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ndamental Concepts

검색결과 414건 처리시간 0.029초

내진설계의 성능 기준화 (Performance-Based Seismic Design)

  • 김재관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1997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Proceedings of EESK Conference-Fall 1997
    • /
    • pp.4-10
    • /
    • 1997
  • The fundamental philosophy underlying the seismic design of structures and systems are evolving into the performance based concept. The background and current status of this development in other countries are briefly summarized. The new code system which consists of two level seismic design criteria will be introduced.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formance based design concepts in the criteria will be explained.

  • PDF

렌즈를 지나는 빛의 경로 학습에서 기본 개념을 강화한 초등 과학 영재 수업의 효과 (Effects of the Classes on the Path of the Light through the Lens Focused on Substantial Concepts for the Elementary School Gifted in Science)

  • 이인호;홍준의;전영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5권spc5호
    • /
    • pp.548-555
    • /
    • 2007
  • In this paper, we suggested that tho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gifted in science should be taught basic and fundamental concepts to solve applied problems. We developed a teaching model based on a lesson regarding the path that light takes when passing through a lens on the base of refraction of light. We applied the teaching model to scientifically-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nalyzed the results. The teaching model is based on the circulation loaming model appropriate for learning such concepts. The problems were designed and applied in order to determine the students' level of concept skills held and also to develop new teaching tools to help their understanding of concepts. As a result, we confirmed that the students, who were unable to describe the path of the light before the course of instruction was given, were able to draw and explain the path of light passing trough lens by using the law of refraction following the instruction.

  • PDF

Safety-II and Resilience Engineering in a Nutshell: An Introductory Guide to Their Concepts and Methods

  • Ham, Dong-Han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2권1호
    • /
    • pp.10-19
    • /
    • 2021
  • Background: Traditional safety concept, which is called Safety-I, and its relevant methods and models have much contributed toward enhancing the safety of industrial systems. However, they have proved insufficient to be applied to complex socio-technical systems. As an alternative, Safety-II and resilience engineering have emerged and gained much attention for the last two decades. However, it seems that safety professionals have still difficulty understanding their fundamental concepts and method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offer an introductory guide to them that helps safety professionals grasp them correctly in consideration of their current practices. Methods: This article firstly explains the limitations of Safety-I and how Safety-II can resolve them from the four points of view. Next, the core concepts of resilience engineering and Functional Resonance Analysis Method are described. Results: Workers' performance adjustment and performance variability due to it should be the basis for understanding human-related accidents in socio-technical systems. It should be acknowledged that successful and failed work performance have the same causes. However, they are not well considered in the traditional safety concept; in contrast, Safety-II and resilience engineering have conceptual bases and practical approaches to reflect them systematically.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move from a find-and-fix and reactive approach to a proactive approach to safety management. Safety-II and resilience engineering give a set of useful concepts and methods for proactive safety management. However, if necessary, Safety-I methods need to be properly used for situations where they can still be useful as well.

수학 우수아의 통계적 개념 이해도 조사 (An Investigation of Mathematically High Achieving Students' Understanding of Statistical Concepts)

  • 이경화;유연주;홍진곤;박민선;박미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2권4호
    • /
    • pp.547-561
    • /
    • 2010
  • 통계학은 학교수학의 일부분으로 포함되어 있지만 전통적인 수학과는 본질적으로 다른 점을 많이 가지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어 왔다. 그러나 통계 고유의 특징에 대한 교육 연구, 특히 학교수학의 다른 영역과 차별되는 통계적 개념 이해에 대한 실증적인 자료와 논의가 매우 부족하다. 그러므로 수학적 사고 능력과 통계적 개념 이해 능력이나 통계적 사고 능력 사이의 관계에 대한 논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통계적 사고의 근간을 이루는 몇 가지 핵심 개념들을 추출한 후, 수학적으로 우수한 능력을 갖춘 학생들이 이 통계적 개념들을 이해하는 정도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수학적으로 우수한 능력을 갖춘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발달시킨 개념과 발달시키지 못한 개념이 있었다. 수학적 능력과 통계적 개념 이해 수준 사이에는 낮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 PDF

<인공지능 수학> 교과서의 행렬과 벡터 내용 분석 (Analysis of Artificial Intelligence Mathematics Textbooks: Vectors and Matrices)

  • 이영미;한채린;임웅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7권3호
    • /
    • pp.443-465
    • /
    • 2023
  •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인공지능 수학> 과목이 신설되었으며, 행렬과 공간벡터 내용은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고급 수학>을 제외하고는 <인공지능 수학>에만 등장하는 일시적이면서도 특별한 상황에 놓여있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라 5종으로 출판된 <인공지능 수학> 교과서의 자료의 표현, 자료의 분류, 자료의 처리 단원에서 인공지능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수학 개념이자 관련 학습 요소인 행렬과 벡터에 대한 정의와 관련 하위 개념들이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유사한 개념이 다루어지는 타 교과목과의 연결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행렬의 경우 기본 개념 제시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교과서별로 이미지 자료를 처리하는 데 있어 활용한 행렬의 하부 개념 유형이나 이용한 행렬의 연산에는 다소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벡터의 정의와 하부 개념과 관련된 내용은 교과서별로 상이하였고, 벡터의 활용을 전개하는 데에 있어 벡터의 크기, 두 벡터 사이의 거리나 벡터의 내적에 대한 맥락의 수준 및 수학적인 해석에는 차이가 있었다. 이를 통해 벡터와 관련된 개념을 수학 교과의 연계성에 치중하여 설명한 교과서와 수학적 개념과 원리보다는 인공지능과 관련한 지식 학습에 초점을 맞춘 교과서가 식별되었다.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수학과학통합교육의 설계 및 실행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athematics and Science Integrated Instruction)

  • 이혜숙;임해미;문종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9권2호
    • /
    • pp.175-198
    • /
    • 2010
  • To understand natural or social phenomena, we need various information, knowledge, and thought skills. In this context, mathematics and sciences provide us with excellent tools for that purpose. This explains the reasons why there is always significant emphasis on mathematics and sciences in school education; some of the general goals in school education today are to illustrate physical phenomena with mathematical tools based on scientific consideration, to encourage students understand the mathematical concepts implied in the phenomena, and provide them with ability to apply what they learned to the real world problems. For the mentioned goals, we extract six fundamental principles for the integrated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 (IMSE) from literature review and suggest a instructional design model. This model forms a fundamental of a case study we performed to which the IMSE was applied and tested to collect insights for design and practice. The case study was done for 10 students (2 female students, 8 male ones) at a coeducational high school in Seoul, the first semester 2009. Educational tools including graphic calculator(Voyage200) and motion detector (CBR) were utilized in the class. The analysis result for the class show that the students have successfully developed various mathematical concepts including the rate of change, the instantaneous rate of change, and derivatives based on the physical concepts like velocity, accelerate, etc. In the class, they described the physical phenomena with mathematical expressions and understood the motion of objects based on the idea of derivatives. From this result, we conclude that the IMSE builds integrated knowledge for the students in a positive way.

시소러스 국제표준 기반 기본 범주의 확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ansion of Fundamental Categories Based on Thesaurus International Standards)

  • 장인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273-291
    • /
    • 2019
  • 본 연구는 시소러스 국제표준(ISO 25964-1) 제11절 "패싯 분석"과 제5절의 "시소러스에 있어서의 개념 및 그들의 범위"를 분석하여, 제11절에 예시된 기본 범주(대상, 물질, 에이전트, 행위, 장소, 시간 등)를 확장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온톨로지의 최상위 개념(구구리일랑(溝口理一郞)의 상위 온톨로지인 YAMATO)과 기존의 기본 범주들(Ranganathan의 PMEST, FRBR 제3집단, CRG 13 범주 등)을 참조하여, 기본 범주에 정신적 실체를 명시적으로 추가하고, 일부를 조정하여 기본 범주를 확립했다. 또한, 확립된 기본 범주를 Ranganathan의 PMEST의 구체성/추상성과 구구리일랑(溝口理一郞)의 YAMATO의 독립성/종속성을 기반으로 재편성 및 구조화하였다. 최상위 범주를 독립 실체와 종속 실체로 이분하고 하위 구분으로 전자는 28범주, 후자는 2범주를 두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본 범주의 활용이 기대되는 분류, 택소노미, 시소러스 등의 제어 어휘 및 정보검색용 온톨로지를 생성할 때 최상위 개념으로서 재활용되고 참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헤겔의 법철학과 공동체주의 - 도덕성과 인륜성을 중심으로 - (Hegel's Philosophy of Law and Communitarianism - Focusing on Morality and Ethics -)

  • 양해림
    • 철학연구
    • /
    • 제117권
    • /
    • pp.161-189
    • /
    • 2011
  • 본 논문은 서구에서 1990년대부터 활발하게 논의되었던 공동체주의와 자유주의의 논쟁을 헤겔 "법철학"의 도덕성과 인륜성의 개념을 중심으로 우리 한국사회의 정치현실과 연관시켜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본 논문은 공동체주의를 헤겔의 입장에서 재조명하고자 한다. 헤겔은 "법철학"에서 공동체를 근대의 윤리적-정치적 질서체계를 세우기 위한 근본적인 의미로서 파악하였다. 여기서 헤겔은 칸트의 도덕성을 수용하여 법과 국가의 개념을 근본적으로 다시 규명하였다. 필자는 이 논쟁의 광범위한 영역을 헤겔의 도덕성과 인륜성에 대해 한정하여 논의해 보고, 결론부분에서 우리 한국의 정치 현실상황을 반성적 성찰의 기회로 삼고자 한다.

수학의 1차적 개념이 초등학교 3학년 영재아의 수학적 개념구성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연구 - 분수의 덧셈과 곱셈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about Influence of Primary Mathematic Concepts on the Composition of Mathematic Concepts in 3rd grade Prodigies of Elementary Schools - Focusing on Addition and Multiplication of Fractions -)

  • 김화수
    • 영재교육연구
    • /
    • 제24권1호
    • /
    • pp.17-4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사칙연산과 분수의 1차적 개념을 학습한 초등학교 3학년 영재아 3명을 대상으로 분수의 덧셈과 곱셈을 내용으로 하였을 때, 정확한 개념의 인지와 개념의 연결로 분수의 덧셈과 곱셈에 대한 스키마와 변형된 스키마1)를 어떻게 구성을 하는지에 대해 질적 사례연구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즉 수학의 1차적 개념의 구성으로 어떠한 스키마와 변형된 스키마를 형성하여 분수의 덧셈과 곱셈에 대한 관계적 이해를 하는지, 그리고 영재아들이 스스로 형성한 스키마와 변형된 스키마를 어떻게 이용하여 분수의 덧셈과 곱셈의 문제 해결에 접근을 하는지, 또한 연구대상자들의 개념구성과 문제해결력에서의 스키마는 어떻게 변형을 이루어 나가는지를 심도 있게 조사하였다. 그 결과 분수의 덧셈에서 분수의 곱셈으로 연결될 때, 정확한 1차적 개념에 대한 인지와 스키마 그리고 변형된 스키마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때 수학의 1차적 개념끼리의 연결과 정확한 1차적 개념에 대한 인지로 인해서 만들어지는 스키마와 변형된 스키마의 형성이 분수의 덧셈과 곱셈의 창의적 문제 해결에 무엇보다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종교의 가정윤리에 관한연구 (A Study on Family Ethic of Buddhism)

  • 서병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1권2호
    • /
    • pp.111-120
    • /
    • 1993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how the family moral principles are placed in the Buddhist Sutra how they come up to the surface through certain course. We set up the following five kinds of question for aim of this study First in which form are the family moral principles placed in the Buddhist Sutra ? That is are they shown devided into two between the fundamental though of Buddhism and the concrete description? Second how are the family moral principles melted into the fundamental though of Bud-dhism ? Buddhism takes a cognitive method of pursuiting one from divesification,. If that is so the family moral principles will establish the fundamental thought of Buddhism melted along with other phenomena. When the fundamental thought of Buddhism is restored to the family moral principles which image are they presented with us? Third if the family moral princprinciples melted into the fundamental thought of Buddhism in itself came up to the surface ? Buddhism has a and is mixed together. The family moral principles of Buddhism are named from the fundamental thoughts to the family moral principles and do not come up to the surface but are melted into the important concepts of Buddism that is charity kama nirvara emptiness the principle of middle way. The aspects of the family moral principles which are melted into theses thoughts: 1) The concept of loving-kindness including equality non-self practice is shown in the family moral principles. 2) The thought of karma includes the moral principles for interdependence between the building up of home and family members. 3) Home should be a place of self-realization from the suffering realization This kind of home salvation should be set up by family members themselves and the consciousness of the master that such salvation is neither to be made by others not to be given by god is presented one should be the master of one's life 4) The thought of emptiness includes the social extension of home and those of the moral principles of collective body of family. 5) The Buddnist family is morality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 middle way shich means neither too extrim nor lack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