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borne pathogenic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2초

Corosolic acid에 의한 Staphylococcus aureus의 생장 및 생물막 형성 저해 (Inhibition of growth and biofilm forma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by corosolic acid)

  • 염수진;김승민;유연철;정희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46-15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거의 보고된 바 없는 corosolic acid의 항균활성에 대해 대표적 식중독균 중 하나인 S. aureus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대수기의 S. aureus에 corosolic acid를 처리하여 생장 저해 여부를 확인하였고, broth micro-dilution 방법과 agar disc diffusion 방법을 통해 corosolic acid의 S. aureus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해본 결과, corosolic acid의 농도에 비례하여 S. aureus 생장이 저해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corosolic acid의 존재 조건에서 S. aureus의 바이오필름 형성능이 MIC 보다 높은 농도뿐 아니라 낮은 농도에서 역시 저해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천연물질인 corosolic acid는 S. aureus에 의한 식품 오염을 억제하고 식중독 예방 및 잠재적 치료제로서 개발 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나아가 다른 종류의 식중독균들에 대한 적용 가능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산화염소가 E. coli O157:H7, Salmonella typhimurium, Listeria monocytogenes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 (Inhibitory Effect of Aqueous Chlorine Dioxide on Survival of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typhimurium, and Listeria monocytogenes in Pure Cell Culture)

  • 염형준;고종관;김미리;송경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514-51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이산화염소 처리를 이용하여 대표적 식중독 미생물인 E. coli O157:H7, Salmonella typhimurium, 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한 살균 효과를 측정하였다. Pure cell culture 상태에서의 E. coli는 이산화염소 5 ppm에서 D-value가 3.37분으로 측정되었다. 그러나 Salmonella와 Listeria의 생존곡선은 이산화염소 처리시간에 따라 biphasic curve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biphasic curve는 5분까지의 처리로 해당 농도에서의 살균효과는 대부분 나타나고 그 이후는 효과가 없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Listeria의 5ppm과 10ppm의 처리결과는 이산화염소의 처리에 영향을 주는 인자 중 처리 시간보다는 처리농도가 더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는 이산화염소 허용치인 5ppm이 신선채소에 대한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 하기엔 부족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한 Immunoglobulin yolk (IgY)의 생산과 특이성 (Production and Specificity of Imunoglobulin yolk (IgY) on Vibrio parahaemolyticus)

  • 심원보;김혜정;박선자;강동훈;강진순;정덕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61-66
    • /
    • 2003
  • 본 연구는,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한 면역 글로블린 Y(IgY)를 생산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Vibrio parahaemolyticus는 중요한 병원성 균이며, 위장염을 유발시키는 원인 균이다. 따라서, 난황에서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한 항체를 생산하기 위하여 항원 LPS(lipopolysaccharide)를 암탉에 주사하였다. 면역은 2주 간격으로 4차까지 실시하였으며, 추가면역으로 2주 간격으로 3차까지 실시한 후 ELISA로 그 항체 역가를 측정하였다. 난황에서의 항체생성은 1차 면역 후 1주일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7주에 최고 역가에 도달하였고, 이러한 역가는 13주 이후까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혈청에서의 항체 역가도 난황에서의 경향과 유사하였다. 정제시킨 IgY를 본 연구의 water-dilution방법과 상업용 IgY분리 kit로 그 정제 정도를 비교해본 격과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Vibrio parahaemolyticus외의 다른 Vibrio 속 및 세균들과의 교차반응성 조사에서 특별한 교차반응이 없었다. 본 연구에 나타난 결과로, 아주 적은 양의 LPS 항원으로 역가가 높은 항체의 생산이 가능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들로 보아 난황은 유행성 위장염을 유발하는 병원성 균의 특이 항체 개발을 위한 좋은 공급원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채소 및 주방기구에 대한 강산성전해수의 살균효과 (Bactericidal Activity of Strongly Acidic Electrolyzed Water on Various Vegetables and Kitchen Apparatus)

  • 김윤정;최규덕;신일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776-781
    • /
    • 2010
  • 격막식으로 생산한 강산성전해수(SEW)의 유효염소농도는 $35{\pm}1.2\;ppm$, pH는 $2.3{\pm}0.2$, ORP는 $1,140{\pm}20.4\;mV$이었으며, AEW의 유효염소농도는 $0.1{\pm}0.01\;ppm$, pH는 $11.6{\pm}1.1$, ORP는 $-900{\pm}18.2\;mV$이었다. 6종의 병원성세균(초기균수 $1.0{\times}10^7\;CFU/mL$)에 대한 SEW의 살균효과를 조사한 결과, 대조구로 사용한 유효염소농도 35 ppm의 차아염소산 나트륨 용액의 경우, 60초간 처리하여도 2~4 log 정도의 균밖에 감소하지 않았으나 SEW는 60초간 처리로 포자를 형성하는 B. cereus를 제외한 나머지 5종의 병원성세균을 모두 살균하였으며, B. cereus의 경우 완전하게 살균하지는 못하였지만 약 4 log CFU/g 이상이 감소하여, 같은 유효염소농도라도 SEW가 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보다 살균력이 뛰어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채소의 경우, AEW로 세척 후 SEW 처리하였을 때가 SEW 단독처리보다 살균효과가 더 좋았다. 한편 콩나물, 무순의 경우 AEW로 30초간 세척 후 SEW로 30초간 처리하여도 균수는 각각 $2.50{\pm}0.13$, $2.19{\pm}0.13$만 감소하였고 4 log CFU/g 이상의 균이 잔존하고 있었다. 식기와 컵은 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유효염소농도 35 ppm) 30초간 처리로는 1.19~1.28 log CFU/$100\;cm^2$ 정도만 감소하였지만, SEW 30초간 처리로 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고무장갑의 경우 유일하게 대장균군이 검출되었으며 SEW 30초간 처리로 고무장갑 표면의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은 대조군인 수도수에 비하여 약 2 log CFU/$100\;cm^2$ 이상 감소하였으나 완전한 살균은 되지 않았다.

실시간 정량 PCR을 통한 김치 유래 Weissella spp.에 의한 Listeria monocytogenes 생육 억제 (Growth Inhibi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by Weissella spp. from Kimchi Through Real-time PCR)

  • 이영덕;김대용;박종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03-10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김치로부터 W. cibaria 0D17와 W. confusa 0D23를 생화학적 특성 분석과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분리, 동정하였으며, W. cibaria 0D17와 W. confusa 0D23 배양 상등액이 L. monocytogenes에 대한 항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시간 정량 PCR을 통해 W. cibaria 0D17 및 W. confusa 0D23가 L. monocytogenes를 공동 배양했을 때의 생육억제 효과를 분석한 결과, $37^{\circ}C$에서는 생육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김치 유래 Weissella spp.가 갖는 L. monocytogenes에 대한 항균 활성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가능 할 것으로 판단되며, W. cibaria 0D17 및 W. confusa 0D23가 생산하는 bacteriocin 등의 항균 물질 특성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Protease-Producing Bacterium, Bacillus amyloliquefaciens P27 from Meju as a Probiotic Starter for Fermented Meat Products

  • Lee, Mi-Sun;Lee, Na-Kyoung;Chang, Kyung-Hoon;Choi, Shin-Yang;Song, Chi-Kwang;Paik, Hyun-Do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04-810
    • /
    • 201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elect protease-producing Bacillus sp. as a potential probiotic starter for fermented meat products. In order to isolate protease-producing bacterium from meju, measured the diameter of the clear zone on agar plate (TSA, 1% (w/v) skim milk) and analyzed for intracellular protease activity, then 10 Bacillus-like strains were isolated. Three Bacillus-like strains (P19, P27, and P33) among 10 strains were able to tolerate in acidic condition (TSB, pH 2.5, 2 h incubation). These 3 strains were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These vegetative cells of 3 strains were showed a survival rate of 0.04% to 0.08% under the artificial gastric acidic condition (TSB, pH 2.5 with 1% (w/v) pepsin), but spore-forming cells were 56.29% to 84.77%. Vegetative cells of 3 strains were the least bile-resistant, while spore-forming cells of 3 strains showed higher survival rate more than 76% under artificial bile condition (TSB, 0.1% (w/v) oxgall bile). In these strains, P27 strain was finally selected as a good probiotic strain. P27 strain was tentatively identified as Bacillus amyloliquefaciens by API CHB kit and 16S rDNA sequenc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B. amyloliquefaciens P27 can be used as a potential probiotic starter for fermented meat product.

화학적 살균소독제를 활용한 생선중 존재하는 자연균총 및 주요 식중독균 제어 (Bacteriocidal Effect of Chamical Sanitizers on Natural Microflora and Pathogenic Bacteria in Fish)

  • 김일진;김용수;하상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65-69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질유래 살균소독제인 CaO가 고등어와 참조기에 존재하는 자연균총, Escherichia coli, Vibrio parahaemolyticus에 미치는 살균소독효과를 관찰하였고 염소계, 주정, 과산화수소계 등과 같은 주요 화학적 살균소독제와 비교하였다. CaO 0.05%처리했을 때 고등어와 참조기의 총호기성균의 생균수 감소율은 $2.6{\times}10^3,\;3.2{\times}10^4$, E. coli는 $6.3{\times}10^3,\;1.2{\times}10^4$, V parahaemolyticus는 각각 $5.4{\times}10^4,\;5.6{\times}10^4$ 생균수 감소율을 보였다. CaO (0.05%)의 살균력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살균소독제인 염소계, 과산화수소계 보다 우수하지는 못하였으나 염소계 50 ppm과 유사하였고, V. parahaemolyticus의 경우에는 $10^4$정도 감소율을 보여 염소 100 ppm과 과산화수소계 0.5%와 대등한 효과였다. 본 연구에 따라 CaO는 기존의 화학적 살균제를 대체할 수 있는 좋은 천연물질 유래 살균소독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CaO (Scallop-shell powder)를 활용한 상추 중 존재하는 자연균총 및 주요 식중독균 제어 (Bacteriocidal Effect of CaO (Scallop-shell powder) on Natural Microflora and Pathogenic Bacteria in Lettuce)

  • 김일진;김용수;하상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60-64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질 유래 살균소독제인 CaO가 깻잎 중 존재하는 자연균총, E. coli,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Typhimurium에 미치는 저해효과를 알아보았고 chlorine, ethanol, hydrogen peroxide 등 주요 화학적 살균소독제와 비교하였다. 0.05% CaO 처리시 총호기성균은 $5.9{\times}10^3$, E. coli는 $1.3{\times}10^5$, B. cereus는 $2.7{\times}10^1$, L. monocytogenes는 $3.6{\times}10^3$, S. aureus는 $4.5{\times}10^3$, S. Typhimurium은 $2.6{\times}10^4$의 감소율을 보였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살균소독제인 염소계, 과산화수소계 보다 우수한 살균효과를 보이지는 못하였으나 B. cereus의 경우에는 $10^6$ 정도의 감소율을 보여 염소 200 ppm과 대등하였고, 2%의 $H_2O_2$와 20%의 주정보다는 높은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 따라 CaO는 기존의 화학적 살균제를 대체할 수 있는 좋은 천연물질유래 살균소독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Evaluation of Certain Plant Extracts and Antagonists Against Fusarium solani and Alternaria tenuissima, the Incitants of Root Rot and Die-Back Diseases of Mulberry

  • Seetha, Ramulu J.;Raja, Gopal Reddy C.;Ramanjaneyulu, R.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20권1호
    • /
    • pp.1-5
    • /
    • 2010
  • Th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control the soil borne fungal pathogens viz, Fusarium solani (Mart) Sacc. and Alternaria tenuissima the incitants of root rot and die-back diseases on mulberry stem cuttings planted in the mulberry nurseries and also in established mulberry gardens ten plant extracts with 10% concentration except Lantana camara (undiluted) were tested through poisoned food technique and four biofungicides were also screened by dual culture method under in vitro conditions. Plant extract of Prosopis juliflora showed the maximum inhibition on the mycelial growth (81.2% over A. tenuissima and 80.0% over F. solani) and followed by L. camara (66.7% over A. tenuissima and 68.9% over F. solani). Among the antagonists Pseudomonas fluorescens and Trichoderma viride showed maximum inhibition on the mycelial growth of both pathogenic fungi. The promising plant extracts (P. juliflora and L. camara) and antagonists (P. fluorescens and T. viride) were tested against both the pathogenic fungi under in vivo conditions along with the existing popular chemical Mancozeb. All the tested plant products and bio-fungicides showed inhibitory effect on both fungi. But the maximum survival percentage of mulberry cuttings was recorded in the treatment with T. viride (95% against F. solani and 90% against A. tenuisssima) followed by P. fluorescens (90% against both fungi) and T. harzianum (80% against F. solani and 85% against A. tenuisssima). Incase of the treatments with plant extracts and chemical fungicide the P. juliflora (60% against F. solani and 55% against A. tenuisssima) showed higher survival percentage and followed by L. camara (55% against F. solani and 50% against A. tenuisssima) and Mancozeb (55% against both fungi). In case of control only 10% of survival was recorded in F. solani inoculated cuttings and 15% survival in A. tenuissima inoculated cuttings.

서울지역에서 도축된 식육의 미생물 오염도 및 병원성 미생물 검사 (Microbiological quality and detection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in slaughtered meat in Seoul area)

  • 김주영;이주형;기노준;이정학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15-223
    • /
    • 2005
  • The bacteria on the surface of slaughtered meat was monitor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microbiological quality and sanitation management in slaughter process of cattle and pig. I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n the surface of slaughtered beef and pork in Seoul from January to December 2004. Two hundred and thirty three beef and 233 pork carcasses were surveyed on generic E coli counts and standard plate count for microbiological quality and Salmonella spp,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Clostridium perfringens and E coli O157: H7 as pathogenic microorganisms. The prevalence of the excellent or good grade $(10^4\;CFU/cm^2)$ in beef and pork carcasses were $100\%\; and\;99.2\%$, respectively. The frequency of beef carcasses with less than $10^2\;CFU/cm^2$ of generic I coli counts was $100\%$, while that of pork carcasses was $99.6\%$. Of 233 beef carcasses, $1(0.42\%)$ was contaminated with L monocytogenes and $6(2.58\%)$ with C perfringens. Of 233 pork carcasses, $11(4.72\%),\;2(0.86\%),\;and\;2(0.86\%)$ were contaminated with L monocytogenes, C perfringens, and S aureus, respectively, Salmonella spp and E coli O157:H7 were not detected with all of the beef and pork carcasses. In conclusion, this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 between microbiological quality and sanitation management in slaughter process of cattle and pig, in abattoi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