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ulnerability Assessment of Maize and Wheat Production to Temperature Change - In Case of USA and China -

기온변화에 대한 옥수수와 밀 생산량 취약성 평가 - 미국과 중국을 사례로 -

  • Song, Yongho (Dep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 Lee, Woo-Kyun (Dep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 Kwak, Hanbin (Environmental GIS/RS Center, Korea University) ;
  • Kim, Moonil (Dep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 Yang, Seung-Ryong (Dept. of Food and Resource Economics, Korea University)
  • 송용호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
  • 이우균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
  • 곽한빈 (고려대학교 환경GIS/RS 센터) ;
  • 김문일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
  • 양승룡 (고려대학교 식품자원경제학과)
  • Received : 2012.09.14
  • Accepted : 2012.12.30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The appearance of abnormal weather caused by climate change have both direct and indirect impact on the society. Especially, agriculture is brought up as a socially important interest having direct impact of climate change in growth and harvest of crops. This study aims to perform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the South Korea's two main imported grains, maize and wheat. The production vulnerability assessment of maize and wheat in USA and China to temperature variability, which has a great impact in production, is performed. First, grain cultivation period which affects productivity of main grain production country was selected based on the main cultivation period from several references and previous studies. Then,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AR5 greenhouse gas scenario RCP(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8.5 scenarios was used to select the future climate that correspond to the cultivation period of maize and wheat for each producing country. According to the result of production vulnerability analysis using adaptation (temperature changing trend) and sensitivity(temperature variability), the productivity of wheat was higher in USA, while productivity of maize was higher in China. In the future, the result showed that productivity of all two grains will be favorable in USA. The result of production vulnerability assessment through this study can later be used as a preparation data for the coming fluctuation in grain price due to climate change.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잇따라 발생하는 전 지구적 이상기후의 출현은 사회 전반에 걸쳐 직 간접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친다. 특히, 자연을 통해 기본 에너지를 얻는 농업은 기상환경에 따라 작물의 생장과 수확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기 때문에, 기후변화와 관련된 사회적 중요 관심사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수입곡물중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옥수수와 밀에 대하여 주요 수출국인 미국과 중국을 대상으로 생산량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온도의 변화 경향을 통해 취약성 평가를 하였다. 주요 곡물 생산국들의 곡물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재배기간을 문헌 및 기존 연구를 통해 국가별로 파악하여 주요 재배기간으로 정하고, 옥수수와 밀에 대한 생산국별 주요 재배기간에 해당하는 미래 기상은 RCP8.5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구축하였다. 기온의 변화경향을 나타내는 적응성과 기온의 변화 정도를 나타내는 민감도를 이용하여 중국과 미국 간의 곡물별 생산취약성을 분석한 결과, 과거에 밀은 미국이 생산에 유리하고, 옥수수는 중국이 유리하였지만, 미래에는 두 곡물 모두 미국이 생산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생산성 취약성 평가 결과는 기후변화로 인한 미래 수입 곡물 가격변동에 대한 대비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농촌진흥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