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n element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5초

A Study on the mobile application of Fashion Brands

  • Kim, Sung-Hee
    • 패션비즈니스
    • /
    • 제14권6호
    • /
    • pp.134-145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investigate the contents of fashion brand applications and what differences and 2) to scrutinize the reviews of the applications uploaded on the app store in order to suggest strategies on how to apply them to fashion. For the study, twenty-nine free applications from different categories of the fashion brands and three hundred sixty-two reviews of these applications were investigated. The analysis of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June 20th to November 10th of 2010.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four important components for fashion brand applications: conventional information (product information and store information), the purchasing function, the fun element (social networking, blogging, music etc), and the augmented reality technique. These components are formulated based on the brand's marketing strategies. In order to know whether or not these components were successfully composed, user reviews were studied, which revealed that many users were satisfied, but the applications were insufficient to meet all of their needs.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Conversion of Three-dimensional Puzzles into Immersive Media based on Play Theory for Children's Experience

  • Tae-Eun Lee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21권2호
    • /
    • pp.145-151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lay properties in the case of media conversion through the combination of analog three-dimensional puzzles and immersive media in children's experience. Based on Roger Caillois' play theory and the contents of previous research, an experience was conducted on a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nd a questionnaire was prepared.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d paired t-test analysis showed that the play properties were higher and more evenly distributed in the media conversion immersive experience. This implies that an increase in children's fun during the immersive experience further increases their immersion, suggesting that the use of immersive media may have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 who achieve holistic development through play and experience.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help recognize the difference in effectiveness through conversion into immersive media and will be referenced in various media studies that consider double-play properties.

현대 공공공간의 스트리트 퍼니처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Street Furniture Design in Modern Public Space)

  • 황미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191-200
    • /
    • 2011
  • Street furniture such as benches, streetlamps, and shades which are easily accessible in cities has contributed to the promotion of active, lively environment for people living in cities. Furthermore, they make the characteristics of specific regions and cities, and are valued as a communication interface to rest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people and cities. The street furniture design with inherent publicness is an essential element for leisurely life and refined image of modern people who have experienced severance and mental poverty in uniform, vertical modern city space with the development of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ew design approaches to street furniture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etermination of the images of modern city environment an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such designs. First, in accordance with the flow of studies from publicness and public space to street furniture, the concept and meaning of publicness which is the basic element of public space were identified through theoretical examin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modern public space were analyzed through literature review, data review, and international cas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theoretical analysis, the concept and meaning elements, function elements, and design elements of the street furniture which was planned in accordance with the goal and functions of public space were identified. For the meaning elements of street furniture design, fun, health, culture, sustainability, and vitalization were identified. For the function elements of street furniture design, convenience, safety, and delivery were identified. As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street furniture design, convergent, green, digilog, functional, and universal designs were analyz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cognized the roles of street furniture in modern public space as a concrete, practical environmental design element and estimated the development directions of street furniture design in public space.

현대 니트패션에 나타난 상.하위문화의 혼합특성 (Phenomena of Mixture in High.Low Class Culture in Contemporary Knit Fashion)

  • 박문희;이연희
    • 복식
    • /
    • 제61권4호
    • /
    • pp.38-5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data that designers can utilize substantially, by developing creative materials in knit fashion through the analysis relevant to expression characteristics on the mixture in high low class culture, which were shown in knit fashion of contemporary women, as one of methods of pursuing a plan for being able to be appeared creative and unique knit wear. As for a method of this research, studied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n the mixture in high low class culture by preceding researches. And women's knit fashion was selected that is seen to be 3~18 gauge among the world's 4 collections from 2000~2008. The analysis was made with the analytical frame in mixture pattern, and the analytical frame in design element, and item.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mixture of kidult element and high fashion was shown with characteristic of expressing humor and fun with graffiti, expression like character and cartoon, and fairy-tale fantasy through the exaggerated trifling article. The mixture of grungy element and high fashion was shown with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 in the mixture of heterogenous pattern, and in tear, slit without the end treatment due to fraying the end strand in the knit fashion with basic stitch, patch work, fringing and tone-down gray, use of khaki and blue color, and match in opposite color. The mixture of underwear and high fashion was shown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 with the emphasis on underwear line like volume up, or with the mixture of details such as pants in diverse lengths, mini skirt, underwear lace, and ribbon.

로제 카이와(R.Caillois)의 놀이 유형에 근거한 유아용 한글 기능성 모바일 게임 연구 (A study on Hangul serious mobile game for Infant based on R. Caillois's theory)

  • 이수연;김재웅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5호
    • /
    • pp.291-312
    • /
    • 2014
  • 본 연구는 놀이를 학문적인 관점으로 승화시킨 로제 카이와 (R.Caillois)의 이론을 기반으로 유아의 한글 학습의 동기부여를 위한 재미 요소를 찾아보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놀이의 궁극적 목적에는 즐거움이 수반되어야 한다. 그리고 학습은 개인의 경험에 의한 영구적인 변화를 의미하는데, 놀이와 학습, 이 두 가지 요소는 융합을 통해 교육용 기능성 게임을 연구하는 게임 기반 학습 이론 GBL(game based learning)의 중요한 요소이다. 유아가 한글 학습을 하면서 스스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재미이다. 유아는 성인에 비해 집중력이 낮기 때문에 몰입을 위해 재미를 학습과 결부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먼저 효과적인 놀이 특성 요소가 적용된 한글 기능성 모바일 게임 사례를 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사례의 선정 기준으로는 사용자의 선호도를 기준삼아, 2014년 4월 22일을 시점으로 구글 안드로이드 마켓의 유아용 한글 기능성 모바일 게임 영역에서 10000개 이상 다운로드 한 게임을 토대로 다운로드 횟수와 사용자의 평가 별점에 따라 20개의 한글 모바일 기능성 게임을 선정하였다. 현재 시중에 출시되어 있는 다양한 유아용 한글 학습 놀이 콘텐츠의 사례를 R.Caillois가 제안하는 놀이의 네 가지 분류와 속성의 선행연구를 통해 아곤(Agon), 미미크리(Mimicry), 일레아(Alea), 일링크스(Ilinx)로 분석하고 그 고유의 특성과 비교하였다. 그 특성 네 가지가 한글 기능성 모바일 게임 안에서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는 지 살펴 본 결과, 선정된 사례 중 게임의 규칙과 의지가 최대로 포함된 아곤(Agon)의 유형이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으며, 각각 하나의 놀이 요소가 적용된 것보다는 네가지 놀이 특성이 고루 분포된 경우에서 유희성과 함께 높은 몰입도를 경험하게 해 주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유아용 한글 기능성 모바일 게임 콘텐츠가 놀이의 속성이 반영된 재미의 요소를 학습에 접목하는 기반연구가 되길 기대한다.

게임 내 광고(In-game-Advertisement)의 몰입요소 중심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접근방법 연구 (Analysis of user interface access method focused on immersion elements of in-game-advertisement)

  • 정원조;이동열;유석호;경병표;이완복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8호
    • /
    • pp.299-30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게임 내 들어가는 광고를 목적과 기대효과에 따라 분류 후, 게임 사용자 몰입요소를 제작설계단계, 사용자 인터페이스, 몰입적 재미요소 단계로 구분하여 분류 적용하였다. 이를 통하여 현재 진행중인 IGA 비즈니스 모델을 분석, 게임 내 광고의 사용자 몰입요소를 중심으로 발전하는 방향을 분석 연구 하였다. 이를 통하여 최근 게임 내 광고는 다양한 게임 몰입요소에 광고 접근을 확인할 수 있다.

OGRE 엔진을 이용한 역사 교육용 기능성 게임 개발 (A Serious Game Development for Historical Education Using OGRE Engine)

  • 이면재;김경남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385-392
    • /
    • 2010
  • 현재 국내에서는 교육적인 목적과 재미가 융합된 교육용 기능성 게임이 출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개 엔진인 오우거 엔진을 이용한 역사 교육용 게임을 제안하고 이를 개발한다. 개발 방법에는 개발 환경, 기획 목적, 게임 시나리오, 게임 인터페이스, 물리엔진과 연동하는 방법 등이 포함된다. 제안된 게임은 역사를 바탕으로 한 미션을 수행하는 방법으로 진행된다. 제안 게임의 차별성은 기존 역사 게임에서의 단순 재미를 벗어나 역사적인 사건을 퀘스트로 설정하여 실지 역사를 배우는데 있다. 본 논문은 역사 교육용 기능성 게임의 차별화와 오우거 엔진을 이용하여 역사 교육용 기능성 게임을 제작하려는 개발자에게 도움이 된다.

체험경제요인이 지식기반 모바일 증강현실의 수용에 미치는 영향 : 쾌락적 정보시스템 관점 (An Effects of Experience Economy for Accepting Knowledge Based Mobile Augmented Reality : Hedonic Information System Perspective)

  • 정남호;이현애;구철모
    • 지식경영연구
    • /
    • 제14권5호
    • /
    • pp.121-136
    • /
    • 2013
  • Augmented reality, which has recently drawn great attention, has along history in technical terms. However, the latest emergence of mobile augmented reality using smartphones is allowing people to access augmented reality more easily and faster than ever. However, a review of existing studies shows that most of them have focused on the technical realization of augmented reality, whereas few studies have dealt with how users perceive augmented reality. For users, augmented reality is a means of knowledge transfer, which enables the experience of more abundant reality by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 nsources to objects or landscapes. There fore, the element of experience must be considered for the perception of users. In addition, the current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certainly provides users with more fun than any other existing technologies. In this regard, this study intended to divided experiences not only into sensory experiences, but also into entertainment, educational, escapist, and esthetic experiences based on the experience economy theory suggested by Pine and Gilmore(1998). Moreover,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whether mobile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which are highly popular as a means of the experience economy, influence the usefulness, convenience, and enjoyment perceived by users, and to identify which of these cognitive elements influence usage intentions.

  • PDF

문화콘텐츠 창작방법 연구 - 민담 에듀테인먼트를 활용한 트리즈교육 - (A Study on the Creation Method of Cultural Content - TRIZ Training using Folklore Edutainment -)

  • 이명자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91-98
    • /
    • 2020
  • 본 연구는 '트리즈' 이론 중에서도 기술 분야만이 아닌 광범위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OTSM-TRIZ' 이론을 통하여 창의성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모델을 제시하는 에듀테인먼트 창작방법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민담 이야기를 통해 문제가 제시되고 문제 해결에 이르는 과정 속에서 부닥치는 모순을 분석해가며 표준해결에 이르기까지 창의적 사고가 증진되는 모델을 제안하였고, 민담 이야기의 콘텐츠 창작에 있어서는 인지교육에 효과가 높은 애니메이션 기법을 활용하여 스토리텔링 하도록 구상하였다. 이것은 나아가 OTSM-TRIZ의 다양한 활용을 위한 후속담론을 파생시킬 수 있으며 또한 인문학적 상상력과 문화원형을 결합한 새롭고 흥미로운 콘텐츠 창작 방법론을 구축하는데도 일조할 것으로 사료된다.

증강현실을 이용한 문화재 학습 콘텐츠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ultural Property Learning Contents Using Augmented Reality)

  • 성민제;이대현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831-837
    • /
    • 2017
  •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인해 개인 맞춤형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이는 시대 변화에 맞춰 박물관 등 여러 관람시설에 이를 만족시키기 위해 많은 시스템들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박물관은 관람이라는 요소를 가지고 있으며, 역사교육이라는 목적이 담겨져 있으며, 재미와 교육을 병행해야 하는 기관으로서의 역할이 있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문화재에 대한 충분한 흥미를 유발해야 하며, 그와 동시에 문화재에 대한 다양한 콘텐츠의 제공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문화재 관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교육과 함께 평가를 병행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에 대하여 Unity3D 엔진과 Vuforia라는 증강현실 개발용 SDK를 사용하여 연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