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iends 프로그램

검색결과 199건 처리시간 0.028초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Relationships Among Parental Attachment, Social Support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 김종운;김지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248-259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부산시에 소재한 4개의 4년제 대학교 학생 386명을 대상으로 부모애착, 사회적지지, 대학생활적응 검사를 실시하였다 부모애착, 사회적지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대학생활적응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을 밝히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 애착, 모 애착, 사회적 지지 및 대학생활적응 간에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부, 모 애착과 친구 사회적 지지가 학업적응,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 대학환경적응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대학생활적응을 위해서 학교와 학과, 대학 상담센터에서의 다양한 정책적인 연구와 부모-자녀 관계 개선과 친구지지를 도울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상담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북한이탈 청소년을 위한 통합적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North Korean young adult defectors in South Korea)

  • 최슬기;박상민;정효지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3-83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mprehensiv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North Korean young adult defectors in South Korea. Methods: The comprehensive health promotion program consisted of nutrition, mental healthcare, physical activity and sexual behavior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need assessment results. For the evaluation of the program, 70 North Korean young adults who were attending two alternative schools for North Korean defectors were recruited. The program had taken place once a week for 13 or 19 weeks. Effectiveness of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was evaluated using anthropometric measurement, 3-day food records and a questionnaires that comprised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HADS), the Short Form with 36 questions (SF-36) and health behaviors. The surveys were proceeded at the beginning and after the program. Results: After health promotion program, participants' heigh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0.004) and body fat mass (0=0.004) and percentage of body fat mass (p=0.003)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he number of subjects who ate breakfast alone was decreased whereas the number of subjects who ate breakfast with friends was increased (p<0.001).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dietary intakes, mental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North Korean young adult defectors' willingness to participate and interests in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were high, however the practice rate was low. Conclusion: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could induce interests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but bring about limited effects on the health behaviors. These results imply that a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North Korean young adult defectors should have a long-term strategy as well as short-term plan. Furthermore, it should be based on their health problems, health related behaviors, academic performance and daily life matters.

고등학교 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 경험: 근거이론 적용 (The Experience of Health-Promotion Behavior in Adolescents: A Grounded Theory Approach)

  • 강나경;이혜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321-331
    • /
    • 2021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건강증진행위 실천 경험을 이해하고 그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자신의 경험을 충분히 표현할 수 있는 고등학생 12명을 편의표집 하였다.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한 질적 연구이며, 참여자 진술로부터 312개의 의미 있는 문장을 도출하여 22개의 주제로 구분하여 13개로 범주화하였다. 연구결과, 중심현상은 '건강증진이 배제된 라이프스타일'이었으며, 이를 조율해 나가는 중재조건은 '부모님의 생활습관 지도', '건강행위를 함께 할 수 있는 친구', '운동시설 접근의 제약'이었으며 이를 대처하도록 고안된 작용/상호작용전략은 '건강증진 실천과 유지를 위한 의지 다지기', '멋진 몸매를 가진 친구를 모방하기', '부모님의 건강행동 배우기'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 과정에 대한 본질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이를 통해 고등학생의 건강증진행위 실천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학생능동수업모델에 기반한 초등학교 수학과 플립러닝 교수·학습 모델 설계 및 효과 (Effect and Design of a Teaching-Learning Model for Flipped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Based on a Student's Active Learning Model)

  • 주혜진;류현아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41-266
    • /
    • 2018
  • 본 연구는 학생능동수업모델을 기반으로 한 플립러닝 모델을 수학과의 특성에 맞게 설계하고 적용한 후 그 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으며, 플립러닝 적용 시 고려해야 할 점을 토대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생능동수업모델에 기반한 초등학교 수학과 플립러닝 교수 학습 모델을 적용한 결과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향상되었다. 둘째, 수학과 플립러닝 프로그램의 적용은 학생들에게 교과서 중심의 수업보다 높은 만족감을 주었다. 셋째, 학생들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기 주도적 학습 습관을 형성할 수 있었고, 수업에 대한 기대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 PDF

노인의 성별에 따른 서비스 질과 사회적 지지가 경로당의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and Social Support on the Users' Satisfaction of Senior Citizen Hall by Gender of the Senior Citizen)

  • 강태석;조월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441-451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성별에 따른 서비스 질과 사회적 지지가 경로당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의왕시에 거주하는 경로당 이용 노인 309명이며, 설문조사는 2019년 3월 1일부터 31일까지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하였으며,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특성에서 여성 노인의 생활형편과 주거형태가 이용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사회적 지지에서 여성 노인의 친구요인이 이용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검증되었다. 셋째, 서비스 질에서 남녀 노인의 신뢰성과 보증성이 통계적 유의수준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경로당이 지역사회의 노인복지여가시설로서 이용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노인들이 생활형편과 주거형태가 안정되며, 친구요인을 활성화하는 사회적 지지가 필요하며, 신뢰성과 보증성을 중심으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경로당 이용 노인의 이용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혈액종양내과 병동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죽음인식이 임종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Death Awareness on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Hematooncology Unit Nurses)

  • 정서연;김정혜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2권2호
    • /
    • pp.77-86
    • /
    • 2019
  • 목적: 본 연구는 혈액종양내과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긍정심리자본과 죽음인식을 확인하고 임종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임종간호 수행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시에 소재한 일 상급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혈액종양내과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 127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 설문지를 통해 긍정심리자본, 죽음인식, 임종간호수행을 조사하였고, 기술 통계, 피어슨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긍정심리자본과 죽음인식, 임종간호 수행 간에는 모두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임종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긍정심리자본의 하위 영역 중 희망, 회복탄력성, 지난 1년 이내 가족, 친척 또는 친구의 죽음 경험이었으며 임종간호 수행에 대한 설명력은 32.1%로 나타났다. 결론: 혈액종양내과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임종간호 수행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하여 희망과 회복탄력성을 포함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여성 노인의 라인댄스 체험 동기와 의미 탐색 (Motivation and Meaning of the Elderly Women's Line Dance Experience)

  • 김영미;오진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2호
    • /
    • pp.471-479
    • /
    • 2021
  • 이 연구는 여성 노인들의 라인댄스 체험 동기와 의미를 살펴보고자 C시 J군에 소재한 보건소에서 라인댄스 프로그램에 참여한 여성 노인 6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는 심층면담과 참여 관찰을 통해 수집하였다. 자료는 전사, 주제별 약호화, 의미 범주화 및 개념화의 단계를 거쳐 내용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여성 노인들의 라인댄스 참여 동기는 주변의 권유나 건강의 회복과 유지, 행복을 추구하기 위해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라인댄스 체험은 춤이 즐거움을 주며, 누구나 출 수 있다는 춤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켰다. 셋째, 라인댄스는 신체와 외모에 대한 관심과 자신감을 향상시켰다. 넷째, 라인댄스는 새로운 친구를 사귀고, 어울릴 수 있는 인간관계 형성을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다섯째, 라인댄스 체험은 무용을 통한 성취감과 몰입감을 향상시켰다. 여섯째, 가족들의 지지와 칭찬은 자존감을 높이고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와 행복감을 증진시켰다.

노년기 자기 통제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 (Determinants of Sense of Control in Later Life)

  • 장유리;이정남;윤현숙;김수영
    • 한국노년학
    • /
    • 제28권4호
    • /
    • pp.1055-1068
    • /
    • 2008
  • 자기 통제감은 노년기의 다양한 스트레스 상황에서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보호하고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밝혀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노년기 자기 통제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주요 영향 요인을 (1) 사회 인구학적 특성, (2) 신체 건강 상태, (3) 최근 일어난 부정적 생활사건, (4) 사회 관계적 자원으로 분류하였다. 국내 다섯 개 도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291명(평균 연령 = 69.9)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고, 자기 통제감은 Pearlin과 Schooler(1978)의 Mastery Scale의 7항목으로 측정되었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경제 수준, 만성 질환, 일상생활 수행 장애, 시력, 부정적 생활사건 경험, 그리고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가 자기 통제감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노년기 자기 통제감 증진을 위한 개입이나 사회적 프로그램 개발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4차 산업혁명 시대 예술·과학 융합 교육프로그램 설계 : 콘텐츠를 활용한 STEAM을 중심으로 (Art Science Convergence Curriculum Desig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 Focusing on STEAM with Contents)

  • 박성원;이혜원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8권1호
    • /
    • pp.53-61
    • /
    • 2021
  • The year 2020 was a time when the coronavirus infections-19 (COVID-19) caused various changes in society. In particular, the fields that have been conducted face-to-face have been greatly confused by the transition to an online non-face-to-face method, and this is the case with the field of education. There are two main advantages of offline education. The first is that we can improve our understanding through communication with teachers, and the second is that we can develop social skills through interaction with friends. But as online classes progressed due to corona 19, interaction could not be achieved. As a result, the motivation for learning has been reduced due to difficulties in real-time feedback, and the participation rate has been significantly lowered, especially in lower grades, raising concerns about the learning gap that will occur after corona 19. However, there are some cases in which online classes were conducted as effectively as offline classes by utilizing various contents. What they have in common is the use of content. Teachers generally improved the quality of education by linking interesting sights and videos that enhance learning comprehension. The provided video conveys learning-related content into stories, enabling intuitive observation. Many students were already enjoying these videos through VOD (Video on Demand) such as TV and YouTube, they were able to connect their easy access to content and interest in learning. Appropriate use of video content has rather increased the learning effect and should continue after corona 19.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methodologies that apply video content efficiently to education. This study looked at the steps that needed content applic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and observed its meaning. Students were curious about the content, motivated to learn and participated in learning on their own. Intuitive learning, conducted through appreciation, play and content production, provided an opportunity to learn on their own in everyday life.

만성질환자의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 및 선호도 분석 (An Analysis of Needs and Preferences of Forest Healing Programs in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 채영란;강소연;조영미;이선희;박수연;천인선
    • 농촌계획
    • /
    • 제27권1호
    • /
    • pp.29-41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interest, needs, and preferences for forest healing programs of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A total of 227 individuals with chronic diseases who were admitted to a university hospital were surveyed on the needs and preferences of forest healing program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11 patients (48.9%) with cardiovascular disease, 88 patients (38.8%) with gastrointestinal diseases, 39 patients with musculoskeletal disease (17.2%), and 78 patients (34.3%) with other diseases. About 51% of all participants had heard of the forest healing programs, but 94.3% of the participants said they had no experience in participating. The frequency of forest visits was the most often once a month or not, and the reason for not being able to participate in forest healing programs was "because there was no time to spare." The participants generally preferred a small group programs with family members or their friends for one day or two days. The preferred seasons were spring and autumn, and the preferred time zones were morning and weekend, and the participants preferred outdoor programs rather than indoors. An important factors of the programs were dense forests, trees, landscape, sound, and fresh air. These preferences can be applied when developing forest healing programs for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