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contamination

검색결과 1,026건 처리시간 0.025초

우유 중 아플라톡신 M1 오염도 조사연구 (Analysis and Monitoring of Aflatoxin M1 in Milks)

  • 박성국;강영운;권기성;이광호;김미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47-250
    • /
    • 2012
  • 본 연구에서 적용한 시험법의 회수율은 97.4-122.5%, 상대표준편차(RSD)는 6%이내로서 적합한 시험법임을 확인하였다. 조사된 원유 및 시유의 검출농도는 아플라톡신 $M_1$이 평균 29.6 ng/kg(5.4-72.7 ng/kg)로 나타났으며, 원유 및 시유에 대한 아플라톡신 $M_1$ 오염수준은 현행 식품공전에서 정한 허용기준치인 500 ng/kg 보다 낮은 안전한 수준인 것으로 판단된다.

Distribution Functions Describing the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of Seasoned Soybean Sprouts

  • Park, Jin-Pyo;Lee, Dong-Sun;Paik, Hyun-Do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3호
    • /
    • pp.659-663
    • /
    • 2008
  • Different statistical distribution functions were examined to find an adequate distribution function to describe the microbial contamination behavior of a Korean side dish product, seasoned soybean sprouts for different seasons and market groups. The triang distribution was the best for any market groups in winter, while the logistic distribution could describe the microbial contamination in log CFU/g for all the market groups in spring and summer. From parametric bootstrapping based on the fitted distributions, it was found that a normal distribution could describe the distribution of mean microbial count in log CFU/g for all the seasons and market groups. Statistical parameters for each season/market group are presented to estimate the confidence interval.

수입 식품중의 방사능 오염실태 조사 (Survey of radioactive contamination in imported foodstuffs)

  • 이완로;이행필;정근호;김희령;조영현;최근식;이창우;정형욱;이은주;소유섭;이종옥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1권3호
    • /
    • pp.141-148
    • /
    • 2006
  • 2003년도 시중에 유통중인 수입식품에 대한 방사능 오염실태를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시료는 핵실험 및 핵사고 (주변)국가나 원자력발전소를 보유한 국가에서 수입된 식품 중 허용기준치를 초과한 사례가 있는 식품류와 방사능 농도가 일반적으로 높다고 기존에 보고된 식품류 등으로 선정하였다. 모든 시료는 건조 후 분말화하여 사용하였으며, 방사능 농도는 감마핵종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003년도에 시장에서 구입한 수입식품 시료에서는 식품공전의 방사능 잠정허용기준에 명시된 핵종(Cs-137, Cs-134, I-131) 중 Cs-137만이 검출되었으며, 나머지 핵종은 모두 최소검출방사능(MDA) 이하였다. 차가버섯을 제외한 수입식품의 방사능 농도는 17.0 Bq/kg이하 또는 모두 MDA값을 보였다. 그러나 러시아에서 수입된 차가버섯의 경우는 최대 131.25 Bq/kg으로 식약청의 식품 중의 방사능 잠정허용기준치인 370 Bq/kg 보다 낮은 값으로 나타났으나, 잠정허용기준치의 35%에 해당되었다. 따라서 전체 차가버섯 중 높은 방사능 농도를 보이는 비율을 낮지만, 국민의 방사능 오염에 대한 민감성을 고려할 때 지속적인 방사능 오염도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떡류의 제조공정별 미생물학적 오염도 평가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Levels in the Processing of Korea Rice Cakes)

  • 정세희;최송이;조준일;이순호;황인균;나혜진;오덕환;박경진;하상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61-168
    • /
    • 2012
  • 떡은 수분활성도, pH, 보관온도 등이 미생물 증식에 적합하고 구입 후 별도 조리과정 없이 그대로 섭취하는 식품으로 미생물학적 안전문제를 자주 야기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유통 떡에 문제시되는 미생물학적 위해요인을 제조공정별로 파악하고 그 위생관리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3가지 떡 (시루떡, 가래떡, 경단)을 선정하여 원료, 제조공정 및 제조환경에 대한 미생물 오염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8가지 원재료의 오염도 분석결과 일반세균 2.5~4.5, 대장균군 ND~1.9, 진균수 1.2~2.1, B. cereus 1.0~2.1 log CFU/g수준으로 검출되었으며 E. coli, S. aureus, C. perfringens는 검출되지 않았다. 떡의 제조공정별 오염도 분석결과 원료의 불림 분쇄 공정에서 일반세균, 대장균군, 진균, B. cereus의 오염도가 증가하나 증자 후 감소하여 완제품에서 일반세균은 2.2~3.7, 대장균군 ND~1.8 log CFU/g 수준으로 나타났다. 제조환경의 미생물학적 오염도 분석결과 전처리실의 쌀분쇄기, 냉각수조, 펀칭기 등의 설비에서 오염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전처리실 작업자의 개인 위생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작업장 공기 오염도 분석결과 청결구역 3곳에서 일반세균 34~46, 대장균군 2.5~7.0, 진균수 14~30 $CFU/plate{\cdot}5min$ 검출되어 권장 낙하세균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떡의 원재료 및 완제품의 미생물학적 오염수준은 안전하나 제조환경의 오염도는 문제시되는 것으로 나타나 제품의 교차오염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제조 설비 및 표면시설에 대한 체계적인 세척 및 소독을 실시하여 미생물학적 위해를 감소하고 작업자 위생 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선행하여 작업자 개인의 위생 수준 향상, 작업장 내 공기중의 미생물 관리가 함께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김밥 세균 오염의 원인 규명을 위한 연구 (Prediction of the Cause of Bacterial Contamination in Kimbab and Its Ingredients)

  • 강국희;최선규;김경민;김혜란;고애경;박신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75-180
    • /
    • 1995
  • The distribution of bacteria in kimbab and its ingredients have been investigated. The total bacterial counts were over 3$\times$106/g(n=30) when the kimbabs were delivered to restaurant and it exceeded the legal level 1$\times$106/g defined by the Code of Food Standard in 1991. The gram-negative coliforms were also detected 1.9$\times$105. In order to study the cause of bacterial contamination in kimbabs, the ingredients used in kimbabs were examined. The bacterial counts were found 104-108/gfor kim (laver), 104-108/g for sausage, 104-106/g for boiled-spinach, 103-107/g for carrot, and 104-106/g for Danmuji, respectively. From these results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bacterial contamination in Kimbabs was caused mainly by the ingredients such as kim, boiled-spinach, carrot, and sausage. Therefore, this suggested that the sanitary manufacture of kim, the storage at refrigerator temperature of the ingredients for kimbabs, and the proper treatment of equipments should be maintained in order to reduce the bacterial contamination for kimbabs. Furthermore, it should be required to obtain the basal data for establishment of the sanitary standard of kim and kimbab.

  • PDF

빙과류의 미생물학적 위해요소에 대한 노출평가 (Exposure Assessment of Microbiological Risk Factors from Edible Ices)

  • 김태웅;최재호;박경진;오덕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26-231
    • /
    • 2009
  • 본 연구는 위해 미생물에 대한 빙과류의 오염수준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미생물 위해평가(Microbial risk assessment : MRA)를 적용하여 노출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원재료에서 S. aureus 균의 오염수준이 높았으며 살균 전 혼합액에서는 오염수준이 더욱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살균 후 혼합액에서는 오염 수준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최종 냉동 저장된 빙과류에서의 오염수준은 초기의 원재료 오염수준보다 약간 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빙과류의 위해성 평가 결과, 빙과류를 1일 동안 1인이 섭취하였을 때 평균적으로 식중독에 걸릴 가능성은 최소 $5.89{\times}10^{-7}$, 최대 $5.01{\times}10^{-5}$의 발생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다. 하지만 좀 더 현실적인 위해 수준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빙과류의 섭취량, dose-response model(양-반응 모델) 등에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초, 중, 고교 교과서의 식품위생 내용 분석 연구 (An Analysis on the Contents of the Food Sanitation in the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 남철현;변부형;노병의;남원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95-104
    • /
    • 1994
  • A study on food sanitation in school textbooks was performed for 7 months from October 1, 1992 through may 31, 1993. A total of 243 textbooks (77 from elementary school level, 52 from junior high school level and 114 from senior high school level) were reviewed and analyzed.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develop better method for teaching the subjet of food sanitation to students effectively.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 total number of pages of textbooks dealing with food sanitation were 48 pages (0.53%) in elementary level textbooks, 38.05 pages (0.31%) in junior high school level and 105.05 pages (0.34%) in senior high school level. 2) 104.05 pages were allocated for the subject of food storage, 33 pages for insect and rodent control, 32 pages for food poisoning, 15 pages for food contamination and 7 pages for kitchen hygiene. 3) Of the four categories of textbooks, the numbr of pages dealing with food sanitation were 145 in home economics, 31 in physical education, 12 in social studies and 3.0 in science. 4) Home economics and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allocated many pages in dealing with food sanitation. Home economics textbooks had 88 pages for food storage, 26.05 pages for food poisoning, 7 pages for food contamination, and 2 pages for kitchen hygiene.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had 15 pages about food storage, 4 pages for food poisoning, 5 pages for food contamination, and 1 page for kitchen hygiene. 5) Social studies textbooks had 5 pages for food storage, 4 pages for insect and rodent control, 3 pages for food contamination. 6) The number of pages dealing with food sanitation in elementary school level textbooks were 20 in physical education, 13 in home economics, 12 in social studies, 3 in science respectively. 7) The number of pages dealing with food sanitation in junior high school level textbooks were 31.05 in home economics, and 7.00 in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31.50 pages were about food storage, 6 pages about food poisoning, 13 pages about insect and rodent control, and 1 page about kitchen hygiene. 8) The number of pages dealing with food sanitation in senior high school level textbooks were 101.05 in home economics and 4 in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64 pages were about food storage, 21.05 about food poisoning, 13 about insect and rodent control, 4 about kitchen hygiene, and 3 about food contamination. 9) Pictures, drawings and tables were used in explaining food sanitation in the textbooks, 32 drawings of a total of 38 cuts in elementary school level textbooks, 8 pictures of 10 cuts in junior high school level and 13 tables of 14 cuts in senior high school level were used. 10) 5th grade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did not have a subject on food poisoning. Other grade textbooks in elementary school level did not contain a subject on food contamination and insect and rodent control. It's recommended that these subjects be contained in the textbooks. 11) It is necessary to teach a subject on health or health and environment independently and contain food sanitation in the subject. It is recommended that a textbook on health or health and environment be published and taught to students. 12) It is recommended that teachers specialized in health education be assigened to schools to teach health related subjects. 13) It is recommended that book publishers use the latest information in the textbooks and technical terms be unified.

  • PDF

신선 고추의 수확, 선별 및 유통 단계에서의 미생물 모니터링 및 미생물 오염 저감화 방법 모색 (Preven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Through Monitoring of the Harvesting, Sorting, and Distribution Stages of Fresh Hot Pepper)

  • 김솔아;이정은;박현진;이상대;문효영;심원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60-67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고추의 수확 및 유통 단계에서 미생물 오염 수준과 그 발생원인을 확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수온도는 냉장 보관 보다 상온 보관일 때 미생물 오염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냉장 보관이 미생물 오염 예방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로 소형 플라즈마를 이용하였을 때 초기 균 수 대비 5일차에서 일반세균 3.0 log CFU/g 감소, 대장균군, 효모/곰팡이는 불검출로 나타났고 플라즈마 발생장치 없는 경우 5일차에 대장균군이 2.1 log CFU/g 수준으로 검출되어 소형 플라즈마 발생장치가 보관 및 유통과정 중의 미생물의 저감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수확단계에서 미생물학적 위해요소 발생원인 중 하나인 작업자의 장갑을 주기적으로 교체하고 현장에서 쉽게 수행 가능한 냉장 유통 방법과 신선 고추의 수확 후 보관 및 유통 중에 소형플라즈마 장치를 이용한다면 고추의 미생물 오염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고추 이외에도 다른 신선농산물의 수확, 선별 단계나 유통단계에 미생물의 오염을 예방 또는 저감화 하는데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