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quency tuning

검색결과 692건 처리시간 0.035초

A Single-Chip CMOS Digitally Synthesized 0-35 MHz Agile Function Generator

  • Meenakarn, C.;Thanachayanont, A.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2년도 ITC-CSCC -3
    • /
    • pp.1984-1987
    • /
    • 2002
  • This paper describe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ingle-chip digitally synthesized 0-35MHz agile function generator. The chip comprises an integrated direct digital synthesizer (DDS) with a 10-bit on- chip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using an n-well single-poly triple-metal 0.5-$\mu\textrm{m}$ CMOS technology. The main features of the chip include maximum clock frequency of 100 MHz at 3.3-V supply voltage, 32-bit frequency tuning word resolution, 12-bit phase tuning word resolution, and an on-chip 10-bit DAC. The chip provides sinusoidal, ramp, saw-tooth, and random waveforms with phase and frequency modulation, and power-down function. At 100-MHz clock frequency, the chip covers a bandwidth from dc to 35 MHz in 0.0233-Hz frequency steps with 190-ns frequency switching speed. The complete chip occupies 12-mm$^2$die area and dissipates 0.4 W at 100-MHz clock frequency.

  • PDF

Robust Optical Detection Method for the Vibrational Mode of a Tuning Fork Crystal Oscillator

  • Choi, Hyo-Seung;Song, Sang-Hun
    • 센서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93-95
    • /
    • 2015
  • We present an optical detection method for the fundamental vibrational mode of a tuning fork crystal oscillator in air. A focused He/Ne laser beam is directed onto the edge of one vibrating tine of the tuning fork; its vibrating motion chops the incoming laser beam and modulates the intensity. The beam with modulated intensity is then detected and converted to an electrical signal by a high-speed photo-detector. This electrical signal is a sinusoid at the resonant frequency of the tuning fork vibration, which is 32.76 kHz. Our scheme is robust enough that the sinusoidal signal is detectable at up to $40^{\circ}$ of rotation of the tuning fork.

외부 가진 가변 주파수를 고려한 압전 진동 에너지 수확 모듈의 설계 (Design of a Vibration-Powered Piezoelectric Energy-Harvesting Module by Considering Variations in Excitation Frequency)

  • 김재은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4권5호
    • /
    • pp.637-644
    • /
    • 2010
  • 진동 에너지 기반의 압전 에너지 수확 장치는 외부 가진력의 주파수가 장치의 고유 진동수 (또는 공진 주파수)와 일치하는 경우 최대 전력을 발생시키지만, 이를 벗어난 주파수 대역에서는 전력 발생량이 급격히 감소한다. 그런데, 에너지 수확 장치의 고유 진동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할 수 있으며, 가진 주파수 역시 어떤 일정한 값에 항상 고정되어 있는 경우는 드물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일정한 공진 대역폭을 갖는 압전 에너지 수확 모듈을 제안하였고 해석 및 실험을 통하여 전기 출력에 대한 주파수 대역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제안된 모듈을 구성하는 개별 에너지 수확 단위간의 전기적 연결 방법에 따라서 전기출력이 최대화되는 공진 주파수가 조절될 수 있음을 보였다.

Initial Frequency Preset Technique for Fast Locking Fractional-N PLL Synthesizers

  • Sohn, Jihoon;Shin, Hyunchol
    • JSTS: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 /
    • 제17권4호
    • /
    • pp.534-542
    • /
    • 2017
  • This paper presents a fast locking technique for a fractional-N PLL frequency synthesizer. The technique directly measures $K_{VCO}$ on a chip, computes the VCO's target tuning voltage for a given target frequency, and directly sets the loop filter voltage to the target voltage before the PLL begins the normal closed-loop locking process. The closed-loop lock time is significantly minimized because the initial frequency of the VCO are put very close to the desired final target value. The proposed technique is realized and designed for a 4.3-5.3 GHz fractional-N synthesizer in 65 nm CMOS and successfully verified through extensive simulations. The lock time is less than $12.8{\mu}s$ over the entire tuning range. Simulation verification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method is very effective in reducing the synthesizer lock time.

증폭된 광 귀환을 가자는 다중 전극 복소 결합 DFB 레이저에서 발생되는 self-pulsation 특성 해석 (Analysis of Self-Pulsation Characteristics in Multi-Section Complex-Coupled DFB Lasers With Amplifying Optical Feedback)

  • 김상택;김태영;김부균;임영안;박경현
    • 한국광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527-534
    • /
    • 2005
  • 하나의 DFB 영역, 위상 조정 영역과 이득 영역으로 구성된 다중 전극 DFB 레이저의 pulsation 동작 특성을 살펴본다. Anti-phase (AP) complex-coupled (CC) DFB 구조를 사용한 경우가 in-phase CC DFB 구조나 index-coupled DFB 구조를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안정된 pulsation 동작이 발생하는 이득 영역과 위상 조정 영역의 전류 범위가 큼을 알 수 있다. AP CC DFB 구조를 사용한 경우 결합 세기가 커질수록, 이득 결합 계수가 커질수록 안정된 pulsation 동작이 발생하는 이득 영역의 전류 범위가 증가하고 pulsation 주파수의 튜닝 영역이 커짐을 볼 수 있다. 또한 위상 조정 영역의 위상 변화에 의한 pulsation주파수의 튜닝 영역도 커짐을 볼 수 있다. 고정된 결합 세기에서 DFB 영역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pulsation 동작이 발생하는 위상 조정 영역과 이득 영역의 전류 범위가 증가하여 pulsation 주파수 튜닝 영역이 넓어짐을 볼 수 있다.

Robust tuning of quadratic criterion-based iterative learning control for linear batch system

  • Kim, Won-Cheol;Lee, Kwang-Soon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6년도 Proceedings of the Korea Automatic Control Conference, 11th (KACC); Pohang, Korea; 24-26 Oct. 1996
    • /
    • pp.303-306
    • /
    • 1996
  • We propose a robust tuning method of the quadratic criterion based iterative learning control(Q-ILC) algorithm for discrete-time linear batch system. First, we establish the frequency domain representation for batch systems. Next, a robust convergence condition is derived in the frequency domain. Based on this condition, we propose to optimize the weighting matrices such that the upper bound of the robustness measure is minimized. Through numerical simulation, it is shown that the designed learning filter restores robustness under significant model uncertainty.

  • PDF

MRPID 제어기의 튜닝 방법연구 (A Study on the MRPID parameter tuning method)

  • 류현준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4권6호
    • /
    • pp.21-28
    • /
    • 2007
  • Mutiresolution 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MRPID) 제어기는 웨이브렛 기반의 다해상도 응답을 이용해서 에러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잡음과 외란을 제거하는 필터 역할을 해준다. 다해상도 응답의 특징상 샘플링 주파수가 높을 경우 상대적으로 고주파성분이 남아있음으로 인해 응답속도가 떨어지는 대신에 오버슈트가 제거되고, 낮을 경우 신호 성분이 제거되므로 인해 응답속도가 향상되지만 오버슈트가 증가 되는 결과를 보였다. 본 논문에서는 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PID) 제어기와 MRPID 제어기의 응답을 이용한 샘플링 주파수를 설정하는 기법과, MRPID 제어기의 특성을 고려한 파라미터 설정기법을 제안한다. 모의실험을 통해서 제안된 기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개선된 바랙터 결합 선로를 이용한 Ku-Band 헤어핀 발진기 설계 (A Ku-Band Hair-Pin Resonator Oscillator with a New Varactor Coupled Line Structure)

  • 최광석;원득호;윤상원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83-89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개선된 바랙터 결합 선로를 제안하고, 이 구조를 사용한 주파수 합성기를 설계 제작하였다. 제안된 결합 선로는 기존 구조에 추가적인 $\lambda$/4 전송 선로를 이용하여 바랙터에서 반사되는 잡음신호를 제거하는 구조이다. 제작한 주파수 합성기는 Ku-band 대역에서 헤어핀 공진기를 사용하였으며, PLL을 사용하여 주파수를 고정하였다. 제안된 구조로 제작한 헤어핀 발진기의 경우, 38 MHz의 주파수 조정 범위와 100 kHz offset에서 -97 dBc/Hz의 위상 잡음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측정 결과는 제작한 기존 구조의 바랙터 결합 선로를 가지는 헤어핀 발진기보다 30 MHz 개선된 주파수 조정 범위와 8 dB 개선된 위상 잡음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Varactor-Loaded Split-Ring Resonator(VLSRR) 기반의 가변 Metamaterial 전송 선로를 이용한 광대역 전압 제어 발진기 (Broadband VCO U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Metamaterial Transmission Line Based on Varactor-Loaded Split-Ring Resonator)

  • 최재원;서철헌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4권11호
    • /
    • pp.54-59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varactor-loaded split-ring resonator (VLSRR)를 기반으로 한 가변 metamaterial 전송 선로를 이용한 광대역 전압 제어 발진기를 제안하였다. 우선,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에 결합된 VLSRR이 주파수 조절 특성을 갖는 metamaterial 전송선로를 만들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음의 유효 투자율은 VLSRR에 의해 공진 주파수 상에서 협대역으로 얻어지는데, 버랙터 다이오드들의 연결을 통해 주파수가 조절될 수 있다. 1.8 V의 공급 전압을 갖는 전압 제어 발진기는 주파수 조절 범위 $5.407\;{\sim}\;5.84\;GHz$에서 $-108.84\;{\sim}\;-105.5\;dBc/Hz$ @ 100 kHz의 위상 잡음 특성을 얻는다. Power-frequency-tuning-normalized (PFTN)이라고 불리우는 figure of merit (FOM)은 20.144 dB이다.

온도제어용 자동동조 PID 제어기 설계와 RTP에의 적용 (Development of auto-tuning PID controller for Temperature Control systems and Its Application to Rapid Thermal Processor)

  • 임재식;이영일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0년도 제15차 학술회의논문집
    • /
    • pp.62-62
    • /
    • 2000
  • An auto-tuning PID controller which is adequate for temperature control is developed based on relay-control and pole-placement Using the critical frequency which is obtained from relay-control parameters of assumed model are identified. Pole/zero-placement PID controller is designed for the identified model. The desired pole/zeros are determined so that the closed-loop has overshoot free step response. The developed auto-tuning PID controller was successfully applied to the temperature control of RTP.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