.485 mg/l, 0.998 m/l를 보이고 있는데, $SO_4\;^{2-}$는 5.135 mg/l의 농도를 보인 겨울에 가장 높은 값을, 봄에 2.156mg/l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NO_3^-$의 경우에도 3.875mg/l의 농도를 보인 겨울에 가장 높은 값을, 봄에 1.586mg/l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났고 $Cl^-$의 경우 여름에 2.559mg/l로 가장 높은 값을, 겨울에 0.820mg/l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NH_4^+$의 경우에는 1.284mg/l를 보인 여름에 가장 높은 값을, 봄에 0.653mg/l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산성(습성)강하물의 연간 침착량을 살펴보면 $SO_4^{2-}\;3.865g/m^2/yr,\;NO_3^-\;2.924g/m^2/yr,\;Cl^-\;2.773g/m^2/yr,\;NH_4^\;+1.485g/m^2/yr$이 조사기간 동안 침착되었고, 계절별로는 여름철에 강수가 집중됨으로서 습성강하물 침착량이 총량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그 값은 $SO_4^{2-}\;2.118g/m^2/season,\;NO_3^-\;1.509g/m^2/season,\;Cl^-\;2.185g/m^2/season,\;NH_4\;^+\;1.096g/m^2/season$로. 나타났다. 계절별 잎의 평균 pH의 변화는 봄 pH $5.9\pm0.5$, 여름 pH $5.5\pm0.4$, 가을 pH $5.1\pm0.3$을 나타내었고, 엽중 수용성 황함량의 계절별 평균값은 봄 $0.012\pm0.004\%$, 여름 $0.012\pm0.002\%$, 가을 $0.020\pm0.007\%$ 수준을 보이고 있다. 수피 내 함유되어 있는 수용성 황함량의 계절별 평균값은 봄 $0.0071\pm0.0003\%$, 여름 $0.0066\pm0.0004\%$, 가을 $0.0063\pm0.0004\%$, 겨울 $0.0071\pm0.0003\%$ 수준을 나타냈다.

10종 꿀풀과(Lamiaceae) 식물 종자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ten Lamiaceae plant seed extracts)

  • 김준혁;이희호;박충열;김현민;정영호;김세현;나채선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5권3호
    • /
    • pp.121-128
    • /
    • 2022
  • 본 연구는 꿀풀과 식물 종자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평가를 통해 식물 유래 천연 항산화제를 탐색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충실률 90% 이상이고 발아율이 50% 이상인 종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속단(6.2 mg GAEs/g seed), 향유(4.5 mg GAEs/g seed)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향유(1.0 mg QEs/g seed), 속단(0.6 mg QEs/g seed)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종자 추출물의 EC50 값을 기준으로 향유(27.5 ㎍/mL), 쥐깨풀(29.2 ㎍/mL), 꿀풀(33.3 ㎍/mL)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꿀풀(25.6 ㎍/mL), 향유(25.9 ㎍/mL), 쥐깨풀(27.6 ㎍/mL)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FRAP 평가는 꿀풀(2910.4 μM Fe(II)/g extract), 향유(2836.2 μM Fe(II)/g extract), 쥐깨풀(2754.4 μM Fe(II)/g extract)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항산화 활성을 기반으로 한 군집분석에 따라 10종은 항산화 활성이 낮은 group 1에서 활성이 높은 group 3까지 3개의 group으로 분류하였으며, 향유, 쥐깨풀, 꿀풀 종자는 group 3에 속하였다.

튜브식 겔형 납축전지에 있어서 활물질 밀도에 따른 싸이클 수명 특성 (Influence of Filling Density in the Positive Active-material on the Cycle-life Performance of the Tubular Type Gelled Valve Regulated Lead Acid Batteries)

  • 윤연섭;김병관;이수;김규태
    • 공업화학
    • /
    • 제10권3호
    • /
    • pp.415-418
    • /
    • 1999
  • 튜브식 양극판과 겔전해액을 사용한 VRLA (valve regulated Iead-acid) 전지에 있어서 양극 활물질 (active material)의 충전 밀도에 따른 충 방전 싸이클 특성을 고찰하였다. VRLA전지에 사용된 양극 활물질의 밀도는 각각 3.2g/mL, 3.4g/mL 및 3.6g/ml 이었다. VRLA전지는 IU 방식 ($I_{max}=0.2C_{10}/10$, 상한 전압 2.40 v/cell)의 충전과, D.O.D 100%/C5의 방전 방법으로 충 방전 싸이클 수명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은 $25{\pm}1^{\circ}C$의 항온항습기에서 실행하였다. 시험 결과 활물질 밀도별 VRLA전지의 초기 용량은 밀도와 무관하였다. 즉 3.4g/mL에서 가장 우수하였고, 3.6g/mL에서 가장 낮았다. 충 방전 싸이클에서의 특성은 3.6g/mL인 전지는 3.4g/mL와 거의 유사하였고, 3.2g/mL보다는 크게 우수하였다. 또한 VRLA 전지의 수분고갈 및 열화는 양극 활물질의 충전 밀도가 높을수록 적었다. 이상으로 충 방전 싸이클용 VRLA전지의 양극 활물질의 밀도는 3.4~3.6g/mL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