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Interest

검색결과 1,031건 처리시간 0.033초

산채(산나물)에 대한 소비자 의향 및 수요 분석: 소비자 의향 조사와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An Analysis of Consumer Preference and Demand for Wild Vegetables: Through a Consumer Preference Survey and Social Big Data Analysis)

  • 변승연;석현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1호
    • /
    • pp.116-126
    • /
    • 2019
  • 최근 5년간 단기소득임산물 생산량 및 생산액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그 중에서도 산채(산나물) 생산액은 2017년 기준 약 4천억 원으로 전체의 14 %를 차지하고 있다. 산채 중에서도 특히 고사리, 취나물, 곤드레 등의 생산량 및 생산액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산나물의 특성상 값 싼 수입산과의 가격경쟁이 심하고, 소비패턴의 변화가 거의 없는 점들로 인해 국내산 산채류 가격에 악영향을 미치고 이는 결국 산채 소비시장의 전반적인 소비 위축 현상을 불러일으킬 위험이 있다. 하지만 최근 소득수준의 향상과 건강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도가 증가함에 따라 건강에 좋은 웰빙 식품 선호 현상이 나타나고 있어, 지금이 산채 소비시장에서는 매우 중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채 소비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전략 및 정책 수립에 도움이 되기 위하여 소비자조사를 통한 산채에 대한 소비자들의 구매행태 및 소비행태를 분석하였고, 이와 더불어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산채에 대한 소비자 인식 및 의향을 파악하였다. 기존 연구들과는 달리 설문조사뿐만 아니라 SNS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소비자 인식 및 의향 조사도 실시했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으며, 본 연구 결과가 향후 산채 소비 증진을 위한 전략 및 정책 마련에 있어 우선순위를 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Variation of Anthocyanin and Protein Contents in Glycine max L. (Merr) (Soybean) Germplasms from Korea

  • Choi, Yu Mi;Lee, Sukyeung;Hyun, Do-Yoon;Ko, Ho-Cheol;Rho, Nayoung;Hur, On-Sook;Yoon, Hyemyeong;Lee, Myung-Chul;Oh, Sejong;Shin, Myoung-Jae;DESTA, Kebede Taye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3-13
    • /
    • 2019
  • Soybean (Glycine max L. (Merr) is commonly consumed and found in major foods including soymilk, soy sauce, tofu, and soy sprout in Korea and east Asia. In addition, it is common to cook the whole seeds with rice. Soybean is known to have ranges of health benefits including antiaging, anticancer, neuroprotective and antidiabetic taken either as supplement or dietary food. Anthocyanins and flavonoids in G. max are found to be the main contributors to such wide arrays of health benefits. Due to increasing economic values of soybean, development of specialty soybean cultivars is becoming an area of interest worldwide. In this study, 746 black soybean accessions from National Agrobiodiversity Center were characterized as part of an attempt to identify important germplasms of G. max. Seed coats of each accession were analyzed for their total anthocyanin, cyanidin 3-O-Glucoside (C-3-O-G), delphinidin 3-O-glucoside (D-3-O-G), petunidin-3-O-glucoside (Pt-3-O-G), and their whole seeds for crude protein contents. HPLC was used to determine and quantify the anthocyanin compositions while crude protein was determined using Kjeldahl method by Kjeltec auto-analyzer (Kjeltec 8400, Foss, Sweden). Accessions were grouped according to their anthocyanins and protein contents; the mean content of which were correlated to agronomic traits including maturity date, one hundred seed weight, cotyledon color and seed lust color.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total anthocyanin content (TAC) ranged from 273.77 to 6250.52 mg/100 g, with mean value of 1853.03 mg/100 g while the crude protein content (CPC) being between 33.43 and 47.51%, with mean value of 40.81%. The highest number of accessions (45.97%) showed TAC between 1000~1900 mg/100 g while 30.96% of accessions showed CPC between 41~43%. Among the 746 accessions considered, 11 (IT142935, 175818, 175855, 177191, 177209, 177211, 177214, 177216, 177218, 177220, 177274) of them showed TAC above 4000 mg/100 g. C-3-O-G was found to be the major contributor to TAC showing strong correlation. Accessions with green cotyledon color showed high mean TAC compared to those having yellow cotyledon color, and accessions with dull seed lust color showed high mean TAC than those having shiny seed lust color. One hundred seeds weight and maturity dat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anthocyanin contents, except for Pt-3-O-G in the latter case. The overall result of the present study could be used as background for developing new black soybean cultivars and breeds with high anthocyanin and protein contents. The result depicted that many of the accessions could be used as potential parental lines.

  • PDF

Euglena gracilis 추출물의 면역조절 및 생리활성 분석 (Immunomodulatory Effects of Euglena gracilis Extracts)

  • 유선녕;박보배;김지원;황유림;김상헌;김선아;이태호;안순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83-19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compound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Euglena gracilis를 hot water로 추출하고(HWE), 그 잔존물을 methanol로 추출(HWME)한 후, murine macrophage RAW 264.7 cell에 처리하여 면역활성을 측정하였다. Murine macrophage RAW 264.7 cell에서 HWE 처리로 IL-1β와 TNF-α가 농도의존적으로 증가되었고, lipopolysaccharide에 의해 유도되는 IL-6와 TNF-α 생성이 HWME 처리에 의해 유의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α-glucosidase,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PTP1B), tyrosinase, xanthine oxidase (XO),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등에 대한 저해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E. gracilis HWE 추출물에서는 α-glucosidase, tyrosinase, ACE에서 약한 억제 활성을 보였으나, HWME 추출물에서는 PTP1B와 XO에서 유의적인 억제활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E. gracilis 추출물의 면역조절 활성 뿐 만 아니라 당뇨와 심혈관 질환에 대한 유의적인 억제활성을 통해 다양한 건강기능성 식품의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정약용의 윤리교육론 (The ethical education theory of Jeong Yak-yong)

  • 장승구
    • 한국철학논집
    • /
    • 제59호
    • /
    • pp.371-393
    • /
    • 2018
  • 정약용은 주자학에 대한 비판을 통해 새로운 사상체계의 정립을 시도하였다. 다산의 사상 가운데 가장 중요한 분야의 하나는 윤리사상에 관한 것이다. 다산은 윤리사상뿐 아니라 윤리교육에 대해서도 남다른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유배지에서 인근의 아동들을 모아서 교육하는 가운데 "제경(弟經)"을 편찬해서 가르쳤다. 다산은 "소학(小學)"이 아동들을 대상으로 교육하는데 있어서 일부 문제가 있다고 여겨서 "제경"을 편찬하였다. "제경"은 "소학"에 비해 내용이 간결하고, 철저하게 아동중심의 교재이며 일상생활의 실천예절 위주로 구성되어 있다. 부모 스승 어른에 대한 예절, 일상에서의 음식예절, 남녀 사이의 예절 등을 포함하고 있다. 비록 내용이 "소학"의 범위를 크게 벗어난 것은 아니지만, 합리적인 내용을 선택하였으며 실천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하여 실용적이라고 할 수 있다. 다산은 논어 맹자 대학 중용 등 사서(四書)에 대해서도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였다. 다산의 사서에 대한 새로운 해석서도 넓은 의미의 윤리교육의 교재로 볼 수 있다. 다산은 사서의 핵심적인 윤리적 원리가 서(恕)라고 보았다. 따라서 성인을 위한 윤리교육에 있어서는 서(恕)라는 윤리적 원리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실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여겼다. 그리고 다산은 도덕적 마음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제(上帝)의 존재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마음 수양을 위해서는 늘 상제(신)의 존재를 의식하고 경외(敬畏)하는 계신공구(戒愼恐懼), 그리고 혼자만이 아는 것에 대해서도 삼가는 신독(愼獨)이 매우 중요하다고 이해하였다. 다산은 윤리교육의 궁극적 근거와 기초를 형이상학적 태극이 아니라 인격적 상제의 존재에서 찾고자 하였다. 이것은 상제의 존재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사람들에게는 설득력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를 남긴다.

RMR(레스토랑간편식) 상품의 선택속성이 브랜드이미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staurant Meal Replacement Product Selection Attributes on Brand Image and Satisfaction)

  • 김찬우;이강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471-481
    • /
    • 2020
  • 본 연구는 최근 외식 소비자의 RMR 상품에 대한 관심과 이용 빈도가 상승함에 따라 RMR(레스토랑간편식)상품 선택속성의 요인과 브랜드이미지, 만족도 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외식기업 및 레스토랑에서 출시 된 RMR상품 이용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을 사용하였다. 조사기간은 2020년 8월 10일부터 약 20일간 진행되었으며, 최종 291부를 분석에 사용하였고, 가설 검증을 위해 SPSS 2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가설1의 위생(��=.160), 메뉴(��=.203), 포장(��=.291)은 신뢰성에 유의한 영향이 있었고, 가설2의 메뉴(��=.270) 편의성(��=.201), 포장(��=.195)은 차별성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3의 브랜드 이미지의 중 신뢰성(��=.328)과 차별성(��=.443)은 만족도(��=.428)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설4의 위생(��=.388) 메뉴(��=.229), 편의성(��=.243)은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RMR 상품 관련 기초 연구 자료로 제공되길 기대하고 외식기업 및 레스토랑의 RMR 상품개발에 방향성 제시와 마케팅의 활용 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로 제시하고자 한다.

HMR 밀키트 상품의 선택속성이 소비자만족 및 타인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MR Meal Kit Product Selection Attributes on Consumers Satisfaction and Other Recommendation Intention)

  • 김동수;김찬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258-267
    • /
    • 2021
  • 본 연구는 언택트 시대의 외식 트랜드에 따라 소비자의 관심과 수요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밀키트 상품에 대해 실증분석 연구를 시도 하였다. 또한 HMR 밀키트 상품 선택속성의 요인과 소비자만족, 타인추천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외식기업 및 스타트업 기업에서 출시 된 밀키트 상품 이용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을 사용하였다. 조사기간은 2020년 7월 01일 부터 약 1달간 진행되었으며, 최종 285부를 분석에 사용하였고, 가설 검증을 위해 SPSS 21.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가설1의 가격(β=.241), 편리성(β=.317), 다양성(β=.191)은 소비자만족에 유의한 영향이 있었고 가격(β=.482)과 편리성(β=.133), 다양성(β=.342)은 타인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설3의 소비자만족(β=.443)이 타인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밀키트 상품 관련 기초 연구 자료로 제공되길 기대하고 외식기업 및 레스토랑의 밀키트 상품개발에 방향성 제시와 마케팅의 활용 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로 제시하고자 한다.

무화과식초를 이용한 유제품의 개발과 인간 대장세포주에 미치는 영향 (Development of Dairy Products Using Ficus carica Vinegar and the Effects on the Caco-2 Cell Line)

  • 허지혜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17-223
    • /
    • 2022
  • 다양한 건강기능식품 중 프로바이오틱스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방대한 시장을 이루고 있으며, 장 건강이 우리 몸의 전반적인 면역작용을 조절하며 질병을 예방하고, 나아가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연구결과에 따라 지속적으로 프로바이오틱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화과식초가 가진 항균능을 이용하여 유제품과 드레싱 소스를 개발하여 그 선호도를 조사하고 대장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일반우유에 5% 무화과식초를 첨가하였을 때 마시는 요거트와 리코타치즈에 대한 가장 만족도가 높았다. 제조된 유제품에서 분리한 균은 Leuconostoc lactis이며 1.0×107~1.0×108 CFU/mL 이상의 세균수가 측정되어 식품의 기준 및 규격의 기준치를 만족하였다. 인체의 소장 상피세포와 흡사하게 증식되는 Caco-2 세포주에서 세포생존율을 관찰한 결과, 유청을 10%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세포생존율이 19% 가량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농도별로 유청을 처리하였을 때 최대 58%의 항산화능을 보였다. 또한 유청에서 분리된 Leuconostoc lactis는 우수한 부착능이 관찰됨에 따라 장건강에 도움을 주는 유제품임을 확인하였다.

A Survey on the Perception of Companion Plants for Eco-Friendly Urban Agriculture among Urban Residents

  • Hong, In-Kyoung;Yun, Hyung Kwon;Jung, Young-Bin;Lee, Sang-Mi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7-27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as part of research to promote garden diversity and seek sustainable garden management plans, as well as to determine the trends in understanding and use of companion plants as an eco-friendly farming method and provide the results as the basic data for sustainable urban agriculture. Methods: To determine the trends in garden activities, eco-friendly pest control, and use of companion plants, a survey was conducted on 230 urban residents participating in the Urban Agriculture Expert course. 223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excluding missing values, and IBM SPSS statistics Ver. 25 Program was used for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Most of the respondents were female (71.3%), homemakers (26.5%), were in their 50s (29.1%), and had 2 members in the family (27.8%). 164 respondents (73.5%) had experience in gardening, most of them once a week (31.7%) and for self-consumption (55.5%). Both men and women raised crops for safe food production (32.3%), and they most preferred the city garden type (39.9%). For the preparation of nourishment for eco-friendly garden management, most respondents (60.1%) purchased fertilizers from the market. For the reason why eco-friendly pest control is necessary, all respondents except 4 of them (98.2%) responded that it is necessary 'because it affects my health as I eat it (73.5%)', indicating that they still had a high level of interest in health. Only 43.9%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y had heard of companion plants, 89.2% responded that companion plants were effective in eco-friendly management, and 87.4% showed the will to participate in gardening using companion plants in the future. Finally, the regression analysis confirmed that the awareness of companion plants and satisfaction with gardening activities are key variables that increase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gardening activities in the future. Conclusion: Since plants require special care depending on the period and various diseases and insect pests occur, there must be continuous research on companion plants as an eco-friendly farming method. Moreover, by actively using companion plants in urban gardens with the utility value in not only eco-friendly pest control but also in helping plant growth, urban agriculture is expected to be continuously activated and promoted by increasing satisfaction in gardening activities with aesthetic landscaping and pest control.

임상시험심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의 임상시험에 대한 위험평가 분류조사연구 (Survey of Institutional Review Board Risk Level Classification of Clinical Trials Among Korean University Hospitals)

  • 이선주;강수진;맹치훈;신유진;유소영
    • 대한기관윤리심의기구협의회지
    • /
    • 제4권2호
    • /
    • pp.36-41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how university hospital Institutional Review Boards (IRBs) in Korea classify risk when reviewing clinical trial protocols. Methods: IRB experts (IRB chairman, vice chairman, IRB administrator) in the university hospitals obtaining a Human research protection program (HRPP) or IRB accreditation in Korea were asked to fill out the Google Survey from September 1, 2020 to October 10, 2020. Result: Among the 23 responder hospitals, 8 were accredited by the American Association for Human Research Protection Program (AAHRPP) and 8 were accredited by the HRPP of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Seven were accredited by Forum for Ethical Review Committees in Asia and the Western Pacific or Korea National Institution for Bioethics Policy. Thirteen of 23 hospitals (56.5%) had 4 levels (less than minimal, low, moderate, high risk), 4 hospitals had 3 levels (less than, slightly over, over than minimal risk), 1 hospital had 5 levels (4 levels plus required data safety monitoring board), and 1 hospital had 2 levels (less than, over than minimal risk) risk classification system. Thirteen of 23 hospitals (56.5%) had difficulty classifying the risk levels of research protocols. Fourteen hospitals (60.9%) responded that different standards among hospitals for risk level determination associated with clinical trials will affect the subject protection. Six hospitals (26.1%) responded that it will not. Three hospitals (13.0%) responded that it will affect the beginning of the clinical trial. To resolve differences in standards between hospitals, 14 hospitals (60.9%) responded that either the Korean Association of IRB or MFDS needs to provide a guideline for risk level determination in clinical trials: 5 hospitals (21.7%) responded education for IRB members and researchers is needed; 3 hospitals (13.0%) responded that difference among institutions needs to be acknowledged; and 1 hospital (4.3%) responded that there needs to be communication among IRB, investigator, and sponsor. Conclusion: After conducting a nationwide survey on how IRB in university hospital determines risk during review of clinical trials, it is reasonable to use 4-level risk classification (less than minimal, low, moderate, high risk); the most utilized method among hospitals. Moreover, personal information and conflict of interest associated with clinical trials have to be considered when reviewing clinical trial protocols.

  • PDF

한국 전통주의 세계화요인이 국가브랜드이미지 및 전통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일본인 외래방문객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Globalization Factors of Korean Traditional Liquor on National Brand Image and Purchasing Intention toward Traditional Liquor: Focusing on Japanese Inbound Visitors)

  • 민미순;서태양;부숙진
    • 국제지역연구
    • /
    • 제15권1호
    • /
    • pp.391-423
    • /
    • 2011
  • 본 연구는 전통적인 식생활과학측면에서의 전통주연구에서 벗어나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진행되었으며 연구결과를 통해 보다 구체적인 전통주관련 정부의 정책수립 및 해외마케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우리나라 전통주의 세계화를 위한 요인은 전통주의 우수성, 전통주 품질, 전통주 전문지식 및 전통주 홍보의 4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요인은 현재 정부가 실시하고 있는 한식의 우수성 입증, 전문인력양성, 우리 식문화홍보 등 한식세계화요인과도 무관하지 않아서 한식과 연계한 다양한 프로모션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둘째, 전통주의 우수성과 전문지식을 제외한 전통주 품질, 홍보요인은 모두 한국의 브랜드이미지와 전통주 구매의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응답자들은 전통주의 품질에서는 '맛'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64.0%)했으며 품질향상과 건강에 좋은 웰빙주라는 인식을 더 확대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류의 조절효과로 한국음식 경험자 집단이 한국드라마 경험자 집단에 비해 전통주 품질이 국가브랜드 이미지 및 전통주구매의도에 보다 강력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일본을 대상으로 할 때는 무엇보다 전통주품질이 입증되어야 하고 이를 증명할 수 있는 국가인증마크 등을 도입할 것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