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and Design of a Teaching-Learning Model for Flipped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Based on a Student's Active Learning Model

학생능동수업모델에 기반한 초등학교 수학과 플립러닝 교수·학습 모델 설계 및 효과

  • Received : 2018.07.16
  • Accepted : 2018.08.17
  • Published : 2018.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design and apply a teaching-learning model for flipped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based on a student's active learning model for mathematics, and then to examine their effects. Finally, this suggests two points to consider when applying flipped learning to young learn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del showed meaningful results that improved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 Second, The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which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hematics department, gave learners a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than traditional classe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students' testimonies, it was possible to form a habit of self-study without help of anyone at the desired time and place, and to solve the problem created beforehand with friends so that self-directed learning habit formation and interest in class respectively.

본 연구는 학생능동수업모델을 기반으로 한 플립러닝 모델을 수학과의 특성에 맞게 설계하고 적용한 후 그 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으며, 플립러닝 적용 시 고려해야 할 점을 토대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생능동수업모델에 기반한 초등학교 수학과 플립러닝 교수 학습 모델을 적용한 결과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향상되었다. 둘째, 수학과 플립러닝 프로그램의 적용은 학생들에게 교과서 중심의 수업보다 높은 만족감을 주었다. 셋째, 학생들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기 주도적 학습 습관을 형성할 수 있었고, 수업에 대한 기대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점례 (2016). 2015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초중학교 수학과 평가기준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 김성일 (2015). 플립러닝 학습이 수학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인근 (2016). 역량기반 교육모델 관점의 플립수업 성과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노경섭 (2015).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 통계분석-SPSS & AMOS21. 한빛아카데미.
  5. 박상준 (2015). 플립러닝 모형의 개발과 적용 사례의 연구: 예비교사 교육에의 적용 결과를 중심으로. 사회과교육연구, 22(2), 1-21.
  6. 박성열, 임걸 (2014). 'The Flipped Learning' :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 Hybrid Instructional Model.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논문지, 9(1), 1-11.
  7. 박태정, 차현진. (2015). 플립러닝(Flipped Classroom)의 교육적 활용가능성 탐색을 위한 교사 인식 조사.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8(1), 81-97.
  8. 방진하, 이지현 (2014).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의 교육적 의미와 수업 설계에의 시사점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31(4), 299-319.
  9. 서하진, 이광호 (2018).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에서 전개도 제시에 관한 국제 비교.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2(2), 199-220.
  10. 오지예 (2015). 수학과 창의인성교육모형에 따른 5학년 1학기 교수.학습 자료 개발.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이동엽 (2013). 플립드 러닝 교수.학습 설계 모형 탐구. 디지털 정책연구, 11(12), 83-92.
  12. 이상우 (2016). 5학년 수학 수업 협동학습으로 디자인하다. 시그마프레스
  13. 이은영 (2017). 플립러닝형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위한 교수 설계 모형 개발.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정민, 박현경. (2016). 초.중등교육에서의 플립러닝 연구사례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6 Aug; 14(8), 19-36. https://doi.org/10.14400/JDC.2016.14.8.19
  15. 이종연, 박상훈, 강혜진, 박성열 (2014). Flipped learning의 의의 및 교육 환경에 관한 탐색적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2(9), 313-323. https://doi.org/10.14400/JDC.2014.12.9.313
  16. 주현재 (2011). 고등교육에서의 학습자중심 교육이론에 기반한 PBL모형 개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7. 최근배 (2015). 한국과 미국(Garcourt Math)의 초등수학 교과서 비교 분석: 분수와 소수의 도입과 연산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9(1), 17-37.
  18. 한국과학창의재단 (2017). 초.중.고 과학과 학생능동수업 모델 개발. BD17020009. 경상대학교 산학 협력단.
  19. 황혜진 (2016). 플립러닝 수학 학습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조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Hamdan, N., McKnight, P.E., McKnight, K., & Arfstrom, K.M. (2013). The flipped learning model: A white paper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itled A Review of Flipped Learning.". Retrieved from: http://researchnetwork.pearson.com/wp-content/uploads/White Paper FlippedLearning.pdf (accessed May 8,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