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ur Season

검색결과 838건 처리시간 0.028초

재래종 옥수수 수집종에 대한 특성조사 제5보 다수다벽 재래종 옥수수계통의 특성변이 (Investigation on Korean Local Maize Lines V. Variabilities of Plant Characters of Multi-eared and Tillered Lines(MET))

  • 최봉호;박종성;김영래;박근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6-68
    • /
    • 1981
  • 재래종의 수집종 가운데서 선접된 다종다벽계통 (약칭 : MET)의 일반적 대성을 분석하여 청예용 옥수수의 육종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져 수행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주요 특성들의 환경변이와 유전변이를 추정하였던 바 MET계통의 분벽성, 개체당 이삭수(수수)는 환경변이보다도 유전변이가 큰 것으로 추정되었다. 개체당 건물중 및 건엽중 등도 유전변이가 커 MET 계통의 유전적 특성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건기중, 입중 등은 환경변이가 컸었다. 2. 몇가지 특성의 평균치를 두 품종간에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분벽기수 및 이삭수 : 수원 19호는 환경변이 (파종기, 재식밀도)에 관계없이 분벽기이 없고 이삭수도 변하지 않았으나 MET계통은 분벽기수 및 이삭수가 크게 달라졌다. 나. 개체당 건물중, 건엽중 및 건기중 : 파종기나 재식밀도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MET계통의 개체당 건물이 수원 19호보다 비교적 높았으며 건엽중은 월등히 높았고(1.5-2.5)배 개체당 건기중도 비교적 높았다. 다. 개체당 입중 및 입중 대 건기엽중비 : MET계통의 개체당 입중은 수원 19호보다 5~40% 낮았다. 따라서 MET계통의 입중 대 건기엽중비가 평균 35%였고 수원 19호는 41%로서 높았다. 3. MET계통은 파종 2주 후부터 분벽하기 시작하여 3 ~ 5일간격으로 다음 분벽이 되었으며 생육초기에 왕성하여 최고 6~7개에 이르나 2~3개만이 유효기으로 신장되였다. 유효기비율은 소식일수록 높았다. 분벽의 발생은 주기의 최하절읍부터 시작되는 데 하부절위가 짧아 한절위에서 분벽이 여러개 발생하는 것처럼 보였다. 제 1, 2분벽기의 기장은 주기의 것에 비하여 10cm 정도씩 짧았으며 재식밀도에 따라 주기 및 제일, 이분벽기의 기장은 소식(60$\times$60cm)한 경우 밀식(60$\times$20cm)한 경우와 같이 분벽들에 의한 밀식의 효과가 있었고 중간재식밀도(60$\times$40cm)인 경우에는 소ㆍ밀도의 중간되는 기장을 보였다. 4. MET계통은 개체당 이삭수가 많은 것에 반하여 이삭의 크기는 수원 19호의 \frac{1}{3}도 못되었다. 각분벽기에 달리는 이삭수는 소식의 경우 주기에 4개, 제일, 이분벽기에 2~3개씩 달렸다. MET계통의 입은 경입종이며 황색입이 주가되고 백색입이 약간 섞여 있었으며 100입중은 14~15gr. 의 소입종이었다. MET계통은 착수고가 수원 19호보다 훨씬 높았다. 5. 주요 특성간의 상간 : 수원 19호에 비하여 MET 계통은 주요 특성간에 높은 상관계수를 보여 유전상관도 높을 것이라는 것을 간접적으로 나타내주었다. 6. MET계통은 생장속도가 수원 19호보다 훨씬 늦었으며 개화기도 2~3주나 늦었다. 7. 흑조위축병 : 수원 19호와 같이 MET계통도 흑조위축병에 대해 이병성이었다. 이병성은 늦게 파종하거나 밀식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 PDF

구안와사(口眼喎斜)에 대한 한의(韓醫) 및 한(韓)·서의(西醫) 협진(協診) 치료(治療)의 임상(臨床) 관찰(觀察) (Comparative Clinical Study between Oriental Medicine and Oriental-western Medicine Treatment on Facial Nerve Paralysis)

  • 강미정;김기현;황현서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17권1호
    • /
    • pp.55-66
    • /
    • 2000
  • The following results have been obtaind after examing 72patients with facial paralysis who were hospitalzed and treated through the time period of December 1st, 1996 to November 30th, 1999 at the Department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of Seoul Oriental Medicine, Kyungwon University. During the examination, those 72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One group was treated by oriental-western treatment, the other group was treated by oriental treatment. Oriental treatments were acupuncture and moxibustion, herb medicine, physical treatment and hygienic treatment. The one of main western treatments is steroid therapy.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1. In regard to signs at the first medical examination, lacrimation was showed highest number and facial paralysis, dysgeusia, hyperacusis were showed in numerical order. 2. In regard to prescription of oriental herb medicine, Kamissangbotang(加味雙補湯) was prescribed in greatest numbers and Boyangwhanotang(補陽還五湯), Kamiboiktang(加味補益湯), Ligigepungtang(理氣祛風湯) were prescribed in numerical order. 3. In regard to treatment number, 10~19 times for treatment was showed highest number and 1~9 times, 20~29 times, 40~49 times were showed in numerical order . 4. In regard to mean treatment times about injury region and main sign, the effect of oriental-western treatment was showed as follows: lacrimal gland disorder, hyperacusis, dysgeusia, facial paralysis were treated for 15.1, 27, 13.2 and 21.4 times, repectively. The effect of oriental treatment was showed as follows: lacrimal gland disorder, hyperacusis, dysgeusia, facial paralysis were treated for 34.8, 22.1, 33.8 and 16.3 times, respectively. 5. In regard ta the effect of treatment about injury region and main sign, oriental-western treatment was showed as follows: cases of lacrimal gland disorder were showed 1 of excellent case, 1 of fair case, 5 of good cases. In hyperacusis patients, there was showed 1 of fair case. In dysgeusia patients, there was showed 1 of excellent case, 3 of fair cases, 1 of good case. In facial paralysis, there were showed 5 of fair cases. Oriental treatment was showed as follows: In lacrimal gland disorder, the excellent were 4 cases, the fair were 10 cases, the good were 3 cases and the poor were 4 cases, In hyperacusis, the fair were 5 cases, the poor 2 cases. In dysgeusia, the excellent were 4 cases, the fair were 1 case, the good were 1 case and the poor was 1 case, In facial paralysis, the excellent were 9 cases, the fair were 4 cases, the good 3 cases and the poor were 3 cases. 6. The effect of total treatment was as follows: 30 cases were showed fair effect, 19 cases were showed excellent effect, 13 cases were showed good effect and 10 cases were showed poor effect. 7. In regard to attack factor, overlabour was showed highest number and wind-cold, mental stress, trauma, ear disease, common cold, dental diseae, reason unknwon were showed in numerical order. 8. In regard to premonitory symptoms, non significant symptoms were in 38 cases, the pain of peri-stylomastoid region were in 38 cases and headache, dysaesthesia of periorbit, dysgeusia, stomatitis, eyelid tic were showed in numerical order. 9. In regard to sex, male were 33 cases and female were 39 cases. The distribution of age was disclosed that thirty, forty, fifty, seventy, sixty, twenty and below twenty years were revealed in turn. Sex and paralytic side were showed as follows: male-left were 15 cases, male-right were 18 cases, female-left were 19 cases and female-right were 19 cases. In regard to attack frequence in month, March was showed highest number and January, April, May, August, October, etc were showed in numerical order. In regard to attack frequence in season, spring was showed highest number and winter, summer, fall were showed in numerical order, but attack frequence between four seasons was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 PDF

저염분에서 사육한 황복 Takifugu obscurus 생식소의 성숙과 산란 (Gonadal Maturation and Spawning of River Puffer Takifugu obscurus Indoor Cultured in Low Salinity)

  • 강희웅;정의영;강덕영;박영제;조기채;김규희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31-338
    • /
    • 2008
  • 본 연구는 황복 Takifugu obscurus를 대상으로 1995년 3월부터 1996년 2월까지 자연산 황복의 생식소중량지수(GSI), 간중량지수(HSI)의 월별 변화와 산란기 동안 산란지역의 수질환경을 조사하였다. 또한 2004년 7월부터 2005년 6월까지 육상수조에서의 저염분사육에 따른 GSI, HSI의 월별 변화를 조사하였고, 생식소의 외부 형태, 배우자 형성과정 중 생식세포 분화, 생식소발달 단계에 따른 생식주기를 광학현미경으로 연구하였다 자연산 황복의 산란장소인 충남 강경의 적정 수질환경은 수온 $15-20^{\circ}C$ 염분은 0 psu였으며, GSI 월별 변화는 암컷과 수컷에서 5월에 최대값을 보인 후 6월에 급격히 낮아져 자연상태에서 황복의 산란기는 5-6월로 추정되었다. 자연산 황복의 GSI와 HSI 사이에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저 염분으로 사육한 황복 암컷과 수컷의 생식소 외부형태는 좌 우측에 한 쌍의 낭상구조를 이루고 있다. GSI의 월별 변화를 근거로 실내 수조에서 저염분으로 사육한 황복의 암 수 개체들은 3-5월에 산란하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자연산과 비슷하게 GSI와 HSI 사이에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생식소발달 단계에 따른 생식주기는 암컷에서 초기성장기, 후기성장기, 성숙기, 완숙 및 산란기, 회복 및 휴지기의 5단계로 구분할 수 있었고, 수컷에서는 성장기, 성숙기, 완숙 및 방정기, 회복 및 휴지기의 연속적인 4단계로 구분되었다. 황복은 자연산의 경우, 연중 한 번의 산란기를 가지나 육상 양식장에서 고수온($20-27^{\circ}C$) - 저염분(3.3 psu 이하) 조건에서 사육하면 연중 다회 산란, 방정이 가능한 생식 특성을 가진다.

벼 재배기간중 전남동부지역 농촌하천의 수질과 분포초종 (Water Quality of Streams and Riparian Vegetation at Rice Cultivation Area of Eastern Jeonnam)

  • 이도진;조주식;국용인;안호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15
    • /
    • 2003
  • 전남 동부권에 위치하는 농경지 주변 4개 하천에 대하여 벼 재재기간을 전후한 시기에 하천수질의 특성과 분포하는 초종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하천수질 특성은 다양하였으며 조사기간 중 각 하천수의 pH는 $6.5{\sim}8.3$ 범위였고, EC는 벌교천($162{\sim}4,910\;{\mu}S/cm$)에서 가장 높았으며 보성천($114.7{\sim}286.6\;{\mu}S/cm$), 송광천($74.8{\sim}147.4\;{\mu}S/cm$), 이사천($61.6{\sim}82.1\;{\mu}S/cm$)순이었다. 조사기간 중 총질소 함량은 보성천($1.9{\sim}7.4\;mg/L$), 벌교천($2.1{\sim}3.9\;mg/L$), 송광천($2.4{\sim}3.4\;mg/L$), 이사천($1.7{\sim}2.6\;mg/L$)순으로 호소수질 환경기준 1등급(0.2 mg/L)과 농업용수 수질기준(1 mg/L)을 모두 초과하였다. 그 밖의 대부분 조사항목 Ca, Mg, Na, $Cl^-$ 등)은 하천에 따른 함유량 고저 차이는 있었으나 모내기를 전후한 시기에 영양염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나 보성천에서는 5월, 송광천과 이사천에서는 6월이었다. 4개 하천의 조사지점에서 관찰된 초종수는 모두 16과 30종이었으며 송광찬 보성찬 이사찬 벌교천에서 각각 18종, 19종, 15종 및 5종으로서 다년생은 17종, 일년생과 2년생은 13종이 출현하였다. 침수성 초종은 검정말 말즘, 물수세미, 부유성 초종은 개구리밥과 좀개구리밥, 추수성 초종은 갈대, 고마리, 미나리, 여뀌, 줄 등이 관찰되었다. 물가와 주변에서는 개구리자리, 개피, 달뿌리풀, 돌소리쟁이, 물억새, 미국가막사리, 바늘골, 방동사니대가리, 뱀딸기, 사마귀풀 삿갓사초 살갈퀴, 선피막이, 소리쟁이, 쇠방동사니, 여뀌바늘, 큰도꼬마리, 토끼풀, 환삼덩쿨, 황새냉이 등의 20종이 관찰되었으며 그 중 고마리, 소리쟁이, 환삼덩쿨은 하천의 모든 조사지점에 출현하였다.

전산관리 양돈농가의 번식성적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Studies on Factors affecting on Reproductive traits of the Pig Farms managed by EDP System)

  • 김효선;김병우;김현철;이길왕;하정기;전진태;이정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6호
    • /
    • pp.917-922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s of farm, type of sow Landrace${\times}$Yorkshire, LY; Yorkshire${\times}$ Landrace, YL; Yorkshire${\times}$Yorkshire, YY and multi-cross bred sow, MBS), parity, farrowing year, farrowing season and mating method on reproductive traits such as total number born per litter, number of born alive per litter, number of weaned per litter, number of mummified per litter, number of stillbirth. The Reproductive Records of 3,387 litters from January, 1999 to September, 2002 were obtained from four pig farms managed by Electronic Data Processing(EDP) system. Reproductive performances for two types of F1 Sows(YL and LY) were estimated as 11.34${\pm}$0.266 and 11.57${\pm}$0.263 heads for total number of born per litter, 10.56${\pm}$0.216 and 11.81${\pm}$0.251 heads for number of born alive per litter, and 10.05${\pm}$0.131 and 9.96${\pm}$0.153 heads for number of weaned per litter, respectively. These records are significantly higher(P〈0.05) than those of YY and MBS. However, number of mummified per litter, number of stillborn per litter, number of dead by diarrhea per litter, number of dead by other reasons during lactating period per litter and estrus interval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ypes of sows. There were more total number of born per litter and number of weaned per litter in year 2001 than other year. As year passed, number of dead by crush per litter, number of dead by diarrhea per litter and number of dead by other reasons during lactating period per litter reduced from 0.18${\pm}$0.023 to 0.07${\pm}$0.022 head, 0.12${\pm}$0.21 to 0.02${\pm}$0.020 head and 0.43${\pm}$0.041 to 0.22${\pm}$0.040 head, respectively and weaning rate increased from 0.94${\pm}$0.005% to 0.97${\pm}$0.005%. The total number of born per litter and number of born alive per litter were higher(P〈0.05) in the case of mating twice than mating once. The number of weaned per litter, number of mummified per litter and number of stillborn per litter were not significant(P〈0.05) between mating methods. Estrus interval was shorter on the occasion of twice artificial insemination(5.24${\pm}$0.153days) than twice natural mating(6.51${\pm}$0.466days).

하수처리수 관개후 벼재배 시험구에서 지표미생물 거동 분석 (Analysis of Indicator Microorganism Concentration in the Rice Cultural Plot after Reclaimed Water Irrigation)

  • 정광욱;전지홍;함종화;윤춘경
    • 생태와환경
    • /
    • 제37권1호통권106호
    • /
    • pp.112-121
    • /
    • 2004
  • 이 연구에서는 하수처리수를 농업용수로써 재이용시 발생할 수 있는 위생문제를 검토하기 위해 하천수, biofilter 유출수, 그리고 UV소독수를 관개한 벼재배 실험포트에서 지표미생물의 밀도변화를 조사하였다. 우리나라 하수처리장 유출수 수질기준을 살펴보면, USEPA에서 정하고 있는 농업용수 재이용 수질기준 항목인 $BOD_5$와 SS의 수질기준은 만족시키지만, 대장균의 경우추가적인 처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벼 식재 직후인 5월과 6월의 경우 관개 후 24시간 동안의 평균밀도가 $10^2{\sim}10^4$의 범위에서 관개용수의 밀도와 상관없이 지표미생물의 밀도변화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 시기에는 기비와 추비로 인해 미생물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물질, 교란된 저질의 높은 미생물 밀도 등에 영향을 받고 논의 벼 생육생태가 덜 성숙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7월과 8월은 처리구별로 밀도차이가 컸고 24시간 동안 변화폭도 컸으며, 관개용수 미생물밀도에 영향도 일부 나타났다. 실험기간동안 지표미생물의 밀도를 관개용수별로 분산 분석한 결과, UV소독 후 관개한 경우가 하천수와 biofilter 유출수를 사용한 경우보다 낮은 밀도를 나타내었다. 실제 논농사가 이루어지고 있던 양평군의 하천관개 논과 여주군의 지하수관개 논의시료분석에서 지표미생물 밀도는 FC, E. coli밀도가 TC밀도보다 크게 낮았으며, 시기별로 밀도의 차이가 있으나, TC, FC, 그리고 E. coli의 평균밀도가 약 4,000, 400,300 MPN/100mL범위를 나타내었다. TC의 밀도는 본 실험포트 실험과 유사한 범위이었으며, FC와 E. coli는 실험포트에서 초기 경운시 사용된 biofilter 유출수의 영향으로 실제 논보다 높은 값이었다. 이앙기 때에는 특별히 논 표면수와 신체접촉이 많은 점을 고려할 때 하수처리수만을 관개하여 이앙준비를 하는 것보다 하수처리수를 보조관개용수로 사용하는 것이 보다 안전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수처리수를 농업용수로 재이용할 경우 하수처리수를 관개용수로 직접 이용하기보다는 UV소독으로 보건 위생학적으로 높은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하수처리수재이용 수질기준에도 적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벼의 생육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영양물질과다로 인한 도복문제, 하수처리수에 존재할 수 있는 독성물질에 의한 영향 등 하수처리수를 관개강수로 이용하는 데에는 종합적이고 과학적인 고찰이 필요하며, 본연구의 결과는 하수처리수를 농업적으로 이용할 경우 공공의 보건 ·위생적인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의 성격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기상조건과 배설지 특성에 따른 수달(Lutra lutra) 분변의 표백현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f Bleaching Phenomenon of Otter (Lutra lutra) Spraints in Relation to Weather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Sprainting Sites)

  • 노은영;한성용;유정칠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0
    • /
    • 2015
  • 배설 후 시간 경과에 의해 나타나는 수달(Lutra lutra) 분변의 표백현상은 신선한 분변(Fresh spraints)과 오래된 분변(Old spraints)을 알려주는 척도로 이용되고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분변 표백현상에 대해 외적 특징만을 언급해왔을 뿐, 분변 간 발생하는 표백률의 차이를 설명할 수 없었다. 본 연구는 공극률, 연경도 같은 배설지 특성에 의해 발생하는 미기상(Micrometeorology) 차이가 분변 간 표백률에 차이를 유발할 것이라 가정했다. 배설지 조건은 점토, 모래, 바위, 콘크리트의 네 가지 유형으로, 일사량의 영향을 보기 위해 다시 양지와 음지로 나누었다. 배설지 미기상은 지표면의 기온과 습도 측정을 통해 도출했고, 계절적 변화를 고려하기 위해 전 계절에 걸친 측정이 이루어졌다. 배설지 기상요소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양지에서 배설지 유형에 따라 미기상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배설지 미기상 차이가 분변 표백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양지의 바위와 콘크리트 배설지에서 높은 분변 표백률이 나타났으며, 특히 여름에는 양지의 점토 배설지에서 분변 표백률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였다($63.4{\pm}7.6%$). 전 계절에 걸쳐 표백률이 가장 낮은 배설지는 모래인 것으로 나타났다. 각 배설지의 분변 표백률은 계절과 햇빛의 유무에 따라 차이가 발생했고, 배설지 특성에 의한 열전도도 차이가 배설지 기온 차이를 유발함으로써, 분변 표백률에 차이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분변을 간접흔적(Indirect sign)으로 이용하는 수달 생태조사에 있어서, 분변 표백현상에 대한 기존의 외적 평가는 계절, 배설지 특성 및 햇빛의 유무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한국성우(韓國成牛)의 혈액학치(血液學値) 및 혈액화학치(血液化學値)에 관한 연구(硏究) 제2보(第二報) 한국성우(韓國成牛)의 혈액화학치(血液化學値)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Hematology and Blood Chemistry of Korean Cattle Part II. Studies on the Blood Chemistry of Korean Cattle)

  • 정창국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97-123
    • /
    • 1965
  • Observations were made on the blood picture of total 196 heads of healthy Korean cattles, including 98 males and females in the purpose of determination of blood chemical values and their sex differences and seasonal variations during one year period from December, 1963 to November, 1964. The blood sampling were scheduled by random in four different seasons and the sample size of both sex included in each season were designated to be same size. The ranges, averages or mean values of the blood glucose, total serum protein, serum globulin, serum albumin, total non-protein nitrogen, blood urea nitrogn, total serum cholesterol, serum inorganic phosphorus and serum calcium were determined in this studies and their respective standard deviation, standard error of means, sex differences and seasonal variations were as follows. 1. The blood glucose values for the male ranged from 32.8 to 70.0 mg/100cc. with a mean of $49.781{\pm}0.823mg/100cc$; for the female the range was 32.0 to 64.0mg/100cc. with a mean of $47.235{\pm}0.782mg/100cc$. Sex difference showed significant at 5% level and seasonal variation was highly significant at 1% level. 2. The total serum protein values for the male ranged from 5.61 to 8.83 gm/100cc with a. mean of $7.366{\pm}0.062gm/100cc$; for the female ranged from 5.53 to 8. 43 gm/100cc. with a mean of $6.832{\pm}0.063gm/100cc$. Sex difference and seasonal variation was not significant. 3. The serum globulin values for the male ranged from 2.97 to 4.78 gm/100cc. with a mean of $3.961{\pm}0.039gm/100cc$.; for the female ranged from 2.87 to 4.41 gm/100cc. with a mean of $3.699{\pm}0.037gm/100cc$. Sex difference showed highly significant at 1% level and seasonal variation was not significant. 4. The serum albumin values for the male ranged from 2.58 to 4.21 gm/100cc. with a mean of $3.405{\pm}0.029gm/100cc$.; for the female ranged from 2.39 to 4.10 gm/100cc. with a mean of $3.204{\pm}0.031gm/100cc$. Sex difference showed highly significant at 1% level and seasonal variation was not significant. 5. The total non-protein nitrogan values for the male ranged from 19.1 to 44.8 gm/100cc. with a mean of $31.166{\pm}0.582mg/100cc$.; for the female the range was 15.2 to 50.5 mg/100cc. with a mean of $28.89.6{\pm}0.673mg/100cc$. Sex difference showed significant at 5% level and seasonal variation was highly significant at 1 % level. 6. The blood urea nitrogen values for the male ranged from 6.4 to 28.3 mg/100cc. with a mean of $13.371{\pm}0.466mg/100cc$.; for the female the range, was 6.0 to 26.9 mg/100cc. with a mean of $13.631{\pm}0.321mg/100cc$. Sex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and seasonal variation showed highly significant at 1 % level. 7. The total serum cholesterol values for the male ranged from 60.0 to 238.6 mg/100cc. with a mean of $140.897{\pm}2.826mg/100cc$.; for the female ranged from 50.0 to 243.0 mg/100cc. with a mean of $124.840{\pm}3.553mg/100cc$. Sex difference and seasonal variation showed highly significant at 1% level. 8. The serum inorganic phosphorus values for the male ranged from 3.5 to 7.8 mg/100cc. with a mean of $5.426{\pm}0.096mg/100cc$.; for the female ranged from 3.1 to 8.8 mg/100cc. with a mean of $5.570{\pm}0.128mg/100cc$. Sex difference and seasonal variation showed no significant. 9. The serum calcium values for the male ranged from 7.8 to 12.8 mg/100cc. with a mean of $10.761{\pm}0.102mg/100cc$.; for the female ranged from 8.0 to 13.0 mg/100cc. with a mean of 10. $756{\pm}0.097mg/100cc$. Sex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and seasonal variation showed highly significant at 1% level. 10. The age of test group ranged from 2 years to 6 years in both sex and the averageage were, $4.45{\pm}0.114$ years in male and $4.50{\pm}0116$ years in female. Sex difference and seasonal variation of age were not found to be significant.

  • PDF

한국성우(韓國成牛)의 혈액학치(血液學値) 및 혈액화학치(血液化學値)에 관한 연구(硏究) 제1보(第一報) 한국성우(韓國成牛)의 혈액학치(血液學値)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Hematology and Blood Chemistry of Korean Cattle Part I. Studies on the Hematology of Korean Cattle)

  • 정창국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1-96
    • /
    • 1965
  • Observations were made on the blood picture of total 196 heads of healthy Korean cattles, including 98 males and 98 females in the purpose of determination of hematological values and its sex difference, and seasonal variations during one year period from December 1963 to November 1964. The blood sampling were scheduled by random in four different seasons and the sample size of both sex included in each season were designated to be same size. The ranges, averages or mean values of the erythrocytes, hemoglobin, hematocrit, m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 total white blood cell count and differential count were determined in this studies and their respective standard deviation, standard error of means, sex defferences and seasonal variations were as follows; 1. The erythrocyte count of male showed a range of $5.0{\times}10^6/c.mm$ to $8.75{\times}10^6/c.mm$ with a mean of $6.5{\pm}0.096{\times}10^6/c.mm$. Female showed a range of $5.0{\times}10^6/c.mm$ to $8.30{\times}10^6/c.mm$, with a mean of 6. $131{\pm}0.078{\times}10^6/c.mm$. There was a highly significant sex difference and seasomal variation was not found to be significant. 2. The hemoglobin value of male showed a range of 9.0g/100cc. to 14.5g/100cc. with a mean of $11.074{\pm}0.143g/100cc$. Female showed a range of 9.0g/100cc to 13.0g/100cc. with a mean of $10.745{\pm}0.034g/100cc$. There was a highly significant sex difference and seasonal variation was not found to be significant. 3. The hematocrit value of male showed a range of 28% to 45% and with a mean of $34.867{\pm}0.468%$. Female showed a range of 28% to 42% with a mean of $32.888{\pm}0.322%$. There was a highly significant sex difference and seasonal variation was not found to be significant. 4. The mean corpuscular hemoglobin of male showed a range of 14.4rr. to 19.6rr. with a mean of $17.1{\pm}0.112rr$. Female showed a range of 14.7rr. to 19.5rr. with a mean of $17.6{\pm}0.113rr$. 5. The mean corpusular volume of male showed a range of $42.5{\mu}^3$ to $62.2{\mu}^3$ with a mean of $53.9{\pm}0.419{\mu}^3$, Female showed a range of $44.2{\mu}^3$ to $60.0{\mu}^3$ with a mean of $53.8{\pm}0.375{\mu}^3$. 6. The m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 of male showed a range of 28.1 % to 34.9% with a mean of $31.4{\pm}0.161%$. Female showed a range of 28.0% to 34.9% with a mean of $30.9{\pm}0.169%$. 7. The total leucocyte count of male showed a range of 4,000/c.mm to 13,100/c.mm. with a mean of $9,338{\pm}218.23/c.mm$. Female showed a range of 4,000/c.mm. to 14,000/c.mm. with a mean of $9,338{\pm}235.90/c.mm$. Six difference was not found to be significant and there was a highly significant seasonal variation. 8. The differential count of male, the means of neutrophil, stab, segmented cell, Iymphocyte, monocyte, eosinophil and basophil were $31.173{\pm}0.570%$, 0.3%. $30.867{\pm}0.564%$, $55.112{\pm}0.603%$, $3.745{\pm}0.082%$, $9.867{\pm}0.422%$ and 0.14% rspectively. Female showed means of $31.010{\pm}0.572%$, 0.2%, $30.806{\pm}0.569%$, $53.929{\pm}0.634%$, $4.082{\pm}0.109%$, $10.908{\pm}0.503%$ and 0.12%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sex differences in monocyte and highly significant sex difference in eosinophil, and seasonal variation were found to be highly significant in neutrophil, monocyte and eosinophil. 9. Hematological comparison made between cattles infested with so called "small type piroplasma" and non-infested group. The result of investiga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upon the red blood cell, hemoglobin and hematocrit values between lighty infested group and non-infested group. 10. Age distribution of test group in this study ranged from 2 years to 6 years in both sex and their average age were $4.45{\pm}0.114$(male) and $4.50{\pm}0.116$(female). There found to be no significant sex difference and seasonal variations in the age of test group.

  • PDF

지하방수로 설계를 위한 적정 위치선정 및 규모 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Optimal Location and Size for Underground Sluiceway Design)

  • 이종태;임택선;허성철;박상식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8권5호
    • /
    • pp.137-145
    • /
    • 2008
  • 이 연구는 계획규모를 초과하는 홍수량으로 인하여 예상되는 하천범람피해를 경감하기 위한 지하방수로 계획에서의 적정 위치선정 및 규모를 결정하기 위한 기초분석기술에 대한 것으로서, 1998년과 2001년에 집중호우로 일부제방의 범람 및 붕괴에 의해 막대한 손실이 발생한 중랑천을 대상으로 하였다. 지하방수로의 유입부 위치는 200년 빈도홍수에 취약한 서울시경계, 당현천 합류부, 월계 1교, 묵동천 합류부의 4곳을 후보지로 선정하였고, 유출부는 국공유지로서 사용이 가능한 중랑천하구부와 한강의 반포대교 우안부을 선정하였다. 유입부의 월류고별 횡월류량을 산정하고 홍수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검토결과, 유입부의 위치는 당현천 합류부가 적정한 것으로 판단되었는바, 이곳에 지하방수로 유입부를 설치하였을 때 홍수저감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방수로의 적정규모검토를 위해 방류구 운영규칙을 단순저류, 일정률, 일정량, 일정률+일정량의 혼합방류의 4가지 방식을 기본으로 하는, 총 8가지 경우를 적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200년 규모의 홍수에 대응하는 지하방수로의 적정규모를 검토한 결과 방수로의 크기는 단순저류(Rule D)일때 가장 큰 규모인 직경 12 m로 분석되었고, 일정률 방류(Rule E)에서는50%방류에서 직경 9 m, 일정량 방류(Rule F)에서는 직경 8 m, 일정량 + 일정률 방류(Rule G)의 경우는 직경 7 m로 각각 산정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검토과정은 하천제방의 범람으로 연안의 침수피해가 막대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 EAP 차원에서의 방수로 건설 계획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중랑천 방수로를 건기시에는 서울시와 의정부지역을 연결하는 지하 도로로 활용하는 방안을 함께 고려함으로써 방수로의 활용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