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ture Library

검색결과 982건 처리시간 0.027초

문헌정보학 연구에 있어서 타당도 및 신뢰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in the Research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김성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75-189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문헌정보학의 과학적인 연구결과를 얻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인 타당도와 신뢰도에 대해서 검토하고 있다. 먼저 연구의 타당도와 신뢰도에 대한 개요 및 유형을 살펴본 뒤 질문지 또는 다양한 검사문항을 작성하는데 있어서 타당도와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과거의 선행연구를 통해 분석하고 있다. 이런 연구결과는 미래의 문헌정보학과 관련된 문제들을 과학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병렬처리를 위한 고성능 라이브러리의 구현과 성능 평가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High Performance Computing Library for Parallel Processing)

  • 김영태;이용권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1권7호
    • /
    • pp.379-386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병렬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개발할 수 있고 병렬처리 프로그램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이식성을 갖는 고성능 병렬 라이브러리인 HPCL(High Performance Computing Library)을 구현하였다. HPCL은 C 언어와 Fortran 언어로 구현되었으며, Fortran 프로그램에서 메시지 전송 인터페이스인 MPI(Message Passing Interface)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성능 분석은 PC 클러스터와 상업용 슈퍼컴퓨터인 IBM SP4를 이용하여 병렬프로그램의 성능 향상 및 통신 오버헤드 등에 대하여 다양하게 이루어졌다.

초등학교(初等學校) 도서실(圖書室)의 공간구성(空間構成)에 대(對)한 연구(硏究) - 연구(硏究).시범학교(示範學校)를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the Layout Types of Elementary Schools Library - Focused on the Research.Model Schools -)

  • 허영환;김승근
    • 교육시설
    • /
    • 제10권1호
    • /
    • pp.15-22
    • /
    • 2003
  • The library of elementary schools, which plays a role in the basic education to grow a responsible social member in an information society and to develop ability for collection, selection, summary, and utilization of various information, could be considered as new educational center. It should be changed to the establishment of informational education for preparing the information society in 21st century through the functional extension of the conventional library as reading and bookstand. Furthermore, it is necessary of trials that converts to the support system for interchange between establishment and student, for preparing educational system of teaching or studying, and for opening establishment to local communities in the future.

도서관 평생학습활동의 성찰과 향방 (Reflection and Direction of Lifelong Learning Activities in the Public Libraries of Korea)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5-66
    • /
    • 2006
  • 모든 공공도서관은 지식정보센터와 게이트웨이로서의 정체성을 기반으로 개인과 집단에게 평생학습, 문화활동, 정보해득력 등을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당위성에 입각하여 본 연구는 국내 공공도서관의 평생학습활동을 성찰하고 바람직한 지향성을 모색하였다. 미래의 공공도서관은 핵심역량과 평생학습의 연계성을 강화하고, 디지털 정보해득력을 제고시키는 프로그램을 개설하며, 특히 소외계층인 장애인과 노령자의 정보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평생학습프로그램을 개발 제공해야 한다.

  • PDF

도서관정보의 무선인터넷 서비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fulness of Wireless Internet for Effective Library Information Service)

  • 성기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5-36
    • /
    • 2000
  • 본 연구는 인터넷 시대의 새로운 기능인 무선인터넷 서비스에 대하여 소개하고 특히 무선인터넷을 활용 할 수 있는 도서관의 정보서비스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차세대 인터넷 서비스의 선두주자로 떠오르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는 시간이나 장소의 제한없이 이동중 개인의 휴대폰을 통하여 필요한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이용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따라서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도서관에 수용하여 도서관 정보검색의 인터페이스를 다양화하므로써 이용자 서비스가 향상되며 도서관 업무의 분산화와 신속화라는 부가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 PDF

Virtual Reality-Based Library User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 Lim, Seong-Kwan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9권4호
    • /
    • pp.63-74
    • /
    • 2021
  • Virtual Reality (VR) is one of the core component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s a technology that makes the virtual world feel as if it is real. VR is being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entertainment, advertisement, education, medical care, training, sports, and tourism, as well as providing contents for such things as games and videos. Libraries are already looking for ways to utilize VR from various angles, such as operating experiential program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velop and propose a VR-based library user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we analyzed previous studies from a theoretical perspective to find a way to construct a user education program, and also to derive possible implications based on examples of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Korea that are already introducing and applying VR technology to library services. Therefore, the user education program propos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building block when many libraries want to develop VR-based programs in the future.

HD-Map기반 주행환경 검색 시스템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HD-Map based Scene Search System)

  • 이지연;고민지;손승녀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15-121
    • /
    • 2024
  • Each ADS must have a validation and evaluation scenario for ODD. This requires a large number of scenarios, so a scenario library must be developed. In order to effectively utilize the scenario library, a system that supports testing in the ODD of the user's choice is required. In other words, in order to develop a scenario library, it is necessary to build a database on actual driving road conditions (geometry, etc.). Accordingly, in this study, we establish a domestic driving environment database based on HD-Map for driving safety testing, design a system that can search test target sections in connection with the ODD of the scenario, and present the implementation result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domestic driving environment database will be able to create scenarios through linking with the scenario library and directly utilize them for scenario-based evaluation of various demand sources.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민간위탁의 성과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Results on 'Contracting Out' of Public Library Services in Korea)

  • 곽동철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51-75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의 운영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하여 현행 공공도서관의 민간 위탁의 성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성과의 분석 대상으로는 민간 위탁을 실시하고 있는 3개 공공도서관을 선정하여, 문헌연구, 설문 및 방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주요한 고찰사항은 첫째. 공공도서관 민간위탁의 필요성과 배경 및 현황의 검토, 둘째, 민간위탁의 찬$\cdot$반 양론 및 쟁점의 정리, 셋째, 민간위탁의 현행 성과 분석을 포함하였고, 마지막으로 분석에 근거하여 향후 바람직한 공공도서관 민간 위탁 제도 도입과 운영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국내외 공공도서관 직원배치기준의 분석과 시사점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Staffing Standards for Public Library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73-95
    • /
    • 2011
  • 공공도서관시스템의 성공과 실패는 인적 자원의 효과적인 관리에 달려 있다. 그것은 공공도서관의 직원이 운영과 서비스 제공에 가장 중요한 자원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공공도서관이 지역사회에 최선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정보자원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고 지역사회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우수한 직원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국제기구, 주요 선진국, 한국의 공공도서관 직원기준과 지침을 비교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연구결과로 도출된 시사점은 후속연구인 최적 배치기준 제시의 중요한 이론적 배경과 논리적 근거로 활용될 것이다.

장서평가에 관한 소고 -특히 이용조사를 중심으로- (Use Studies of Library Collections)

  • 유재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15권
    • /
    • pp.175-195
    • /
    • 1988
  • Use studies of library collections have been conducted as a method of evaluating collections in a library. The main purpose of use studies is to evaluate the quality of a library collection in terms of extent and mode of its use. In addition to use studies,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could be utilized in order to evaluate a library collection. However,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ollection evaluation methods are more concerned with the collection itself than with its use. Us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large academic libraries for the following specific purposes: 1) They attempt to identify little used portion of collections that can be retired less accessible and less expensive storage area. 2) They try to identify core collections to satisfy some degree of circulation demands in the near future. 3) They try to identify use patterns of selected subject areas or type of books that can be used to adjusting collection development practices or fund allocations. 4) They try to assess the document delivery capability of a library to improve their availability. A number of methodologies employed for these specific purposes fall into four major categories; 1) circulation analysis method, 2) last circulation method, 3) relative use method, and 4) document delivery test. Each method is briefly reviewed with its limita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