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thical education theory of Jeong Yak-yong

정약용의 윤리교육론

  • Received : 2018.10.10
  • Accepted : 2018.11.08
  • Published : 2018.11.15

Abstract

Jeong Yak-yong attempted to establish a new philosophical system through the criticism on Neo-Confucianism. The most important area among the ideas of Dasan is on the ethical thoughts. He has a tremendous interest in the ethical education as well as ethical thought. During his exile, he gathered children around and educated them by editing "Jegyeong(弟經)". Dasan regarded "Sohak(小學)" to have some problems in educating children. Thus, he reconstructed the contents of "Sohak" and edited "Jegyeong". "Jegyeong" is more concise than Sohak and is a textbook focusing on children which is mainly composed of practical etiquette in the everyday life. It contains etiquettes to parents, teachers and adults, etiquettes on food in the everyday life and etiquettes between men and women. Although the contents does not exceed the scope of Sohak, he selected reasonable contents and composed with practical contents. Thus, it is practical. Dasan also attempted to make a novel interpretation on Saseo (四書), i.e., Noneo, Maengja, Daehak and Jungyong. His new interpretation on Saseo can be considered as ethical textbooks in a broad sense. Dasan considered the key ethical principle of Saseo (四書) to be Seo (恕). Accordingly, he thought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and practice ethical principle of Seo (恕). Dasan studied and annotated "Simgyeong(心經)" and "Sohak(小學)" for self moral discipline. And, he thought it is utmost important to understand and accept the existence of Sangje (上帝) in order to keep moral mind. He believed it to be important to have Gyesingonggu (戒愼恐懼), which is to aware and respect the existence of Sangje (god) for self discipline and Sindok (愼獨) to be cautious about things that only he was aware of. He thought that if people are aware of Sangje (上帝) and make dialog with Sangje, the will of Sangje could be expressed into Dosim (道心). In the ethical education, it can be said that, ultimately, the awareness on the absolute being is the most important point to Dasan.

정약용은 주자학에 대한 비판을 통해 새로운 사상체계의 정립을 시도하였다. 다산의 사상 가운데 가장 중요한 분야의 하나는 윤리사상에 관한 것이다. 다산은 윤리사상뿐 아니라 윤리교육에 대해서도 남다른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유배지에서 인근의 아동들을 모아서 교육하는 가운데 "제경(弟經)"을 편찬해서 가르쳤다. 다산은 "소학(小學)"이 아동들을 대상으로 교육하는데 있어서 일부 문제가 있다고 여겨서 "제경"을 편찬하였다. "제경"은 "소학"에 비해 내용이 간결하고, 철저하게 아동중심의 교재이며 일상생활의 실천예절 위주로 구성되어 있다. 부모 스승 어른에 대한 예절, 일상에서의 음식예절, 남녀 사이의 예절 등을 포함하고 있다. 비록 내용이 "소학"의 범위를 크게 벗어난 것은 아니지만, 합리적인 내용을 선택하였으며 실천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하여 실용적이라고 할 수 있다. 다산은 논어 맹자 대학 중용 등 사서(四書)에 대해서도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였다. 다산의 사서에 대한 새로운 해석서도 넓은 의미의 윤리교육의 교재로 볼 수 있다. 다산은 사서의 핵심적인 윤리적 원리가 서(恕)라고 보았다. 따라서 성인을 위한 윤리교육에 있어서는 서(恕)라는 윤리적 원리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실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여겼다. 그리고 다산은 도덕적 마음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제(上帝)의 존재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마음 수양을 위해서는 늘 상제(신)의 존재를 의식하고 경외(敬畏)하는 계신공구(戒愼恐懼), 그리고 혼자만이 아는 것에 대해서도 삼가는 신독(愼獨)이 매우 중요하다고 이해하였다. 다산은 윤리교육의 궁극적 근거와 기초를 형이상학적 태극이 아니라 인격적 상제의 존재에서 찾고자 하였다. 이것은 상제의 존재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사람들에게는 설득력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를 남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세명대학교