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vacuole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8초

Conserved Roles of MonA in Fungal Growth and Development in Aspergillus Species

  • Son, Ye-Eun;Park, Hee-Soo
    • Mycobiology
    • /
    • 제47권4호
    • /
    • pp.457-465
    • /
    • 2019
  • MonA is a subunit of a guanine nucleotide exchange factor that is important for vacuole passing and autophagy processes in eukaryotes. In this study, we characterized the function of MonA, an orthologue of Saccharomyces cerevisiae Mon1, in the model fungus Aspergillus nidulans and a toxigenic fungus A. flavus. In A. nidulans, the absence of AnimonA led to decreased fungal growth, reduced asexual reproduction, and defective cleistothecia production. In addition, AnimonA deletion mutants exhibited decreased spore viability, had reduced trehalose contents in conidia, and were sensitive to thermal stress. In A. flavus, deletion of AflmonA caused decreased fungal growth and defective production of asexual spores and sclerotia structures. Moreover, the absence of monA affected vacuole morphology in both specie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onA plays conserved roles in controlling fungal growth, development and vacuole morphology in A. nidulans and A. flavus.

춘계 독도 주변해역 야광충의 먹이생물 (Observation of Items Fed by Noctiluca Scintillans around Dokdo in Spring)

  • 강정훈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5권4호
    • /
    • pp.160-172
    • /
    • 2020
  • 2014년 춘계에 독도 주변해역에서 전례없이 높은 개체수를 나타낸 야광충의 섭식특성을 이해하고자 야광충 식포 내 먹이생물의 조성과 출현량을 분석하였다. 출현 야광충 개체수는 4,328~17,791 inds.m-3이었고, 야광충 식포 내 먹이생물 출현율은 평균 32%(24~50%)이었다. 관찰된 먹이생물의 조성은 분변립, 원생생물, 꽃가루, 규조류, 와편모조류, 요각류, 어란, 그리고 치자어로서 매우 다양하였고, 분변립의 출현율이 가장 높았다(43%). 원생생물(19%)과 꽃가루가 18%를 차지한 반면, 규조류와 와편모조류가 각각 7%와 4%를 나타냈다. 식포 내의 출현율을 근거로 분변립, 원생생물과 꽃가루가 어란, 규조류, 와편모조류 그리고 치자어에 비해 더 선호된 것으로 여겨졌다. 본 연구결과는 연구기간에 독도 주변해역에서 출현한 높은 개체수의 야광충이 기존에 알려진 먹이생물 규조류보다 다른 먹이생물과 관련이 높음을 의미하였다.

식품 중 사용금지 원료인 Aphanizomenon flos-aquae 검출법 개발 및 응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etection Method for Aphanizomenon flos-aquae not Usable as a Food Materials in Korea)

  • 박용춘;신승정;이호연;김용상;김미라;이상재;이화정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88-193
    • /
    • 2013
  • Aphanizomenon flos-aquae는 시아노박테리아 일종이며 anatoxin-a, saxitoxin, neosaxitoxin 등의 독소를 생산할 수 있어 국내에서는 식품원료로 사용이 금지되어있다. 전통적으로 시아노박테리아는 사상체 넓이, 세포 크기, 분열방법, 세포형태, 가스주머니의 존재유무 등의 형태학적 특징에 의한 분류가 가능하다. 그러나 가스주머니 혹은 무성포자와 같은 특징은 주변 환경 또는 생장조건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경우에 따라 소실되기도 한다. 따라서 PCR에 의한 Aph. flos-aquae를 함유하는 기능식품을 검출할 수 있는 분석법을 개발하였다. 프라이머를 설계하기 위하여 유전자은행(www.ncbi.nlm.nih.gov)에 등록되어있는 Aph. flos-aquae, 스피루리나의 16S rRNA 염기서열을 이용하였으며, 비교 및 분석에는 BioEdit ver. 7.0.9.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클로렐라, 스피루리나, 녹차, 시금치로부터 Aph. flos-aquae를 검출할 수 있는 AFA-F1/AFA-R1(363 bp) 프라이머를 최종 선정하였다. 그리고 상기 프라이머는 Aph. flos-aquae가 각각 1% 함유 되도록 제조된 클로렐라, 스피루리나 제품에서 모두 혼입여부의 확인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소나무잔나비버섯(Fomitopsis pinicola) 균사체 배양에 따른 함량 및 세포의 형태학적 변화 (Changes in Polysaccharides Content and Cell Morphology of Fomitopsis pinicola Mycelium during Submerged Culture)

  • 정유경;신경옥;박홍덕;김순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97-403
    • /
    • 2006
  • 귤껍질배지에서의 소나무잔나비버섯(Fomitopsis pinicola) 균사체 배양에 따른 다당류의 함량과 세포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균사체의 수율이 가장 높은 배양 12일째의 생균사체 수율과 균사체의 알코올불용성물질의 함량은 YM 배지에서는 각각 11.29%(w/v, wet basis) 및 3.17%(w/w, wet basis)이었으나 CP배지에서는 각각 40.21%(w/v) 및 6.94%(w/w)였다. 그러나 산가용성 다당류는 YM배지에서 높았으나 알칼리가용성 다당류 함량은CP배지에서 높았다. 균사체 세포벽은 CP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가 YM 배지의 경우보다 전반적으로 비후하였으나 막성계(membranous vesicle) 소포(vesicle)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세포질내 cytolysome으로 지칭되는 다층막성구조(multivescular body)는 vacuole의 형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P 배지에서 YM 배지에서보다 액포의 발달이 촉진됨으로서 세포벽 합성과 생육이 촉진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단감 과실의 과육 갈변과 세포막 투과성 및 지방산 조성 변화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Flesh Browning, Membrane Permeability,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Fuyu Persimmon Fruits)

  • 최성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5-39
    • /
    • 1998
  • The cell membrane properties in relation to flesh browning of Fuyu persimmon fruits during CA storage were studied. Compared to intact fruits, the flesh tissue of browned fruits showed higher rate of electrolyte leakage, indicating incresed membrane permeability. It could be assumed that the increased membrane permeability results in 1eakage of phenolic compounds from vacuole and their oxidation by contacting with PPO, inducing finally the development of flesh browning. In addition, lower content of fatty acids and higher saturation rate of them were found in browned fruits. In conculus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inhibited fatty acid metabolism and fatty acid saturation during CA storage cause membrane Permeability to increase.

  • PDF

해외 기술: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의 에탄올 스트레스 반응과 에탄올 내성 (New Technology: The Ethanol Stress Response and Ethanol Tolerance of Saccharomyces cerevisiae)

  • 김재호
    • 식품기술
    • /
    • 제23권2호
    • /
    • pp.214-219
    • /
    • 2010
  • Saccharomyces cerevisiae는 전통적으로 알코올 음료와 bioethanol 생산에 이용되지만,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효모의 에탄올 생성은 에탄올의 축적에 의한 충격으로 세포활성에 손상을 초래한다. 본 연구는 S. cerevisiae의 에탄올 스트레스 반응과 에탄올 내성의 분자적 기초에 관해 수행되었으며, 에탄올 스트레스가 진행되는 동안 효모의 에탄올 생성 향상을 위한 유전 공학 전략의 수립에 활용될 수 있다. 이전의 연구들은 유전자 발현에 대한 에탄올 스트레스의 충격이 환경적 영향을 받기 때문에 다양한 균주와 조건들에 관해 이루어졌다. 그러나 에탄올 공격에 의해 영향을 받은 gene ontology 범주에서의 일부 공통점은 S. cerevisiae의 에탄올 스트레스 반응이 해당과정 및 미토콘드리아 기능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의 증가와 에너지가 요구되는 성장과정과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 감소에 따라 에너지 생산에 제약 받음을 의미한다. Genomewide screens를 이용한 연구는 vacuole function의 유지가 에탄올 내성에 대해 중요함을 암시한다. 아마도 단백질 turnover와 이온 항상성 유지에 이 세포기관의 역할이 중요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에탄올 스트레스가 일어날 때 핵 내 Asr1과 Rat8의 축적은 비록 이 가설이 논란이 많은 주제로 남아있지만 S. cerevisiae가 에탄올 스트레스에 대한 특별한 반응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 PDF

부유 단감 과실의 과육 갈변에 대한 에틸렌의 영향 (The Effect of Ethylene on the Fruit Flesh Browning in Fuyu Persimmon)

  • 최성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9-44
    • /
    • 1997
  • Ethylene was treated or inhibited to investigate its effect on the physiological changes related to induction of flesh browning in Fuyu persimmon fruit. The response of fruit to ethylene was so slight, that the Fuyu fruit seemed to possess a similar characteristic to non-climacteric fruit. The flesh browning was however enhanced by ethylene treatment, although any significant increment of phenolic content or PPO activity in flesh tissue was not detected. Ethylene induced not only increasing of ion leakage from fruit tissue, but the fatty acids extracted from ethylene-treated fruit tissue were also more saturated. It was suggested that ethylene be related in the changing of membrane permeablity via saturating of fatty acid in membrane lipid. That could result in increased leakage of vacuole-stored phenolic compounds, which oxidized further by PPO to cause fruit flesh to brown.

  • PDF

Mon1 Is Essential for Fungal Virulence and Stress Survival in Cryptococcus neoformans

  • Son, Ye-Eun;Jung, Won-Hee;Oh, Sang-Hun;Kwak, Jin-Hwan;Cardenas, Maria E.;Park, Hee-Soo
    • Mycobiology
    • /
    • 제46권2호
    • /
    • pp.114-121
    • /
    • 2018
  • Mon1 is a guanine nucleotide exchange factor subunit that activates the Ypt7 Rab GTPase and is essential for vacuole trafficking and autophagy in eukaryotic organisms. Here, we identified and characterized the function of Mon1, an ortholog of Saccharomyces cerevisiae Mon1, in a human fungal pathogen, Cryptococcus neoformans. Mutation in mon1 resulted in hypersensitivity to thermal stress. The mon1 deletion mutant exhibited increased sensitivity to cell wall and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However, the mon1 deletion mutant showed more resistance to the antifungal agent fluconazole. In vivo studies demonstrated that compared to the wild-type strain, the mon1 deletion mutant attenuated virulence in the Galleria mellonella insect model. Moreover, the mon1 deletion mutant was avirulent in the murine inhalation model.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Mon1 plays a crucial role in stress survival and pathogenicity in C. neoformans.

성숙 중 대추의 세포벽 조직 변화 (Changes of the Cell Wall Structures during Maturation of Jujube Fruits)

  • 신승렬;손미애;김주남;김광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342-345
    • /
    • 1998
  • 세포들은 변색기까지는 아주 조밀하게 결합하고 있었으나 완숙기에서는 세포벽 중층이 다소 분해되어 둥근 형태의 세포를 관찰할 수 있었다. 세포벽 변화는 녹숙기에서는 중층을 구별할 수 없을 정도로 세포벽이 발달되지 않았으며 변색기에서는 중층을 관찰할 수 있었고 완숙기에서는 분해되어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세포의 조직은 녹숙기에서는 mitochondria, endoplasmic reticulum 둥의 조직과 소액포를 관찰할 수 있었으나 변색기 이후에는 액포가 발달하면서 cytoplasm과 organelle이 세포벽에 흡착되었다. 세포간극은 녹숙기에서는 형성되지 않았고 변색기에서는 세포간극과 간극 주위에 세포벽 분해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완숙기에는 중층의 분리와 분해산물이 간극에 분산되어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발아중인 대두 (Glycine max)에서의 단백질 유동 (Mobilization of Proteins in the Cotyledons of Germinating Soybeans(Glycine max))

  • 송영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50-658
    • /
    • 1988
  • 발아 중인 대두와 두채 자엽부에서의 단백지 유동 현상을 광학현미경(LM)과 주사 전자현미경(TEM)을 이용하여 epidermis, vascular tissue 그리고 storage parenchyma에서 비교 관찰하였다. 발아 초기의 자엽에는 직경이 $0.1-15{\mu}m$에 해당하는 다양한 크기의 단백질 체(protein bodies)로 채워져 있었으며 epidermis와 vascular tissue의 단백질체는 parenchyma 세포보다 훨씬 적은 크기의 $0.1-5{\mu}m$였다. 발아가 진행됨에 따라, 단백질의 분해현상은 epidermis와 vascular tissue에서 먼저 시작되었다. 그 분해 유형은 먼저 침투한 수분에 의해 팽창된 단백질체의 외막에는 손상이 없어 단백질 체 내부와 외부로부터 가수분해가 일어났으며, 단백질이 완전히 분해도기 전에 단백질체 끼리의 융합 또한 관찰 되어졌다. 단백질체 분해의 결과는 세포내에 중심액포를 만든다는 것이며, 두채 성장 말기에는 액포막의 파괴현상도 관찰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