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H.G

검색결과 25,182건 처리시간 0.056초

Submerged Culture of Phellinus linteus for Mass Production of Polysaccharides

  • Lee, June-Woo;Baek, Seong-Jin;Kim, Yong-Seok
    • Mycobiology
    • /
    • 제36권3호
    • /
    • pp.178-182
    • /
    • 2008
  • In order to increase the mycelial production of Phellinus linteus, which exhibits potent anticancer activity, some ingredients of the medium used to culture P. linteus were investigated. The optimal medium composition for the production of Phellinus linteus was determined to be as follows: fructose, 40 g/l; yeast extract, 20 g/l; $K_2HPO_4$, 0.46 g/l; $K_2HPO_4$, 1.00 g/l; M$MgSO_4\cdot7H_2SO$, 0.50 g/l; $FeCl_2\cdot6_2O$, 0.01 g/l; $MnCl_2\cdot4H_2O$, 0.036 g/l; $ZnCl_2$, 0.03 g/l; and $SuSO_4\cdot7H_2O$, 0.005 g/l. The optimal culture conditions were determined to be as follows: temperature, 28$^{\circ}C$; initial pH, 5.5; aeration, 0.6 vvm; and agitation, 100 rpm, respectively. Under optimal composition and conditions, the maximum mycelial biomass achieved in a 5 l jar fermentor was 29.9 g/l.

이온고환 수지를 이용한 Xylose로부터 젖산의 추출발효 (Lactic Acid Production from Xylose by Extractive Fermentation using ion-Exchange Resin)

  • 김기복;신광순;권윤중
    • KSBB Journal
    • /
    • 제17권6호
    • /
    • pp.566-570
    • /
    • 2002
  • Lactococcus lactis IO-1를 이용하여 xylose로부터 젖산발효를 수행한 결과 기질농도가 50 g/L에서 100 g/L로 증가됨에 따라 생육저해 및 생산성감소가 일어났다. 따라서 이온교환수지(Amberlite IRA-400, 250 g)를 이용하여 젖산을 발효 중에 제거함으로 최종산물저해를 완화시킬 수 있는 추출발효를 수행하였다. 초기 xylose 100 g/L에서 발효조내 젖산농도 20 g/L 에서 추출발효를 시작한 결과 기질을 거의 모두 소비하여 총53.6 g/L의 젖산을 생산하였으며 1.6 g/L·h의 생산성을 나타냈다. 이는 일반적인 회분발효에 비해 약 1.8배 향상된 결과로써 향후 수지에 젖간의 흡착을 저해하는 문제점을 개선함으로써 이온교환수지의 젖산 흡착량을 늘릴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면 지금 보다 더 나은 생산성을 나타낼 것으로 사료된다.

그람음성 간균에 의한 다당류의 생산 (Polysaccharide Production by a Gram Negative Facultatively Anaerobic Rod)

  • Yoo, Jin-Young;Koo, Young-Jo;Shin, Dong-Hwa;Chung, Dong-Hyo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8-104
    • /
    • 1988
  • 미생물 다당류중 viscosifier를 생산하는 세균을 분리하고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세균은 Enterobacter agglomerans로 동정되었으며, 다당류 생산을 위한 조건은 glucose 25 g/ι, peptone 2.0 g/$\ell$, yeast extract 0.5 g/$\ell$, KH$_2$PO$_4$1g/$\ell$, MgSO$_4$.7$H_2O$ 1g/$\ell$, CaCO$_3$2.5g/$\ell$, 3$0^{\circ}C$ pH 5.7이며 이 조건에서의 생산량은 8.41g/L 이었다. 본 다당류의 성분은 갈락토오스(1.0몰), 크실로오스(1.5몰), 글루코 노델타락톤(1.9몰) 및 리보오스(0.03몰)로 되어 있었다. 1% 용액의 점도는 60rpm에서 504mpa.s이며 고유 점도는 45.8 d$\ell$/g 이었다

  • PDF

Theoretical Study on the Pyrolysis of Sulphonyl Oximes in the Gas Phase

  • Xue, Ying;Lee, Kyung-A;Kim, Chan-Kyu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4권6호
    • /
    • pp.853-858
    • /
    • 2003
  • The reaction mechanism of the pyrolysis of sulphonyl oximes ($CH_3-C_6H_4-S(O)_2O-N=C(H)-C_6H_4Y$), in the gas phase is studied theoretically at HF/3-21G, ONIOM (B3LYP/6-31G**:HF/3-21G) and ONIOM (MP2/6- 31G**:HF/3-21G) levels. All the calculations show that the thermal decomposition of sulphonyl oximes is a concerted asynchronous process via a six-membered cyclic transition state. The activation energies (Ea) predicted by ONIOM (B3LYP/6-31G**: HF/3-21G) method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for a series of tosyl arenecarboxaldoximes. Five para substituents, Y = $OCH_3$, $CH_3$, H, Cl, and $NO_2$, are employed to investigate the substituent effect on the elimination reaction. Linear Hammett correlations are obtained in all calculations in contrast to the experimental finding.

Bacillus circulans F-2가 생산하는 $\alpha$-amylase에 관한 연구 (제 I I 보) 정제$\alpha$-amylase의 효소적특성 (Studies on $\alpha$-amylase of Bocillus circulans F-2 (Part II) Enzymatic characteristics of the purified $\alpha$-amylase)

  • 정만재;;;이미자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23-132
    • /
    • 1982
  • Bacillus circulans F-2의 정제$\alpha$-amylase(F-2A)의 효소적특성과 각종 생전분의 분해율을 검토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분자양은 93,000, 등전점은 pH5.0부근, 최적pH는 6.0~6.5, 안정 pH범위는 5.5~12.0, 최적온도는 6$0^{\circ}C$, 4$0^{\circ}C$ 이하에서 안정하였다. 2. Mn$^{++}$, Co$^{++}$ 은 부활제로써 작용하였으나 Ag$^{+}$, Hg$^{++}$, Cu$^{++}$은 저해제로써 작용하였다. 3, 본 효소의 활성에 SH기는 필수적이 아닌 것으로 생각된다. 4. Michaelis constant (Km)는 1.704 mg/$m\ell$ 이고 활성화에너지는 25~4$0^{\circ}C$ 에서 12.297 kcal/mole, 40~6$0^{\circ}C$ 에서 7.831kca1/mo1e이었다. 5. Soluble starch, Amylose, Amylopectin으로부터 생성되는 초기분해산물은 G$_{6}$이며 분해가 진행됨에 따라 G$_4$와 G$_2$가 생성되었다. 6. 각종 Oligosaccharide로부터 생성되는 분해산물은 다음과 같다. G$_4$$\longrightarrow$ G$_2$+ G$_2$,G$_3$ +G$_1$,G$_{5}$$\longrightarrow$ G$_4$+G$_1$,G$_{6}$$\longrightarrow$G$_4$+ G$_2$,G$_{7}$ G$_4$,G$_{8}$$\longrightarrow$ G$_4$+G$_4$, 7. 감자 생전분, Sago 생전분, Yam 생전분에 대하여 본효소는 Porcine pancreatic amylase와 Streptococcus bovis amylase보다 월등하게 높은 분해율을 나타내었다.

  • PDF

살모넬라와 면역글로블린(hIgG)의 항원-항체반응 감지를 위한 표면 플라즈몬 공명형 센서시스템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Constructed SPR (Surface Plasmon Resonance) Sensor System for the Detection of Salmonella and hIgG Antigen-Antibody Reaction.)

  • 엄년식;고광락;함성호;김재호;이승하;강신원
    • 센서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63-270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특정한 생물학적 의미를 갖는 물질들간의 결합 및 분리과정을 실시간에 측정하기 위해 빠른 응답특성과 높은 감도를 갖는 표면 플라즈몬 공명 (Surface Plasmon Resonance, SPR) 현상을 이용한 센서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SPR 시스템의 프리즘 표면에 일정 두께의 금 박막이 진공증착된 센서칩을 두고 이 아래에 위치한 시료충전셀에 살모넬라 (salmonella) 항체를 주입시켜 항체가 센서칩 표면에서 자기집합 (self-assembly) 함에 따라 공명각이 변화하는 현상을 측정하였다. 이후 분석대상물질인 살모넬라 항원을 주입하여 항체와의 결합 상태를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공명각의 변화로서 측정하고 이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human Immunglobulin G (hIgG)를 항원으로 한 항원-항체 반응 역시 살모넬라의 경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살모넬라의 항체는 센서칩 표면에서 약 10분 동안 자기집합하고 반응이 포화됨을 공명각의 변화를 통해 볼 수 있었으며, hIgG의 항체의 경우는 약 60분 동안 반응을 하고 포화됨을, 그리고 살모넬라와 hIgG의 항원 (분석대상물질) 은 모두 각각의 항체에 대해서 약 1분 이내에 결합하고 포화됨을 볼 수 있었다.

  • PDF

THE STABILITY OF PEXIDERIZED COSINE FUNCTIONAL EQUATIONS

  • Kim, Gwang Hui
    • Korean Journal of Mathematics
    • /
    • 제16권1호
    • /
    • pp.103-114
    • /
    • 2008
  •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superstability problem for the pexiderized cosine functional equations f(x+y) +f(x−y) = 2g(x)h(y), f(x + y) + g(x − y) = 2f(x)g(y), f(x + y) + g(x − y) = 2g(x)f(y). Consequently, we have generalized the results of stability for the cosine($d^{\prime}Alembert$) and the Wilson functional equations by J. Baker, $P.\;G{\check{a}}vruta$, R. Badora and R. Ger, and G.H. Kim.

  • PDF

ON THE SOLVABILITY OF A FINITE GROUP BY THE SUM OF SUBGROUP ORDERS

  • Tarnauceanu, Marius
    • 대한수학회보
    • /
    • 제57권6호
    • /
    • pp.1475-1479
    • /
    • 2020
  • Let G be a finite group and ${\sigma}_1(G)={\frac{1}{{\mid}G{\mid}}}\;{\sum}_{H{\leq}G}\;{\mid}H{\mid}$. Under some restrictions on the number of conjugacy classes of (non-normal) maximal subgroups of G, we prove that if ${\sigma}_1(G)<{\frac{117}{20}}$, then G is solvable. This partially solves an open problem posed in [9].

잉어에 있어서 Quinolones (Ciprofloxacin, Norfloxacin 및 Oxolinic acid)의 경구투여에 따른 장기내 분포상 (Distribution of Quinolones (Ciprofloxacin, Norfloxacin and Oxolinic acid) after Oral Administration in Carp (Cyprinus carpio))

  • 최민순;박관하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69-276
    • /
    • 2005
  • 본 실험에서 잉어를 대상으로 CPF, NRF 및 OXA등의 약제를 어체당 20 mg/kg 현탁액을 경구투여 후에 1-96 시간 경시적으로 약물의 동태를 조사 하였다. 각 약제별 최고장기농도도달시간은 간장 (8 h), 혈액 (12 h), 신장(12 h) 및 근육 (24 h) 이었다. 각 약제별 최대농도는 CPF (13.8-19.6 ${\mu}g$/$m\ell$), NRF (11.8-15.9 ${\mu}g$/$m\ell$), 및 OXA (10.8-13.9 ${\mu}g$/$m\ell$)순으로 나타났다. 약제농도는 최고치의 도달 이후 빠르게 소실되다가 48-96 h는 완만한 감소를 보였으며, 이때 장기별 약제농도는 근육 (3.3-6.3 ${\mu}g$/$m\ell$)> 간장 (2.5-5.5 ${\mu}g$/$m\ell$)> 신장 (2.3-4.2 ${\mu}g$/$m\ell$) > 혈장 (2.1-3.0 ${\mu}g$/$m\ell$)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OXA의 경우 다른 약제에 비해서 약물의 정체기가 나타났다. 즉 혈중은 12-36 h;, 고농도저류대 (24 hr; 10.9-8.8 ${\mu}g$/$m\ell$), 근육은 36-96 h에 중간농도대 (60 hr; 8.5-5.8 ${\mu}g$/$m\ell$) 및 간장은 12-96 h에 저농도대 (84 hr; 6.8-3.3 ${\mu}g$/$m\ell$)등이 형성되었다.약제의 혈중농도에 대한 각 장기농도비 (간장;L, 신장;K, 및 근육;M / 혈액;B)는 시간대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CPF는 즉 L>K>M (0.65-1.2/0.82-0.93/1.0-1.7)순으로 시간대별로 차이가 없었다. NRF는 시간대별로 1-8 h 및 12-24 h L>K>M (0.65-1.3/0.86-1.0)순이었으나, 36 h 이후 L>M>K (0.89-1.26)순이었다. OXA의 있어서는 1-8 h에는 L>K>M (0.95-2.1), 12-36에는 M>K>L (0.51-1.0) 및 48-96 h에는 M>L>K (1.0-2.3)으로 나타났다.

흰쥐에서 인도메타신으로 유발된 위염에 대한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의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 of Litsea japonica fruit flesh extract on indomethacin-induced gastritis in rats)

  • 박성환;박인재;윤지현;최구희;김현정;서윤희;조주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1017-102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LJF-HE)의 흰쥐모델에서 인도메타신으로 유발되어지는 위염에 대한 억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 투여그룹(LJF-HE-L, LJF-HE-M, LJF-HE-H)에서 염증길이와 위액량이 control 그룹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결과를 얻었다. 또한 위액량의 유의적인 감소효과로 위산분비가 억제되어 공격인자 작용이 약해지는 원인과 펩신의 활성도를 낮추는 원인으로 인하여 위염발생을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LJF-HE)의 위산 분비 억제 기능은 gastrin 및 histamine에 의해 발현되는 CCK-2r와 H2r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여, gastrin 및 histamine에 의한 위산 생성 단계를 조절하여, proton pump인 H+/K+ ATPase 유전자 발현을 억제시키며, 그 결과로 인하여 위산 분비를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그리고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은 점액을 증가시켜 위 점막을 보호하는 PGE2의 함량을 높여, 위 점막 보호 기능을 나타내고 있으며, 더불어 염증성 cytokine인 TNF-${\alpha}$와 IL-$1{\beta}$의 생성을 낮춰주어 염증 매개반응을 저해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면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LJF-HE)이 인도메타신으로 유발되어지는 위염에 대한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