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Optimal Location and Size for Underground Sluiceway Design

지하방수로 설계를 위한 적정 위치선정 및 규모 결정에 관한 연구

  • 이종태 (경기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
  • 임택선 ((주)동명기술공단 수자원부) ;
  • 허성철 (경기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
  • 박상식 (경기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 Published : 2008.10.31

Abstract

In this study, to reduce the flood damage caused by flood discharge exceeding project flood, the primary technology was applied to determining the optimal location and size for underground sluiceway. The Jungrang Stream was selected for this study because the stream was overflowed and the embankment section of the stream was destroyed owing to localized torrential rainfall in 1998 and 2001. Considering 200-year frequency storm, the inlets of the underground discharge channel were located at Seoul City limits, the confluence of Danghyun Stream, Wolgye 1-gyo, and the confluence of Mukdong Stream. The outlets were located at the estuary of Jungrang Stream and rightbank of Banpo Bridge in Han River. The transverse discharge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overflow depth at the inlet of underground discharge channel was estimated and the effect of inundation reduction was analyzed. To examine the appropriate scale of the underground discharge channel, the 8 operation methods for the management of outlet discharge were compared considering four rules (only storage, the constant discharge rate, the constant discharge volume, and the mixture of the constant discharge rate and discharge volume). As a result, the effect of inundation reduction was most significantly improved when the inlet was located at the confluence of Danghyun Stream. The appropriate size of underground sluiceway for 200-year frequency storm was studied, and as a result, the appropriate diameters of the underground discharge channel were 12 m in case of only storage(Rule D), 9m in 50% of discharge(Rule E), 8 m in constant discharge volume(Rule F), and 7 m in mixture method(Rule G). This investigation process can be applied to design the underground discharge channel when the inundation damage is significant in coastal area due to embankment overflow. The underground discharge channel in Jungrang Stream can also be used as an underground road to link Seoul City to Uijeongbu City during dry season.

이 연구는 계획규모를 초과하는 홍수량으로 인하여 예상되는 하천범람피해를 경감하기 위한 지하방수로 계획에서의 적정 위치선정 및 규모를 결정하기 위한 기초분석기술에 대한 것으로서, 1998년과 2001년에 집중호우로 일부제방의 범람 및 붕괴에 의해 막대한 손실이 발생한 중랑천을 대상으로 하였다. 지하방수로의 유입부 위치는 200년 빈도홍수에 취약한 서울시경계, 당현천 합류부, 월계 1교, 묵동천 합류부의 4곳을 후보지로 선정하였고, 유출부는 국공유지로서 사용이 가능한 중랑천하구부와 한강의 반포대교 우안부을 선정하였다. 유입부의 월류고별 횡월류량을 산정하고 홍수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검토결과, 유입부의 위치는 당현천 합류부가 적정한 것으로 판단되었는바, 이곳에 지하방수로 유입부를 설치하였을 때 홍수저감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방수로의 적정규모검토를 위해 방류구 운영규칙을 단순저류, 일정률, 일정량, 일정률+일정량의 혼합방류의 4가지 방식을 기본으로 하는, 총 8가지 경우를 적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200년 규모의 홍수에 대응하는 지하방수로의 적정규모를 검토한 결과 방수로의 크기는 단순저류(Rule D)일때 가장 큰 규모인 직경 12 m로 분석되었고, 일정률 방류(Rule E)에서는50%방류에서 직경 9 m, 일정량 방류(Rule F)에서는 직경 8 m, 일정량 + 일정률 방류(Rule G)의 경우는 직경 7 m로 각각 산정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검토과정은 하천제방의 범람으로 연안의 침수피해가 막대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 EAP 차원에서의 방수로 건설 계획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중랑천 방수로를 건기시에는 서울시와 의정부지역을 연결하는 지하 도로로 활용하는 방안을 함께 고려함으로써 방수로의 활용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창완 (2004) 방수로(지하).분수로 설계기술 현황 조사 및 개발 방향 수립. 연구보고서, FFC 03-11, 도시홍수재해관리기술연구단
  2. 김창완 (2005) 횡월류 위어 수리 실험. 연구보고서, FFC 04-11, 도시홍수재해관리기술연구단
  3. 서울특별시 (2007) 대학과 연계한 하천관리에 대한 연구용역(2단계 2차). 연구보고서
  4. 이두한, 김창완 (2006) 횡월류 예연위어 월류량 산정기법. 연구보고서, FFC 05-13, 도시홍수재해관리기술연구단
  5. 이종태, 임택선, 허성철 (2007) 도시하천에서의 이상홍수 대응을 위한 지하방수로계획 - 중랑천을 중심으로 -. 2007 대한토목 학회 학술발표회 특별세션, 대한토목학회, pp. 1-8
  6. 허성철 (1999) 중랑천유역의 홍수특성과 홍수방어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7. 허성철, 이종태, 김효기, 임택선 (2007) 지하방수로 설치에 따른 도시하천의 홍수저감효과 분석. 2007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8. HEC (2004) HEC-RAS, River Analysis System User's Manual, US Army Corps of Engine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